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8:39:53

유럽바다제비

유럽바다제비(영국바다제비)
European storm petrel, British storm petrel
학명 Hydrobates pelagicus
Linnaeus, 1758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강 Aves
슴새목 Procellariformes
바다제비과 Hydrobatidae
바다제비속 Hydrobates
유럽바다제비 H. pelagic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신체적 특징3. 분포4. 번식5. 기타

1. 개요

바다제비의 일종.

2. 신체적 특징

몸길이 14~18cm, 날개 폭 36~39cm, 체중 20~38g 정도의 크기에 꼬리는 사각형이고 꼬리 기부의 측면까지 뻗어 있는 눈처럼 흰 부분과 날개 아래랫부분의 넓은 흰색 띠를 제외하고 꼬리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 새끼는 날개 윗부분에 좁은 흰색의 막대 모양 무늬가 있다. 번식기에 털갈이를 시작하며 비행 능력을 유지해야 하기 위해 오래 지속된다. 남부 개체군이 북부 개체군보다 먼저 털갈이를 한다. 비행할 때의 모습은 박쥐와 비슷한데 활공을 주로 하다 간혹 날개를 펄럭인다. 비행에 워낙 특화되어 있어 땅 위에서는 잘 걷지 못하고 발목으로 발을 끌며 움직인다.

3. 분포

노르웨이나 페로 제도, 아이슬란드 등 북유럽에서 많이 서식하며 유럽과 아프리카 북부, 서부가 포함되는 대서양 근해와 지중해 연안의 섬에 분포한다. 아프리카 남부 지역에서 겨울을 난다. 미국이나 동유럽, 서아시아 등지에서 가끔 미조(길잃은새)로 발견되기도 한다.

4. 번식

4~5세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고 지중해의 아종이 대서양의 아종보다 1년 일찍 번식한다. 번식은 군집에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5월 말~6월에 시작한다. 한 쌍은 수컷이 암컷을 따라다니는 야간 비행을 반복하며 하늘을 나는 동안 소리를 낸다. 바위 사이나 바위 아래의 틈새에 둥지를 틀거나 굴을 파고 산다. 굴을 팔 떈 부리로 땅을 뚫고 발로 장애물을 걷어낸다. 바다오리류, 슴새류 등 다른 바닷새나 토끼 같은 소형 포유류와 굴을 공유하기도 한다. 보통 평생 짝짓기를 하며 매년 같은 구멍을 사용한다. 둥지는 길이 10~300cm, 너비 5~8cm이며 보통 안감이 없지만 , 고사리, 해초 등을 쓰기도 한다. 알은 하나만 낳으며 흰색이고 적갈색 반점이 있지만 곧 사라진다. 암수 모두 38~50일 동안 품으며 성체가 없어 알의 온도가 낮으면 부화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한 쪽이 바다에서 먹이를 찾는 동안 다른 쪽이 3일 동안 알을 품는다. 새끼는 은회색 털로 덮여 있다. 부모가 기름진 뱃속 내용물을 토해 새끼에게 먹인다. 일반적으로 첫째 주 이후에는 새끼와 함께 있지 않으며 먹이를 가져올 때만 방문한다. 50일 후 새끼는 덜 규칙적으로 먹이를 공급받고 때로는 며칠 간격으로 또는 둥지를 떠나기 직전까지 완전히 먹이 공급을 중단받기도 한다. 부화한 후 약 56~86일에 깃털이 나고 둥지를 떠나 독립한다.
일반적으로 수면에서 10m 이내로 날고 최대 0.5m 깊이까지 먹이를 찾아 잠수한다. 먹이를 찾아 2~3일 동안 최대 200km를 이동할 수 있다. 보통 낮에 먹이를 먹지만 밤에 해안 가까이에서 먹이를 먹기도 한다.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 해파리 등의 생물을 잡아먹으며 냄새로 배를 찾아내 물고기 내장과 기름진 먹이를 먹기도 한다. 대서양에서는 먹이의 절반 이상이 동물성 플랑크톤이고 대서양청어, 유럽청어, 고래 사체를 먹기도 한다. 위의 큰 샘에서 비타민 A가 풍부한 기름이 생성된다. 지중해에서는 주로 물고기, 특히 짖우해모래장어를 잡아먹으며 육지 근처 해역에서 주머니쥐새우를 잡아먹기도 하며 다랑어 양식장에서 다랑어에게 먹이는 사료도 먹는다.

천적으로는 , 들고양이, 아메리카밍크, 큰수쿠아새, 노랑다리갈매기와 큰검은등갈매기를 비롯한 대형 갈매기, , 엘레오노라조롱이, 가면올빼미, 금눈쇠올빼미가 있으며 적이 나타나면 기름 비슷한 물질을 뱉어 자신을 지킨다. 그 외에 이 종에 기생하는 진드기가 2종류 발견되었는데 새끼의 성장 속도를 늦추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

5. 기타

이 새는 폭풍과 관련이 있어 선원들에게는 예전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 다만 이는 이들이 다른 바닷새와 마찬가지로 비행을 할 때는 바람에 의지하여 비행하고 바람이 잔잔할 때는 수면에 앉아서 쉬기 때문이다. 죽은 자의 영혼으로 여겨져 이 새를 죽이면 불운이 찾아온다고 믿기도 했다. 또한 격동하는 날씨와의 연관성 때문에 혁명적 견해에 관한 은유로 사용되었고 여러 혁명적 무정부주의자 단체에서 단체 식별자나 그들의 출판물에 이 새를 채택했다.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에서는 애든버러의 상인이 크라켄이 배를 공격하기 직전에 이 새의 민속 이름인 마더 캐리의 닭이라고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