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04:15:47

오빠생각(영화)


이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8D9872><width=33.3%> 파일:연애소설 로고.png ||<width=33.3%><bgcolor=#32CD32> 파일:청춘만화 로고.png ||<width=33.3%><bgcolor=#DC546C> 파일:내 사랑(2007) 로고.png ||
연애소설 (2002) 청춘만화 (2006) 내 사랑 (2007)
파일:완득이(영화) 로고.png 파일:우아한 거짓말 로고.png 파일:오빠생각(영화) 로고.png
완득이 (2011) 우아한 거짓말 (2014) 오빠생각 (2016)
파일:증인(영화) 로고.png 파일:달짝지근해2024.jpg
증인 (2019) 달짝지근해: 7510 (2023)


오빠생각 (2016)
A Melody To Remember
파일:external/f808163ad95206774f6ac5a75a3a3a5ab87efa6a1adda2ab5b84a5e4d4c06304.jpg
감독 이한
각본 이우탁
출연 임시완, 고아성, 이희준, 이준혁, 정준원, 이레, 탕준상
장르 드라마
제작사 조이래빗
배급사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촬영 기간 2015년 5월 18일 ~ 2015년 9월 26일
개봉일 2016년 1월 21일
VOD/스트리밍 파일:Apple TV+ 로고.svg | 파일:wavve 로고.svg
상영 시간 124분
월드 박스오피스 $6,515,733
총 관객수 1,069,534명(최종)[1]
국내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
2.1. 시놉시스
3. 등장인물4. 평가5. 논란6. 고증오류7. 흥행

[clearfix]

1. 개요

2016년 1월 21일 개봉. 해당 영화는 실제 전쟁 중에 활동했던 해군 정훈음악대 어린이 합창단을 모티브로 했으며 제목은 동명의 동요 '오빠생각'에서 따 왔다. 2016년 4월 30일 제 18회 이탈리아 우디네 극동영화제에서 '로봇, 소리' 및 '더 모히칸 컴즈 홈'과 함께 영화제 참가관객 투표로 선정하는 관객상을 공동수상했다.

2.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음악 예고편 ▲ 뮤직 비디오

2.1. 시놉시스

전쟁으로 소중한 가족도, 지켜야 할 동료도 모두 잃은 군인 ‘한상렬’(임시완). 우연히 전출 명령을 받아 머물게 된 부대 내에서 부모를 잃고 홀로 남은 아이들을 만나게 된다.

아이들의 해맑은 모습에 점차 마음을 열게 된 그는 자원봉사자 선생님 ‘박주미’(고아성)와 함께 어린이 합창단을 만들어 노래를 가르치기 시작하고, 이들의 노래는 언제 목숨을 잃을지 모르는 전쟁 한가운데 놓인 모든 이들의 마음을 울리기 시작하는데...

전쟁 한가운데, 작은 노래가 만든 위대한 기적이 시작된다!

3. 등장인물

파일:external/e0bf248141ad14a846010052e6be7f5d4f5b4692253f5a44b8230b10baf0e730.jpg파일:external/fa4f0fb89636c92f41f5de976d019dca78a19fc5f199aaa9ce0d50919b671938.jpg파일:external/2c0fee4e4dc9c0e06d722947095f0f70a467f9d2633039144428bdb20b5285bc.jpg파일:external/bc98e7cb9831e359f18e3606cc0260d91d22f09d71a4a7b4b70bcadd7e172cd0.jpg
한상렬 (임시완) 박주미 (고아성) 갈고리 (이희준) 동구, 순이 (정준원, 이레)

4. 평가

신파는 늙지도 않아(★★☆)
-박평식
에두르지 않는 단순한 스토리라인, 익숙한 갈등을 바탕으로 명확한 감동의 지점을 이끈다. 하지만 좀 더 짜임새 있는 디테일들이 아쉽다. [변호인]과 드라마 [미생]에 이어 극을 온전히 이끄는 역할을 소화한 임시완과 합창단 단원을 연기한 정준원의 연기 하모니가 좋다.(★★★)
-이화정
한국 전쟁 당시 실화를 바탕으로 영화. 증오와 대립의 전쟁터에서, 화음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한다. 기교 없이 진성으로 부르는 아이들의 노랫소리는 관객을 강하게 끌어들이는 요소다.(★★★☆)
-김형석

