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유럽 | |||||
대한민국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독일 | 리히텐슈타인 | ||
폴란드 | 체코 | 헝가리 | 영국 | 프랑스 | ||
스페인 | 이탈리아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튀르키예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크로아티아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
다자관계 | ||||||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
유럽 | |||||
스위스 | 오스트리아 | 독일 |
오스트리아 | 리히텐슈타인 |
1. 개요
오스트리아와 리히텐슈타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2.1. 중세
리히텐슈타인은 오스트리아와 함께 동프랑크 왕국의 일부였다. 동프랑크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현대 리히텐슈타인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봉토였으며,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오스트리아 공국 빈에 기반을 둔 귀족 가문이었다.2.2. 근세
빈에 기반을 둔 리히텐슈타인 가문이 오늘날의 리히텐슈타인을 매입한 것은 순전히 제국의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욕망때문이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6세의 윤허을 얻어 파두츠 백작령과 셸렌베르크 남작령을 매입하여 제국의회에 참여할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순수한 정치적 목적으로 매입한 땅이라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19세기까지 리히텐슈타인을 방문하지 않고 쭉 빈에 머무르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족을 자처했다.2.3. 19세기
신성 로마 제국은 나폴레옹 전쟁의 와중에 해체되었고, 파두츠와 셸렌베르크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남았다. 여전히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오스트리아 빈에 머물렀고, 리히텐슈타인 내각에는 오스트리아인이 임명되었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당시에는 리히텐슈타인이 오스트리아에 80명의 병력을 파견했다.2.4. 20세기
1903년 리히텐슈타인의 알로이스 공자가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아말리 여대공과 결혼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었지만 리히텐슈타인은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의 속국과 같은 애매한 신세였다.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합병된 후 아돌프 히틀러의 홀로코스트가 벌어지자 리히텐슈타인 가문은 그때서야 오늘날 리히텐슈타인으로 이주해 자리잡았다. 리히텐슈타인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에 중립을 선포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히텐슈타인은 스위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는 스위스와 함께 중립국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