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04 23:56:28

영산회상

1. 개요2. 역사3. 구성4. 종류
4.1. 응용
5. 기타

1. 개요

靈山會相

한국의 전통 정악으로, 9곡 내지 8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조곡)이다. 정악의 대표주자이자 간판스타로, 정악에 입문한 사람들이 도드리 등으로 기초를 닦고 나면 가장 심혈을 기울여 연습하는 곡이기도 하다.

2. 역사

원래 이 곡은 불교의 성악곡이 기원이다. 옛 악보를 살펴보면, 염화미소로 유명한 석가모니영취산(靈鷲山)[1] 설법을 기리기 위해서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이라는 일곱 자를 두 장단에 한 글자씩 붙여 노래하던 불교의 소박한 종교음악이었다. 이런 음악이 후대로 내려오면서 변하기 시작하는데, 임진왜란 이후 1680년도 출간된 거문고악보인 <금보신증가령>에 의역한 것이다.

3. 구성

기본적으로 아래의 아홉 곡으로 구성된다.

영산회상불보살의 원형은 상영산이며, 이것을 변주한 것이 중영산~가락덜이이다. 여기에 도드리장단의 곡들을 비롯한 다른 곡들이 첨가되어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바뀐 것이다.

4. 종류

악기의 편성이나 조의 편성에 따라 세 가지 종류의 영산회상이 존재한다.일반적으로 영산회상이라고 하면 현악 영산회상을 지칭한다. 각 영산회상에 관한 설명은 해당 항목 참조.

특히 현악 영산회상의 경우 천년만세를 끝에 연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천년만세를 연이어서 연주하는 것을 '가진회상'이라고 하고 군악에서 끝내는 것을 '민회상'이라고 한다.

4.1. 응용

또 변형곡으로 관악 영산회상의 일부를 연주하는 함녕지곡, 현악 영산회상밑도드리를 삽입하여 연주하는 정상지곡(별곡)이 있다.

5. 기타

영산회상 전곡은 8~9곡을 다 연주할 경우 박자를 속히 잡으면 45~50분, 느리게 잡으면 1시간여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전곡을 연주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한두 곡만 떼어 연주하는 편이다. 전곡을 합주할 때는 주자들이 상령산[6] 중반부부터 졸기 시작해서 염불도드리 후반에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부분에서 깨기 시작한다고 하는 우스갯소리 역시 존재한다.

어찌 되었든간에 이 곡은 국악의 대표적 특징인, 하나의 곡조가 어떻게 변하고 파생되어 수 많은 곡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들으면 들을수록 다채롭고 깊은 맛이 우러난다. 명실공히 국악 가운데에서 명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1] '영취산'이라고도 하고, 鷲를 '축'으로 읽어 '영축산'이라고도 한다. 팔리어로는 깃자꿋따(Gijjhakūṭa)라고 하며, '신성한 독수리의 산'이라는 뜻으로 의역한 것이다. 오늘날 인도비하르 주에 있다.[2] 일반적으로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으로 읽고 쓰는 경우가 많은데 공식 명칭은 상영산, 중영산, 세영산이다. 靈은 본음이 '령'이라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한 '령'으로 읽어야 하지만, 上靈山/中靈山/細靈山은 '靈山(영산)'이라는 단어에 上/中/細라는 접두어가 붙은 것으로 보아 상영산/중영산/세영산으로 읽는다.[2] [2] [5] 현악 영산회상에만 포함된다.[6] 상령산 한 곡만 약 10분을 차지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