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0 23:08:06

단백뇨

요단백에서 넘어옴
진료과 내과[1], 비뇨의학과

1. 개요 및 병리2. 진단3. 치료

1. 개요 및 병리

尿 / Proteinuria

단백뇨는 24시간, 하루 동안 소변으로 배출되는 단백질이 300mg 이상일 경우를 의미하며, 소변에 단백질 거품이 많이 생겨나오기에 거품뇨로도 불린다.

워낙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이에 따른 병리도 각각 다르다. 단백뇨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신사구체(glomerular) - 신사구체의 삼투성(permeability) 장애로 인해 단백뇨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의 단백질은 신사구체에서 필터되지 못하나, 사구체성신증(glomerulonephritis) 등으로 인해 사구체 내에 손상이 생기면서 삼투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백질이 사구체로 빠져 나가면서 단백뇨가 나타나게 된다. 단백질의 배출이 심해질 경우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으로 발병하게 된다.

2. 신세뇨관(tubular) - 정상적인 신체에서 원래 적은 양의 단백질이 사구체에서 필터되게 된다. 이때, 필터된 단백질은 세뇨관에서 다시 재흡수 되게 되는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세뇨관의 재흡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단백뇨가 발견되게 된다. 흔한 원인으로 겸상 적혈구 증후군(SCA), 요로 폐색(urinary tract obstruction) 및 간질성신염(interstitial nephritis) 등이 있다. 대부분 신세뇨관으로 인한 단백뇨는, 신사구체로 인한 단백뇨에 비해 덜 심각하다.

3. 과다유출(overflow) - 세뇨관에서 재흡수 할 수 있는 용량 이상으로 신체의 과다한 단백질 생성되어 단백뇨가 발생하는 경우. 주로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의 벤스 존스 단백질(Bence-Jones)로 인한 단백뇨가 흔한 원인이다.

4. 그 외 - 신혈류량(renal blood flow)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단백뇨가 발생하게 된다.

2. 진단

워낙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검사를 통해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내는것이 중요하다. 단백뇨의 기본적인 검사는 다음과 같다.

1. 요 시험지 검사법(urine dipstic test) - 특히 소변내 알부민(albumin)을 감지하는 데 예민한 검사로, 소변 내 알부민 수치가 30 mg/dL 이상을 감지해낸다. 0에서 4+(>500 mg/dL)로 스케일이 나뉘어 져있다. 하지만 그 이하의 알부민 수치는 감지하지 못하고, 특히 항체(immunoglobulin)로 인한 단백뇨에 위음성(false negative)의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2. 요검사(urinalysis) - 요 시험지 검사법에서 양성으로 나타날 경우, 가장 먼저 이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소변 내 나트륨 등을 감지 하는것 외에, 특히 소변 침전물(urine sediment)이 중요하다. 특이한 소변 침전물은 다음과 같다.
그 외, 소변의 pH, 요비중(specific gravity), 요당(glucose), 아질산염(nitrite), 백혈구에스터라제(leukocyte esterase) 등 다양한 부분을 검사하게 된다.

요검사를 통해 단백뇨가 확진될 경우, 24시간 동안 소변을 채취하여 단백뇨의 심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3. 미량 알부민뇨(microalbuminuria) 검사 - 특히 당뇨병으로 인한 신부전의 전초에 미량 알부민뇨가 발견되게 되는데, 위에 서술된 검사방법으로는 미량의 단백뇨를 감지하지 못한다. 이를 위해 특별한 요 시험지 검사법을 이용하게 되고, 이 검사에 양성이 발견될 경우 방사면역측청법(radioimmunoassay)을 이용해 확진하게 된다.

4. 그 외 단백뇨에 중요한 검사법

3. 치료

단백뇨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뇨병, 루푸스, IgA 신증,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및 다양한 원인을 찾는 것이 단백뇨 치료법의 근간이 된다.

병원에서 단백뇨 판정을 받았을 경우 원인이 되는 병을 찾게되는데, 당뇨병이 가장 가능성이 높고 간혹 감염이나 다른 질병이 원인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백뇨 없애는 방법 시행하는 것도 방법이 된다.

물론 일시적 증상인 경우도 많지만 정말 드문 확률로, 부산 백병원에서 단백뇨 판정을 받고 정밀 검사를 해보니(오진 가능성으로 빅5를 포함 두 곳 이상에서 검진) 국내에 삼성 서울병원이랑 서울 세브란스병원에 각각 1명씩밖에 케이스가 없었던 극악의 희귀병이 나온 사례도 있다.

그 외, ACE 억제제를 통해 단백질의 배출을 저하시키며, 부종(edema)이 발견될 경우 이뇨제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플루 및 폐렴 백신을 투여해 감염의 발병을 줄이게 된다.


[1] 정밀 진단은 신장내과에서 한다.[2] 신부전을 잘못 쓴 게 아니다. 심부전도 원인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