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15:49:45

오스트리아-리히텐슈타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다자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유럽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중세2.2. 근세2.3. 19세기2.4. 20세기2.5. 21세기
3. 관련 문서

1. 개요

오스트리아리히텐슈타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2.1. 중세

리히텐슈타인은 오스트리아와 함께 동프랑크 왕국의 일부였다. 동프랑크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현대 리히텐슈타인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봉토였으며, 리히텐슈타인 가문오스트리아 공국 에 기반을 둔 귀족 가문이었다.

2.2. 근세

빈에 기반을 둔 리히텐슈타인 가문이 오늘날의 리히텐슈타인을 매입한 것은 순전히 제국의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욕망때문이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6세의 윤허을 얻어 파두츠 백작령과 셸렌베르크 남작령을 매입하여 제국의회에 참여할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순수한 정치적 목적으로 매입한 땅이라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19세기까지 리히텐슈타인을 방문하지 않고 쭉 빈에 머무르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족을 자처했다.

2.3. 19세기

신성 로마 제국은 나폴레옹 전쟁의 와중에 해체되었고, 파두츠와 셸렌베르크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남았다. 여전히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오스트리아 빈에 머물렀고, 리히텐슈타인 내각에는 오스트리아인이 임명되었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당시에는 리히텐슈타인이 오스트리아에 80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2.4. 20세기

1903년 리히텐슈타인의 알로이스 공자가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아말리 여대공과 결혼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었지만 리히텐슈타인은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의 속국과 같은 애매한 신세였다.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합병된 후 아돌프 히틀러홀로코스트가 벌어지자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그때서야 오늘날 리히텐슈타인으로 이주해 자리잡았다. 리히텐슈타인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에 중립을 선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히텐슈타인은 스위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는 스위스와 함께 중립국이 되었다.

2.5. 21세기

오스트리아와 리히텐슈타인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공통점이 존재한다. 양국은 독일어가 공용어이고 독일어권 국가들에 속해 있다. 스위스가 리히텐슈타인의 국방을 담당하고 있지만, 오스트리아와의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또한, 오스트리아가 유럽연합에 속해 있어서 리히텐슈타인은 주변국들과 교류하고 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