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1:47:56

욱일기/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욱일기
1. 들어가기 앞서2. 논란 및 사건 사고
2.1. 일본 외무성의 유튜브 욱일기 광고 논란2.2. 대함경례 및 관함식 관련
2.2.1. 2017년 욱일기 게양 자위함 입항 비공개 논란2.2.2. 2018년 제주 국제 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2.2.3.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2.2.4. 2023년 부산 입항 일본 함정 욱일기 보도 명칭 논란
2.3. 서울시의회의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의 사용 제한 조례 폐지 시도
3. 오해 사례와 유사 디자인

1. 들어가기 앞서

욱일기를 사용해 일본 제국이나 일본군 혹은 일본의 전쟁 범죄를 찬양하거나 미화, 선동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문제가 되고 사회에서 지탄받을 수 있지만 의도하지는 않았거나 의도는 불순하지만, 각종 창작물 등지에서 앞에서 나온 의도[1]가 없는 일반적인 썬버스트(욱일 문양)를 보고 종종 욱일기를 그렸다는 이유로 유독 한국에서만 해당 작가극우 혹은 일뽕으로 몰아 비난하는 모습이 심심찮게 보이곤 한다.

이는 일제에 의해 사회 구조적으로 수탈이나 차별을 당했던 한국인들에게 욱일기는 일본 군국주의와 극우주의를 상징하는 것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하기 때문이며 또한 썬버스트(욱일 문양)가 아니라 태양을 그리는 방식이 단지 욱일기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욱일기를 의도했다고 몰아가는 경우도 있는데, 단순히 오해인 경우도 많다.

마케도니아러시아의 경우에서 보듯이 햇빛이 뻗어나가는 디자인은 일본만의 디자인도 아니다. 와인 브랜드 마운틴 메를로에 붙은 레이블도 이러한 방식으로 태양을 묘사했다. # 참고로 해당 제품은 2011년에 미국에서 생산되었다. #

한편 아래 항목에서 후술하겠지만, 일본 전통의 욱일 문양을 민속적인 의도에서 사용하였어도 정치적으로 해석되어 오해받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2. 논란 및 사건 사고

2.1. 일본 외무성의 유튜브 욱일기 광고 논란

일본 외무성이 욱일기를 홍보하는 영상을 한국어를 포함한 9개국어 언어로 된 영상을 유튜브의 외무성 공식 채널에 올려 논란이 일었다. # 당시 여러가지 문제로 한일간대립이 심화되어 양국민간 국민감정이 좋지 않았던 시점에서, 한국국민의 반일감정을 자극했다는 의견도 있었다.

2.2. 대함경례 및 관함식 관련

2.2.1. 2017년 욱일기 게양 자위함 입항 비공개 논란

2017년 10월, 문재인 민주당 집권 때 친선 교류 행사 차원에서 자위대 함선 2척이 평택항에 욱일기를 게양한 체로 입항하였다. 하지만, 당시 국가 차원에서 국민들에게 이를 비공개 은폐 조치를 했다가, 뒤늦게 2023년이 되어 이러한 사실이 들통나서, 정국의 상황과 맞물려 논란이 발생했다. #, @

2.2.2. 2018년 제주 국제 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3.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4. 2023년 부산 입항 일본 함정 욱일기 보도 명칭 논란

2023년 5월 29일 일본의 해상자위대 함정이 부산해군작전기지에 입항하면서 욱일기를 계양한 채 입항했는데, 일부 언론에서 '욱일기 판박이 자위함기 게양'이라는 보도를 내었다. ## 반면 일본 언론들은 욱일기를 게양했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오마이뉴스는 2022년 11월 일본에서 열린 국제 관함식에 참여한 우리나라 국방부의 입장으로 인한 영향이라고 주장[7]했다.

2.3. 서울시의회의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의 사용 제한 조례 폐지 시도

2024년 4월 3일, 김길영(국민의힘·강남6) 서울시의원은 '서울특별시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의 사용 제한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안'을 "이미 시민들에게 반제국주의 의식이 충분히 함양돼 있고 제국주의 상징물 사용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공공사용 제한물 조례로 규정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판단된다"는 이유로 이 조례 폐지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이들은 이와 관련해서 논란이 일자, 하루 만에 자진 철회했다. 서울시의회는 발의 취지에 오해의 소지가 있어 이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

한동훈 위원장은 4일 입장문을 내고 조례 페지에 반대하며, 해당 의원을 징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1 #2

3. 오해 사례와 유사 디자인



[1] 일본 제국이나 일본군 혹은 일본의 전쟁 범죄를 찬양하거나 미화, 선동하려는 의도였다.[2] 한편 SBS의 덕력을 가늠케 하는 보도다. SBS/평가 참조.[3] 과거에도 자위대 함선들의 내항은 있어왔지만, 해자대 함선들의 욱일기 계양과 관련한 대중적인 비판에 직면한 것은 2016년이 기점이었다. 기항 사례[4] 우연히도 같은 날에 리버풀은 일본인 선수인 미나미노 타쿠미를 영입했다.[5] 단, 애당초 서울시 및 공공기관에 대한 게양 불가이며, 일반 시민이 게양하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6] 발의자: 김길영(강남구), 이하 서명 의원: 김경훈(강서구), 김준곤(강서구), 김동욱(강남구), 김형재(강남구), 박상혁(서초구), 김영철(강동구), 김재진(영등포), 옥재은(중구), 최유희(용산구), 김혜영(광진구), 서상열(구로구), 신동원(노원구), 이민석(마포구), 이병윤(동대문구), 이봉준(동작구), 이희원(동작구), 최민규(동작구), 송경택(국민의힘 비례), 이상욱(국민의힘 비례).[7] '햇살무늬', '욱일 문양'... 욱일기라고 쓰지도 못하는 언론[8] 1999년 11월 16일 한겨레 p.23 #[9] 당시에는 욱일기를 일장기의 파생으로 인식했다.[10] 이것도 조금 애매한 지적인게, 알렉산더도 물론 학살이나 부분적 억압 통치가 아예 없었다고 할 순 없겠지만 그렇다고 일제와 알렉산더의 사례는 동급으로 묶일 수 없는 만큼 완전히 다르다.[11] 여담으로 컨트리볼의 북마케도니아는 이것 때문에 한국과는 절대로 친구가 못 되고 한번은 중국에게 맞아 죽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