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23:02:31

오닉스코인 (XCN)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파일:비트코인 아이콘.svg 비트코인 | 파일:이더리움 심볼.svg 이더리움 | 파일:Tether 심볼.svg 테더 | 파일:XRP 심볼.svg 엑스알피(리플) | 파일:BNBcoin.png BNB
파일:솔라나로고.png 솔라나 | 파일:USDC-logo.png USDC | 파일:ada-coin-logo.png 에이다(카르다노) | 파일:도지코인 로고.svg 도지코인 | 파일:비트캐시로고.png 비트코인 캐시
파일:라이트코인 심볼.svg 라이트코인 | 파일:EthereumClassic.png 이더리움 클래식 | 파일:Pi-Network 로고.svg 파이 네트워크 | 파일:스텔라루멘 아이콘.svg 스텔라루멘 | 파일:HBAR.png 헤데라
파일:스택스로고3.png 스택스 | 파일:비트코인 아이콘.svg 비트코인 SV | 파일:알고랜드 아이콘.svg 알고랜드 | 파일:NEO(암호화폐) 아이콘.svg NEO | 파일:ICON-EOS.png 이오스
파일:IOTA Mark White.png 아이오타 | 파일:클레이튼 신로고.png 클레이튼 | 파일:비트코인 골드 아이콘.svg 비트코인 골드 | 파일:베이직 어텐션 토큰 아이콘.svg 베이직 어텐션 토큰 | 파일:Qtum 아이콘.svg Qtum
파일:NEM 아이콘.svg NEM | 파일:finschialogoonly.png 핀시아 | 파일:Creditcoin_2021_02_21_new_mark.png 크레딧코인 | 파일:스테이터스 네트워크 아이콘.svg SNT | 파일:ICON-omisego.png 오미세고
파일:ICON-CVC.png 시빅 | 파일:카이버 네트워크 로고.png 카이버 네트워크 | 파일:trustverse-logo2.png 트러스트버스 | 파일:xpc.png XP­Chain | 파일:Gluwacoin logo.png 글루와코인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국내 주요 거래소파일:업비트 로고.svg 업비트 · 파일:빗썸 아이콘.svg 빗썸 · 파일:코인원 아이콘.svg 코인원 · 파일:코빗 로고.svg 코빗 · 파일:고팍스 로고.svg 고팍스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파일:바이낸스 로고.svg · 파일:Coinbase 로고.svg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파일:크립토닷컴 로고 가로형.svg · HTX
관련 이슈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범죄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사건/사고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오닉스코인
Onyxcoin (XCN)
<colbgcolor=#222222><colcolor=#ffffff> 기호 XCN
출시일 2022년
총 공급량 48,470,523,779 XCN
유통량 약 26,150,000,000 XCN
개발사 Onyx Protocol / 이전에는 Chain Protocol
블록체인 이더리움(ERC-20) 기반
공식 웹사이트 onyx.org

1. 개요2. 특징3. 최근 동향4. 유사 사례5. 여담


1. 개요

오닉스코인(Onyxcoin, XCN)은 탈중앙화 금융 인프라 플랫폼인 Onyx Protocol에서 발행한 유틸리티 토큰이다. 원래는 Chain Protocol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으나, 2023년 이후 Onyx 브랜드로 전환되었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며, 주로 거버넌스 투표, 프로토콜 수수료 지불, 리워드 지급 등 다양한 기능에 활용된다.

2. 특징

* **거버넌스** : XCN 보유자는 Onyx DAO를 통해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정책 변경 등에 참여할 수 있다.
* **수수료 절감** : 프로토콜 내 서비스 사용 시 XCN으로 결제하면 수수료 할인이 적용된다.
* **스테이킹 리워드** : 일정 수량 이상의 XCN을 예치하면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3. 최근 동향

2023년을 기점으로 기존 Chain 브랜드에서 Onyx로 리브랜딩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생태계가 개편되었다. 디파이 및 DAO 기반 금융 서비스와의 연계를 강화하며 거버넌스 중심의 토큰으로 발전 중이다.

4. 유사 사례

오닉스코인의 유틸리티 구조는 사용자 참여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다른 플랫폼형 프로젝트들과 유사하다. 예컨대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활동(댓글, 콘텐츠 소비 등)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자체 토큰인 RWD로 전환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XCN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행동을 기반으로 한 보상 메커니즘이 특징이다.

5. 여담

* Chain이라는 초기 명칭으로 인해 구글 검색 시 블록체인 일반 용어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 2024년 기준, 바이낸스 및 쿠코인 등 글로벌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