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7:48:57

요한 23세/평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요한 23세
파일:261_John_XXIII.png
성 요한 23세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생애 <colbgcolor=#fff,#1c1d1f>생애 (재위기간) · 시복 및 시성
재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평가 평가 }}}}}}}}}

1. 개요2. 상세3. 교회 쇄신에 매진한 탈권위주의자4. 재치 있고 선하신 교황 요한

[clearfix]

1. 개요

요한 23세에 대한 평가를 정리한 문서

2. 상세

재위 시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개최를 비롯하여 20세기 후반의 가톨릭이 개방적, 탈권위적인 성격의 현대화로 나아가는 계기를 마련한 인물. 20세기 가톨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교황이라고 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1] 20세기 초의 비오 10세가 가톨릭 전통주의를 대표한다면, 요한 23세는 개방 및 탈권위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요한 바오로 2세와는 달리 외모가 빼어나거나 대중적인 쇼맨십이 있진 않았으나[2], 선함과 소박함, 진솔함을 무기로 인망을 얻고 존경받았다. 교황이 된 뒤에도 권위주의에 매몰되지 않고 소박함과 진솔함을 잊지 않았다. 그 때문에 교황으로서 권위가 없고 교회를 세속화시킨다고 바티칸추기경단 일부와 마찰도 컸지만, 교황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는 누구에게도 미움받지 않았다.

살아 생전 이탈리아인들이 붙여준 별명은 '선하신 교황(Il Papa Buono) 요한'. 그리고 교황이 되기 전이나 후나, 실로 그 별명에 어울리게 산 교황이었다.

3. 교회 쇄신에 매진한 탈권위주의자

현대 가톨릭 교회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교황이다. 본시 성품이 소탈하고 서민적이었고 개인적인 욕심도 없었지만, 교황으로 당선된 초부터 가톨릭 교회를 쇄신하려고 결심했다. 현대 사회의 발전과는 달리 격리되어 쇠퇴의 위기를 맞고 있던 가톨릭 교회의 쇄신을 위해 노력했다.

권위주의적이던 이전의 교황들의 스타일에서 탈피해, 되도록 검소하고 겸손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단적인 예로, 교황청 기관지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서는 교황에 대해 언급할 때, 말하자면 "존엄하신 분의 입술에서 옥음이 내리셨다" 같은 식으로 표현했는데, 요한 23세는 그냥 "교황이 말했다"라고 쓰라고 지시했다. 이런 공식적인 활동에서뿐만이 아니라 교황청 안에서 인부들과 만날 때에도 시골 신부 같은 온화하고 탈권위적인 태도로 대해서 크게 인망을 얻었다.

추기경들은 교황이 너무 권위가 없다고 싫어하기도 했다. 사회정의에도 관심을 쏟아서 회칙 <어머니요 스승(Mater et magistra)> 등 관련 교서를 발표했는데, 미국의 우익 신자들이 반대하는 성명을 내는 등 당시 가톨릭의 분위기에 거스르는 점이 많았다.

또한 다른 그리스도교 종파들, 동방정교회개신교와의 화해 및 대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인 교황이기도 했다. 이미 교황이 되기 전부터 동방정교회와의 대화에 노력한 요한 23세는, 동방정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던 이전의 시각에서 탈피해 갈라진 교회(이교)로 규정했다. 또한 1961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세계 교회 협의회에 대표를 파견하기도 했다.

개최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는 개신교 역시 (정교회처럼 이단 상태에서 해제되진 않았지만) '갈라진 형제'로 규정했다.

4. 재치 있고 선하신 교황 요한

요한 23세의 성격을 보여주는 많은 일화가 전해진다.

출처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http://www.catholicnews.co.kr) 외
파일:attachment/요한 23세/JXXIII_Montini.jpg
조반니 몬티니 추기경과 교황

[1] 그의 직접적인 후임자 바오로 6세를 비롯해서 이후 등장한 교황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모두 요한 23세의 노선을 이어받은 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요한 23세가 재위 시절에 행했던 개혁 조치들이 없었다면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과 프란치스코 교황 같은 이들은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2] 교황에 선출된 후의 한 대외 행사에서 어느 신자가 "새 교황은 별로 잘생기지도 않고 늙은이네." 하며 실망 섞인 반응을 보이자, 요한 23세는 "미안합니다. 콘클라베미인대회가 아니라서요."라고 답했다고 전한다.[3] 어느 서적에서는 "부인이신가 보죠?"라고 응수했다는 서술도 있다.[4] '조니 워커'는 창시자인 존 워커에서 비롯한 명칭이지만, 문자 그대로 옮기면 '걸어다니는 사람 조니(요한)'라는 뜻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