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17:18:50

요시다 다다토모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사토 칸쥬
제2대
이토 시게루
제3대
후치가미 사다오
제4대
후쿠시마 미즈호
제5대
마타이치 세이지
제6대
시게노 야스마사
제7대
마타이치 세이지
제8대
요시카와 하지메
제9대
요시다 다다토모
제10대
핫토리 료이치
}}}}}}}}}}}}}}} ||

파일:社民党ロゴwhite.svg 사회민주당(일본) 정책심의회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이토 시게루
제2대
오이카와 가즈오
제3대
아키바 다다토시
제4대
하마다 켄이치
제5대
쓰지모토 기요미
제6대
오오와키 마사코
제7대
아베 도모코
제8대
요시다 다다토모
제9대
요시카와 하지메
제10대
핫토리 료이치
제11대
아라가키 구니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무라야마 도미이치
제2대
도이 다카코
제3대
후쿠시마 미즈호
대행
마타이치 세이지
제4대
요시다 다다토모
제5대
마타이치 세이지
제6대
후쿠시마 미즈호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 ||
일본국 제22·23·25-27대 참의원 의원
요시다 다다토모
吉田忠智 | Yoshida Tadatomo
파일:요시다 다다토모 2024.jpg
<colbgcolor=#00469C><colcolor=#fff> 출생 1956년 3월 7일 ([age(1956-03-07)]세)
오이타현 우스키시
현직 제27대 참의원 의원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69C><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배우자, 슬하 2남
학력 오이타현립 츠루사키 공업 고등학교(졸업)
규슈대학 농학부 (생물자원환경학 / 학사)
정당
지역구 오이타현 선거구
의원 선수 3 (참)
의원 대수 22-23, 25-26, 27
약력 오이타현청 농업토목기술 직원
오이타현 직원연합 노동조합위원장
오이타현의원
일본 참의원
사회민주당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사회민주당 참의원 간사장
사회민주당 정책심의회장
사회민주당 당수
사회민주당 간사장
}}}}}}}}}

1. 개요2. 생애3. 정책 및 주장4. 소속 정당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2. 생애

1956년 3월 7일, 오이타현 우스키시에서 태어났다. 오이타현립 츠루사키 공업 고등학교에 들어가 육상 선수를 목표로 했지만 무릎 부상으로 포기했다.[1] 1년의 재수를 거쳐 규슈대학 농학부 생물자원환경학과에 입학하고 졸업했다. 오이타현청의 농업토목기술직원으로 근무하다가 노동조합 활동을 통해 오이타현 직원연합 노동조합위원장을 역임했다. 그 후 중의원으로 이적한 시게노 야스마사 시의원의 후임으로 오이타현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현의원직을 3선했다.

2010년에 치러진 제22회 참원선에서 사회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비례대표로 출마했고 후쿠시마 미즈호의 뒤를 이어 2위로 당선됐다. 마침 같은 당 의원인 무라야마 도미이치시게노 야스마사처럼 오이타 출신에 현의원을 역임한 뒤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0년부터 사민당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간사장, 사민당 정책심의회장을 역임한다.

2013년 9월 26일, 제23회 참원선에서 사민당의 패배로 후쿠시마 미즈호 당수가 책임지고 사임하여 치러진 당수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같은 해 10월 14일, 당수 선거에서 이시카와 다이가를 꺾고 제4대 당수로 선출되었다. 당수 취임 후 2014년 도쿄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호소카와 모리히로 후보,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와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 2015년 8월 15일에는 재일본 대한민국 민단 주최로 열린 제70주년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했다.

2016년 7월 10일, 제24회 참원선에서 낙선했다.

2018년 1월에 치러진 사민당 당수 선거에는 불출마하여 2월 25일 임기 만료에 따라 퇴임했다. 당수는 마타이치 세이지 간사장이 당선되었다. 2019년 7월 21일, 제25회 참원선에서 비례대표로 출마해 당선되어 3년만에 참의원로 복귀했으며, 이 선거에서 당선된 유일한 사민당 의원이었다. 2020년 2월 22일, 당대회에서 간사장으로 선출되었다.

요시다 다다토모 간사장은 20일 기자 회견에서 입헌민주당이 제안한 합류에 대해 신종 코로나의 확산과 호우 재해 등의 영향으로 지방 조직의 의견이 지연되어 결정을 9월 말까지 할 생각을 나타냈다. 또한 찬반을 결정하는 임시 당대회의 개최시기에 대해서 "10월은 어려워졌다"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2020년 11월 14일에 개최된 사회민주당 당대회에서 입헌민주당으로의 입당에 대한 투표안이 가결되어 사실상 당이 분열되었다.# 이번 투표로 인하여 국회의원 4명 중 후쿠시마 미즈호 당수를 제외한 요시다 다다토모 간사장, 데루야 간토쿠, 요시카와 하지메가 입헌민주당으로 입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2]

같은 해 12월 24일, 사회민주당을 탈당하고 입헌민주당에 입당했다.#

2023년 3월 18일, 오이타현 참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할 의향을 밝혔다.#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28일, 참의원 비례대표직에서 사직하면서 이 자리는 사회민주당의 오츠바키 유코 부당수에게 승계되었다.

