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5:06

오토프리트 3세

파일:Goldenbaum-Dynasty.png
골덴바움 왕조 은하제국 황제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8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대제
루돌프
지기스문트 1세 리하르트 1세 오토프리트 1세 카스퍼
6대 7대 8대 9대 10대
율리우스 치우제
지기스문트 2세
재건제
오토프리트 2세
아우구스트 1세 에리히 1세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리하르트 2세 오토 하인츠 1세 리하르트 3세 유혈제
아우구스트 2세
지혈제
에리히 2세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프리드리히 1세 레온하르트 1세 프리드리히 2세 레온하르트 2세 패군제
프리드리히 3세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막시밀리안 요제프 1세 백일제
구스타프
청안제
막시밀리안 요제프 2세
원수양산제
코르넬리우스 1세
만프레트 1세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헬무트 망명제
만프레트 2세
빌헬름 1세 빌헬름 2세 코르넬리우스 2세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오토프리트 3세 에르빈 요제프 1세 강정제
오토프리트 4세
오토 하인츠 2세 오토프리트 5세
36대 37대 38대
프리드리히 4세 에르빈 요제프 2세 카타린 케트헨 1세 로엔그람 왕조 }}}}}}}}}

오토프리트 3세
Otfried III · オトフリート3世
파일:external/cdn.mirror.wiki/Otfried_III.jpg
OVA[1]
인물 정보
<colbgcolor=#eee,#222> 신체 정보 남성, ???cm, ?형
생몰년 ?(40대 중반)
재위 ?
가족 관계 불명
국적 및 소속 은하제국 골덴바움 왕조
최종 직위 은하제국 황제
별칭 없음
미디어 믹스 정보
성우 없음
파일:Goldenbaum-Dynasty.png 골덴바움 왕조 역대 황제 파일:Goldenbaum-Dynasty.png
코르넬리우스 2세 오토프리트 3세 에르빈 요제프 1세
1. 개요2. 생애와 통치

1. 개요

Kaiser Otfried von Goldenbaum III

은하영웅전설의 등장인물. 골덴바움 왕조의 31대 황제.

2. 생애와 통치

황태자 시절에 제국재상, 군무상서, 통수본부총장, 우주함대 사령장관을 겸임한 인물이었다. 황희?[2] 이는 제국 역사상 최초로 한 사람이 모든 요직을 거머쥔 것으로, 황태자란 배경도 어느정도 작용했겠지만 유능하고 인망있었다는 인물평을 고려하면 제국의 사실상 모든 직무를 겸임할 수 있을 정도의 먼치킨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3][4]

황태자씩이나 되는 양반이 제국재상을 역임했고, 결국 나중에 제위에 올라 황제가 되는 바람에 예우 차원에서 제국재상이란 직함이 영구봉인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5] 이로 인해 이후 국무상서로 임명된 신하가 제국재상 대리라는 칭호를 부여받고 사실상 제국재상이나 다름없는 업무를 맡게됐다.[6]그런데 제국군 3대 장관은 그대로라는게 아이러니

하지만 막상 제위에 오르고 나자 황태자 시절의 모습은 사라지고 자기 자신 이외의 모든 사람을 의심하고 적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끊이지 않는 궁정 음모 때문이었는데[7] 이를 빌미로 황후를 4번, 황태자를 5번 교체했고, 나중에는 아예 독살을 우려하며 식사마저 거부하다가 40대 초반에 심신쇠약으로 요절하고 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5
, 3.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은하계사 개략이나 골덴바움 왕조 비사 등에서는 등장도 언급도 않지만 본편 36화에서 골덴바움 왕조에서 제국재상이 공석인 이유를 말할 때 언급되며 잠시 초상화로나마 나온다.[2] 코르넬리우스 2세 재위 말에 후계자 문제가 불거졌기에 제위 계승이 다급했던 코르넬리우스 2세가 능력 좋은 종친을 양자삼아 정통성을 몰아준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생각해보면 꼭 황태자가 직계자손이 되어야 할것도 없으려니와 이미 골덴바움 왕조엔 사촌을 양자삼아 즉위시킨 전례가 있다. 무엇보다 몸이 좋지 않았던 코르넬리우스 2세가 아들 하나 만들수나 있었을지...[3] 그 막장에 진입한 프리드리히 4세 치하의 골덴바움 왕조에서도 적어도 군에서는 비교적 공정성을 유지했다는 측면을 생각해보면 제국재상은 모를까 제국군 3대 장관은 그걸 맡을 능력이 있었기에 앉을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4] 헤르베르트의 경우 차기 황태자감 덕에 다곤 성역 회전의 총사령관이 되었지만 총사령관이나 받은 군계급인 원수 계급은 고사하고 일반 병만도 못한 군기강을 보여주는 추태를 보였다. 당연히 이런 작자가 제대로 된 지휘를 했을 리 없고 전투를 거하게 말아먹었다.[5] 당태종 이세민이 즉위하기 전 상서령으로 있었기 때문에 그 뒤로 당나라에서 상서령은 공석이었다. 북한 김일성가 죽고 김정일이 뒤를 이으며 사실상의 주석이지만 주석이 아닌 국방위원장으로 살다 죽었고, 그도 죽은 뒤에 김정은이 국방위원장직을 공석으로 만들고 자신은 국무위원장이 된 걸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6] 그러나 이는 리히텐라데, 라인하르트가 제국재상에 임명됨에 따라 깨진다.[7] 이미 전대에 '가짜 알베르트 대공 사건'이 일어난데다가, 또 그 전대에는 가짜 알베르트 대공 사건의 계기가 된 알베르트 대공 실종사건이 벌어지는 등, 골덴바움 왕조는 말기로 갈수록 궁정 음모가 판을 쳤다. 심지어 사실상 최후의 골덴바움 왕조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4세의 경우는 자식이 28명이나 되었지만, 이 중에서 무사히 성인으로 자라 후사까지 얻은 자식은 단 세 명뿐이었을 정도다. 이렇게 프리드리히 4세의 자식이 많이 죽은 이유도 궁정 음모 때문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