일반 관람객 평점 평균은 8점대인데, 평론가들의 평균 평점은 5점대. 《히말라야》처럼 신파적 요소가 지적받는다. 신파적 요소는 둘째 치고 전반적으로 만듦새에 큰 문제가 있다. 우선 정확한 주인공이 누구인지 불분명하다. 포스터나 예고편만 보면 단연 임시완이 연기한 한상렬이 원톱 주연을 맡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한상렬은 극중에서 관찰자 역할에 가깝다. 그러면서도 합창단 조직, 지휘, 결합 등 주인공이 맡아야 할 플롯을 이끄는 포지션도 겸하고 있어 위치가 애매하다. 영화 속에서 실질적인 주인공 역할은 동구가 맡고 있다. 동생 순이를 지켜야 한다는 의무감, 갈고리의 명령으로 어쩔 수 없이 부정을 저지르나 어느 새 정이 든 합창단과의 사이에서 갈등, 동구의 아버지에 의해 어쩔 수 없이 가족이 희생됐던 춘식과의 갈등 등 주인공이 겪을 법한 갈등과 고민의 무게를 짊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동구는 "오빠생각"의 오빠가 되는 대상이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가족이 죽는 트라우마를 겪은 순이의 성장도 극중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고, 순이가 마지막을 장식하기 때문에 "오빠생각"을 하는 그녀가 주인공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주인공의 역할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극을 확실하게 이끌어나가는 주체가 불분명해 관객들에게 혼란을 제공한다.

주인공이 분명하지 않은 만큼 감정선이 끊긴다는 것도 문제. 관객들이 믿고 극을 따라갈 수 있는 주체가 없다 보니 여러 인물들의 감정선이 혼재해 있어 매우 산만한 영화가 되었다. 주연들의 고민 뿐만이 아니라, 조연들의 슬픔까지 모두 그려내다 보니 잡탕찌개처럼 된 구석이 없잖아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 영화 특유의 신파적이고 감정적인 장면이 상당히 많이 보이며, 너무나도 예측 가능한 진부하고 평탄한 스토리 전개가 치명적인 단점으로 손꼽힌다. 이렇다 보니 사건도 하나의 서사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기까지만 나오고, 전이 없이 갑자기 결로 넘어간 부분도 존재한다. 특히 악역인 갈고리의 갑작스런 개선, 본작의 최종 보스로 보였던 갈고리를 부려먹던 소아성애자 '도련님' 의 존재가 도중에 갑자기 사라지면서 극이 갑작스럽게 막을 내린다. 그리고 전쟁 영화와 아이들 영화, 음악 영화 사이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고 무너져버린 것도 문제점이다. 전쟁 영화라기에는 전투 장면이 별로 없고 너무 소박하며, 아이들 영화라고 하기에는 어른들의 이야기가 너무 불필요하게 많이 들어있다. 그리고 음악 영화라기에는 합창이 극의 핵심적인 역할이 아니라 눈요기 거리 정도로 들어간 부수적인 것이라서 매력을 어필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런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서로 어긋나기만 하던 등장인물들이 음악을 통해 서로 갈등을 극복하고 화합해가는 과정인데 본작은 이런 과정 없이 어느 순간 얼렁뚱땅 서로 친해져 있어서 몰입을 이끌어내지 못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반드시 주인공 한명과 조력자가 나오고 악당(혹은 악의 축)으로부터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는 정해진 플롯, 이런건 우리에게 익숙한 것일뿐 반드시 이러한 틀을 지켜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오빠생각은 전쟁으로 피폐해진 임시완이 자신과 같이 전쟁의 피해를 입은 아이들을 관찰자의 시점으로 바라보고 함께하며 정을 쌓는 영화다. 이 영화는 전쟁 당시를 살아간 아이들, 그 자체와 그걸 바라보는 어른들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즉, 그 시대가 주인공이라 볼 수 있겠다. 그렇기에 극중의 선한 조연들의 슬픔까지 함께 담아내는 것이며 이런면이 한편으로는 아련하게 다가오기도 한다.[2]

