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4:18:46

울릉군청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자치시
파일:경산시 CI_White.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_White.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_White.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_White.svg
문경시
경산시청 경주시청 구미시청 김천시청 문경시청
파일:상주시 CI_White.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 도청
파일:영주시 CI_White.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_White.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_White.svg
포항시
상주시청 안동시청 영주시청 영천시청 포항시청 }}}{{{#!wiki style="margin: -6px -1px" 자치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파일:봉화군 CI_White.svg
봉화군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파일:영덕군 CI_White.svg
영덕군
파일:영양군 CI_White.svg
영양군
고령군청 봉화군청 성주군청 영덕군청 영양군청
파일:예천군 CI_White.svg
예천군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
파일:의성군 CI_White.svg
의성군
파일:청도군 CI_White.svg
청도군
예천군청 울릉군청 울진군청 의성군청 청도군청 }}}{{{#!wiki style="margin: -6px -1px" 파일:청송군 CI_White.svg
청송군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청송군청 칠곡군청
}}}}}}}}}}}}}}} ||
파일:울릉군 CI.svg
울릉군청
鬱陵郡廳 | Ulleung County Office
파일:울릉군청.jpg
<colbgcolor=#E60012><colcolor=#fff>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2길 66[1]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관할구역 경상북도 울릉군
직원 수 180명[2]
예산 2,000억원 (2021년)
군수 남한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부군수 박상연
상급기관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역대 군수
3. 조직
3.1. 직속기관/사업소3.2. 소관 읍/면 행정복지센터
4. 논란5. 여담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울릉군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울릉군의회와는 도보로 5분 정도 거리에 위치한다.

대한민국기초자치단체 청사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한 청사이기도 하며, 이는 북한 지역까지 포함해도 변하지 않는다.

2. 역사

신라 시기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을 정벌한 이래, 한반도 육지의 국가들에 편입되어 그 역사를 함께 해 왔으며, 우산국 정벌로부터 1400여년 가량 흐른 1900년울도군으로 개칭되는 동시에 강원도로 편입되었으며, 이때 하위 행정구역으로 남면(현 울릉읍서면 남양리·남서리)과 북면(현 북면 및 서면 태하리)을 두었다. 이어 1906년에는 강원도에서 경상남도로 이관되고, 남면 남양동, 남서동과 북면 태하동[3]을 분리하여 서면이 신설됐다.

이후 경술국치일제강점기가 시작된 후인 1914년 경상북도로 이관되고, 이어 1915년 총독부전라남도 제주군과 경상북도 울도군에 한해 군을 폐지하고 도(島)제를 실시함에 따라 울도군청은 울릉도청(島廳)이 되었고 울릉군수 또한 울릉도사(島司)로 개칭되었다.

이 행정구역은 광복 이후 미군정기까지 유지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인 1949년 다시 군제로 환원되며 울릉군청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현재 사용중인 청사는 1982년에 준공되었기에 현재 울릉군은 심각한 청사 협소문제를 겪고 있어 적극적으로 청사 이전 사업을 진행하였고 이 결과 구 울릉중학교 교사 부지에 새 군청을 신축하게 되었다.[4]

군청 이외의 울릉군으로써의 더 자세한 역사는 울릉군/역사 문서를 참고. 근대 시기 울릉도에 위치한 행정구역은 울도군 문서를 참고.

2.1. 역대 군수

경상북도 울릉군수(관선)[5]
초대서이환1945.12.13 ~ 1948.4.6
2대허필1948.4.6.~1949.1.8.
3대홍성국1949.1.8.~1952.8.7.
4대최징1952.9.7.~1953.1.9.
5대임상옥1953.2.22.~1955.8.29.
6대김동섭1955.9.10.~1958.1.9.
7대박홍갑1958.12.16.~1959.8.25.
8대석기일1959.8.31.~1960.6.24.
9대최우균1960.6.25.~1960.11.12.
10대이진상1960.12.10.~1962.6.7.
11대김일규1961.6.20 ~ 1961.7.21
12대김한엽1961.7.21 ~ 1962.5.9
13대박창규1962.5.10 ~ 1964.4.9
14대이태화1964.4.10 ~ 1964.9.17
15대송동섭1964.9.18 ~ 1966.5.12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신경균 한정석 우병운 이병희 오세진
1966.5.13 ~ 1967.11.14 1967.11.15 ~ 1970.3.2 1970.3.3 ~ 1971.8.20 1971.8.21 ~ 1973.8.3 1973.8.4 ~ 1974.10.27
관선(김인 도정) 관선(양택식 도정) 관선(구자춘 도정)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고정환 박종휴 곽춘식 안강모 김호동
1974.10.28 ~ 1976.4.2 1976.4.3 ~ 1978.2.26 1978.2.27 ~ 1979.5.13 1979.5.14 ~ 1980.7.16 1980.7.25 ~ 1981.7.6
관선(김수학 도정) 관선(김무연 도정)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신태근 신승국 권혁대 이숙현 김대호
1981.7.13 ~ 1982.9.20 1982.9.21 ~ 1985.3.25 1985.3.25 ~ 1986.6.8 1986.6.9 ~ 1988.6.9 1989.6.15 ~ 1989.12.16
관선(김성배 도정) 관선(정채진 도정) 관선(이상희 도정) 관선(이상배 도정) 관선(김상조 도정)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이남철 김두동 고철환 구태서 강채규
1989.6.15 ~ 1989.12.16 1989.12.27 ~ 1990.6.25 1990.7.5 ~ 1990.11.28 1991.1.14 ~ 1992.7.2 1992.7.3 ~ 1993.6.2
관선(김상조 도정) 관선(김우현) 관선(이판석 도정)
36대 37대 38~39대 40대 41~42대
장경곤 한희섭 정종태 오창근 정윤열
1993.6.3 ~ 1994.8.8 1994.8.9 ~ 1995.6.30 1995.7.1 ~ 2001.7.31 2002.7.1 ~ 2006.6.30 2006.7.3 ~ 2011.6.9
관선(이의근 도정) 관선(우명규 도정) 민선 1기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민선 2기
민선 3기 민선 4기

[[무소속(정치)|
무소속
]]
민선 5기
43~44대 45대 46대
최수일 김병수 남한권
2011.10.27 ~ 2018.6.30 2018.7.1 ~ 2022.6.30 2022.7.1 ~
재보선

[[무소속(정치)|
무소속
]]
민선 6기
민선 7기 민선 8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 조직

3.1. 직속기관/사업소

3.2. 소관 읍/면 행정복지센터

4. 논란

5. 여담

이 문서는 대한민국군청 문서 중 가장 먼저 작성되었다.

[1] 도동리 206-1[2] 울릉군 일반현황[3] 당시 경상북도에서는 읍면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리' 대신 '동'을 쓰는 곳이 많았으며, 1988년 일괄적으로 '리'로 개칭됐다.[4] 울릉중학교는 울릉군 관내의 다른 중학교(우산중, 울릉서중, 울릉북중)과 통폐합되어 사동리의 새 교사로 이전했다. 물론 구 울릉중 부지가 현 청사보다 넓은 건 사실이지만, 지도에서 보듯이 주변이 주택과 상점가가 자리했기 때문에, 만약 자리를 잡는다면 주변까지 아울러서 정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5] 이 시기의 군은 지금과 다르게 자치단체가 아니었고 오히려 군 예하의 읍,면이 자치단체로 1950년대엔 읍/면 의회 의원들을 통한 간접선거로, 1960년 지방선거땐 직접선거로 선출할동안 군수는 얄짤없이 도지사 임명제였기에, 민선군수는 1995년에야 탄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