4월 23일, 선거 결과 341표 (0.06%) 차이로 아쉽게 시라사키 아키 후보에게 패배했다. 이번 보궐선거 및 지방선거에서 최대 격전지가 되면서 꽤 늦게까지 당선자가 가려지지 않았지만, 결국 지역 기반인 오이타시의 낮은 투표율이 발목을 잡았다. 낙선 이후 정계 은퇴 가능성도 언급되었지만, 현련위원장직을 유지하면서 2025년에 치러질 제27회 참원선에서 오이타현 선거구에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2월 21일, 입헌민주당 오이타현련에서 요시다 다다토모의 차회 참원선 공천을 확정지으면서 재도전이 확정되었다. 관건은 역시나 주 지지 기반인 오이타시의 투표열기를 끌어올리는데 있다.

2025년 7월에 치러지는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결과적으로 입민 당적으로 입민-국민-유신의 단일후보가 되었다. 7월 5일 발표된 요미우리 신문 정세조사에서 우세가 점쳐지는 등 2년전 복수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21일 새벽 당선에 성공하면서 참의원에 복귀하게 됐다.

3. 정책 및 주장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2000 - 2020 정계 입문
입당


2020 탈당[3]

2020 - 현재 입당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logo_w.svg 입헌민주당의 계파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호헌파 중립 개헌파
생추어리
곤도 쇼이치
오사카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미치시타 다이키
아베 도모코
나라의 모습 연구회
니시무라 지나미
에다노 유키오
스에마쓰 요시노리
하쿠 신쿤
이시카와 카오리
다지마 가나메
스기오 히데야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아즈미 준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신정권연구회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오시마 아쓰시
오구마 신지
시모조 미쓰
모리야마 히로유키
하타 지로
직간회
시게토쿠 가즈히코
나카지마 카츠히토
아오야기 요이치로
겐마 겐타로
오구마 신지
일청회
오자와 이치로
마키 요시오
노마 다케시
고미야마 야스코
마쓰키 겐코
아오키 아이
사토 고지
간성회
시나 다케시
마부치 스미오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고토 유이치
이사카 노부히코
미도리카와 다카시
요네야마 류이치
보수파
하라구치 가즈히로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부치 스미오
사회민주주의 포럼
요시다 다다토모
요시카와 하지메
야마 도시히로
소승회
오카다 가쓰야
야마노이 가즈노리
오가와 준야
테라다 마나부
기쿠타 마키코
가네코 에미
브릿지 모임
에다 겐지
오치아이 다카유키
와세다 유키
시오무라 아야카
후쿠다 아키오
요네야마 류이치
무계파
시노하라 다카시
나가츠마 아키라
나카가와 마사하루
요시다 하루미
일본 정당별 계파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자민)
}}}}}}}}} ||

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쿠오카현 선거구 사가현 선거구 나가사키현 선거구
2028년 개선
오이에 사토시 고가 유키히토 아키노 고조 후쿠오카 다카마로 야마모토 게이스케
2031년 개선
마쓰야마 마사지 나카다 유코 시모노 로쿠타 야마시타 유헤이 고가 유이치로
구마모토현 선거구 오이타현 선거구 미야자키현 선거구 가고시마현 선거구 오키나와현 선거구
2028년 개선
마쓰무라 요시후미 고쇼 하루토모 마쓰시타 신페이 노무라 데쓰로 이하 요이치
2031년 개선
바바 세이시 요시다 다다토모 야마우치 카나코 오쓰지 토모미 다카라 사치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쿠오카 1구 후쿠오카 2구 후쿠오카 3구 후쿠오카 4구 후쿠오카 5구
이노우에 다카히로 이나토미 슈지 고가 아쓰시 미야우치 히데키 구리하라 와타루
후쿠오카 6구 후쿠오카 7구 후쿠오카 8구 후쿠오카 9구 후쿠오카 10구
하토야마 지로 후지마루 사토시 아소 다로 오가타 린타로 기이 다카시
후쿠오카 11구 사가 1구 사가 2구 나가사키 1구 나가사키 2구
무라카미 토모노부 하라구치 가즈히로 오구시 히로시 니시오카 히데코 가토 류쇼
나가사키 3구 구마모토 1구 구마모토 2구 구마모토 3구 구마모토 4구
가네코 요조 기하라 미노루 니시노 다이스케 사카모토 데쓰시 가네코 야스시
오이타 1구 오이타 2구 오이타 3구 미야자키 1구 미야자키 2구
기라 슈지 히로세 겐 이와야 다케시 와타나베 소 에토 다쿠
미야자키 3구 가고시마 1구 가고시마 2구 가고시마 3구 가고시마 4구
후루카와 요시히사 가와우치 히로시 미타조노 사토시 노마 다케시 모리야마 히로시
오키나와 1구 오키나와 2구 오키나와 3구 오키나와 4구
아카미네 세이켄 아라가키 구니오 시마지리 아이코 니시메 고사부로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아베 도시코 야라 도모히로 하마치 마사카즈 미야지 다쿠마 요시카와 하지메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나가토모 신지 오니키 마코토 야마카와 히토시 요시다 노부히로 고쿠바 고노스케
<rowcolor=#fff>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야마다 가쓰히코 아베 히로키 이와타 가즈치카 마루오 게이스케 긴조 야스쿠니
<rowcolor=#fff>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고노미 료타로 후루카와 야스시 요시카와 리나 다무라 다카아키 미야자키 마사히사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1] 현재도 달리기와 운동은 하고 있다고 한다.[2] 이 중 데루야는 후계자인 아라가키 구니오가 사민당 잔류를 선언해서 데루야 본인 역시 잔류하기로 결정했다.#[3] 입헌민주당 합류를 위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