또한 한국 영화 특유의 신파적이고 감정적인 장면이 상당히 많고 뻔한 스토리라고 하지만 이 또한 보기 나름. 한국 전쟁과 분단의 비극이 어서 끝나길 바란다고 영화 전후로 나오는데 그러한 영화치고는 무난한 편이다. 뻔한 스토리의 기준이란 무엇인가? 감동대작이라고 홍보를 하는데 감정적인 장면이 상당히 많다고 까는건 무엇인가? 그 기준이 되는 감동적 장면의 횟수제한이 있는가? 본작은 분명 여느 한국 영화들처럼 극단적일 정도로 억지스런 신파로 몰고 가지는 않고 어느 정도 선을 지킨다. 감정적인 장면이 많은 것 자체는 장르적인 특성으로 눈감아 넘어갈 수 있지만, 그 감정이 쌓이고 해소되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고 느닷없이 화해와 감동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비판받는 것이다. 이 역시 앞서 지적한 플롯의 문제점이 없었다면 따로 언급되지 않았을 것이다. 비슷한 합창 영화라고 볼 수 있는 《코러스》, 《시스터 액트》, 《사운드 오브 뮤직》 등은 모두 본작과 비슷하게 딱 보면 전형적인 줄거리를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들이 명작이라고 칭송 받는 이유는 각 캐릭터들의 역할이 분명하며 스토리 전개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딱히 신파로 몰고가거나 감동을 강조하지 않아도 관객들의 몰입을 이끌어내기 때문이다.

부담 없이 보기 편한 '착한 영화'로 근래 한국 영화 중 보기 드물게 순수한 아이들의 동심을 강조한 영화이기도 하다. 적어도 본 영화는 과도한 억지감동없이 잔잔하게 아이들에게 집중하게 해준다고 평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이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들도 있다. 해맑게 노래를 부르는 아이들의 모습은 충분히 사랑스러우며, 아역 배우들의 연기가 탄탄한 편이다. 그리고 작중 등장 인물들의 상처가 모두 '동심'과 연결되어 있기도 하다. 한상렬에게는 전쟁 중 어린 동생과 얽힌 트라우마가 있으며, 고아성이 연기한 박주미도 전쟁의 힘겨움을 아이들을 통해 이겨내려고 한다. 그리고 이희준이 연기한 갈고리는 대놓고 후크 선장을 오마주한 캐릭터로 '잃어버린 동심'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5. 논란

금융위원회에서 금융사들에게 영화예매권을 대량으로 사달라고 요청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임시완이 금융위원회 핀테크 정책 홍보대사이기 때문인데 이에 10개의 금융사들이 각자 3천~1만 7천장의 예매권을 구매했고 최소 4만여장을 구매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금융사들을 관리/감독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이들의 요청은 사실상 강매나 다름없다.

6. 고증오류

7. 흥행

1월 21일에 개봉하여 개봉 첫 주에 전국 854개관에서 1만 6,346회 상영되었으며 48만 2,090명을 동원했고, 37억 5,301만 431원을 벌어들였다. 그래서 1월 24일까지 누적 관객 수는 50만 1,641명이며, 누적 매출액은 39억 2,098만 7,431원으로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에 이어 박스오피스 2위로 데뷔했다. 손익분기점이 300만명인 상황에 아주 암울한 성적표를 받았는데 《로봇, 소리》, 《쿵푸팬더 3》 등 경쟁작들이 개봉하는지라 흥행 전망은 더 어두운 편이다. 예상대로 <쿵푸팬더3>가 개봉하자 바로 상영관이 대폭 줄어들었다. 그리고, 결국 2월 16일부로 IPTV행이 확정되었다.

[1] 손익분기점이 300만이기 때문에 30%의 소득밖에 못 본, 70%를 손실한 실패한 영화가 되었다.[2] 영화는 한 두 명이 쉽게 뚝딱 만들어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상당히 많은 사람의 노력과 자본이 투자되어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지는 만큼 당연히 영화 만들기의 법칙이 있다. 따라서 영화 감상에 개인차가 존재하는 건 당연하지만, 위에서 언급된 플롯의 단점은 이미 여러 관객들과 전문가들에게 지적받은 것처럼 영화의 틀에 어긋나는 이 영화의 문제점이 맞다.[3] 굳이 변호를 해주자면 서방에서는 소련을 러시아라고 부르기도 했고, 또 소련 자신도 '러시아'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기 때문에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라고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