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9:03:10

오키나와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키나와어
1. 개요2. 품사
2.1. 명사
2.1.1. 대명사
2.1.1.1. 인칭대명사2.1.1.2. 지시대명사2.1.1.3. 의문사2.1.1.4. 부정대명사2.1.1.5. 재귀대명사
2.1.2. 파생명사2.1.3. 수량명사2.1.4. 합성어
2.2. 조사
2.2.1. 주격조사2.2.2. 목적격조사2.2.3. 여격조사2.2.4. 특립조사2.2.5. 부조사
2.3. 동사형용사
3. 부정 의문문4. 참고 문헌

1. 개요

오키나와 방언의 문법과 품사를 설명하는 문서다.

2. 품사

2.1. 명사

2.1.1. 대명사

2.1.1.1.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 뒤에 '~たー(~達)'가 붙으면 집합체를 뜻하는 말이 된다.
2.1.1.2. 지시대명사
범례 근칭 중칭 원칭
원형 く- う- あ-
사람/것 くり うり あり
사람들 くったー うったー あったー
くま っんま あま
근처 くりかー うりかー ありかー
정도 くっぴ うっぴ あっぴ
くっさ
くっぺーるー
うっさ
うっぺーるー
あっさ
あっぺーるー
관형사 くぬ
くん
うぬ
うん
あぬ
あん
오키나와의 지시어 く、う、あ는 각각 일본어의 지시어 こ、そ、あ에 대응되나 일본어와 다르게 청자로부터의 거리가 아닌 화자 본인으로부터의 거리만 따진다. 공간적·심리적으로 화자에 가까운 대상은 근칭, 먼 대상은 원칭, 둘 다 아닌 경우 중칭을 쓴다. 이에 따라 일본어 화자가 근칭으로 표현할 것도 오키나와어 화자는 중칭으로 표현할 수 있다.
2.1.1.3. 의문사
2.1.1.4. 부정대명사
의문사에 접미사 '-がな'나 '-ん'을 붙이면 부정대명사가 된다.
부정대명사로 쓰인 의문문은 문장 전체의 사실 여부를 묻는 의문문이 된다.
2.1.1.5. 재귀대명사
접미사 '-くる'를 붙이면 '자신의/자체로/스스로'란 뜻을 가지는 재귀대명사가 된다.

2.1.2. 파생명사

2.1.3. 수량명사

오키나와어의 수사 (1 ~ 10)
아라비아
숫자
1 2 3 4 5 6 7 8 9 10
한자
훈독 てぃー たー みー ゆー いち むー なな やー くくぬ とぅー
음독 るく はち じゅー
다음 접미사는 수사의 훈독과 결합해 규칙적으로 수량명사가 만들어진다. 이때 1의 경우 ちゅ를 쓰며, 훈독의 장음은 とぅー을 제외하면 생략된다.

2.1.4. 합성어

2.2. 조사

2.2.1. 주격조사

한국어의 이/가, 일본어의 が에 해당한다.

2.2.2. 목적격조사

2.2.3. 여격조사

2.2.4. 특립조사

2.2.5. 부조사

2.3. 동사형용사

3. 부정 의문문

영어와 마찬가지로 부정 의문문의 대답은 긍정 의문문과 같다.

4. 참고 문헌


[1] 한국어에서는 '은/는'을 보조사(補助詞), 일본어에서는 'は'를 부조사(副助詞) 또는 계조사(係助詞)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