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그레이스케일 포트폴리오 암호화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이더리움 클래식 | 라이트코인 | 비트코인 캐시 |
Zcash | 젠캐시 | 스텔라루멘 | 디센트럴랜드 | 라이브피어 | |
파일코인 | 베이직 어텐션 토큰 | 체인링크 | 에이다 | 솔라나 | |
에이브 | 앰프 | 컴파운드 | 커브 | 호라이젠 | |
# |
1. 개요
유니스왑(Uniswap, UNI)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거래소(DEX) 프로젝트이며, 동시에 해당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을 의미한다. 유니스왑은 자동화된 시장조성자(AMM, Automated Market Maker) 방식을 사용하여 중개자 없이 토큰 교환이 가능한 탈중앙화된 거래 환경을 제공한다.유니스왑 프로토콜은 2018년 헤이든 아담스(Hayden Adams)가 개발했으며, 2020년 9월 자체 토큰인 UNI를 출시했다. UNI 토큰은 유니스왑 생태계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 권한을 부여하며, 프로토콜 수수료, 유동성 채굴 등의 구조와도 연결되어 있다.
2. 특징
- AMM 방식의 DEX: 유니스왑은 기존의 오더북(order book) 방식이 아닌, 가격 곡선(공식)을 활용한 유동성 풀 모델을 통해 거래를 수행한다. 유동성 공급자(LP)는 자신이 제공한 자산 비율에 따라 수수료를 보상받는다.
- 퍼미션리스(Permissionless): 누구나 자유롭게 유동성 풀을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다.
- UNI 토큰은 플랫폼의 거버넌스 참여를 위한 수단으로, 프로토콜 변경, 수수료 구조, 자금 배분 등에 대한 투표권이 부여된다.
3. 발전
- 유니스왑은 2021년 V3 업그레이드를 통해 집중 유동성(Concentrated Liquidity), 유동성 제공자의 수익률 최적화 등 다양한 기능을 도입하였다.
- 폴리곤, 아비트럼, 옵티미즘 등 L2 확장 솔루션에도 유니스왑이 배포되면서 사용성과 확장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4. 토큰 정보
- 토큰명: 유니스왑 (Uniswap)
- 토큰 기호: UNI
- 출시일: 2020년 9월 16일
- 블록체인: 이더리움 (ERC-20)
- 최대 공급량: 1,000,000,000 UNI
- 총 공급량: 약 753,000,000 UNI (2025년 기준)
- 관련 링크:
- [https://uniswap.org 공식 홈페이지]
- [https://info.uniswap.org Uniswap Analytics]
- [https://docs.uniswap.org 프로토콜 문서]
5. 사용 사례
- 탈중앙화 토큰 거래: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을 중개자 없이 빠르게 교환할 수 있다.
- 유동성 공급: 유저는 자신이 보유한 자산을 풀에 예치하여 수수료 수익을 얻는다.
- UNI 토큰 스테이킹 또는 거버넌스 참여: 향후 프로토콜 변경안에 대한 투표권 부여.
- 일부 커뮤니티 기반 플랫폼들은 유니스왑의 AMM 메커니즘을 참고하거나, 유사한 탈중앙 구조를 일부 기능에 적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워디 월렛은 사용자의 커뮤니티 활동 기여도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고, 이를 자체 보상형 자산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탈중앙화 토큰 생태계 모델에서 영감을 받은 사례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