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7:33:55

연마(하스스톤)


하스스톤의 키워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고전 세트 키워드 (ㄱㄴㄷ 순)
과부하도발독성돌진면역모면발견
비밀빙결생명력 흡수선택속공연계은신
전투의 함성주문 공격력죽음의 메아리질풍차단천상의 보호막침묵
핵심 세트 키워드 (ㄱㄴㄷ 순)
개전 교환성 시체 초과 치유추방자 환생
확장팩 추가 키워드 (출시 순)
뽑을 때 시전 휴면 미니미 특대화 관광객 일시적 우주선
연마 어둠의 선물
확장팩 추가 키워드(야생) (출시 순)
광풍예비 부품격려비취 골렘적응 퀘스트/보상 소집
잔상합체압살 이중 주문 졸개 기원 부가 퀘스트
/보상
주문폭주 타락 광폭 퀘스트 전개
/보상
명예로운 일격 거수 인양
주입 마나갈증 피날레 티탄 제련 발굴 빨리 뽑기
모험모드/전장 전용 키워드 (출시 순)
자동 공격 제단 기선 제압 한 턴에 한번 혈석 복수 주문제작
독소
전장에서도 사용 가능한 키워드다.

}}} ||

파일:꿈속워터마크.png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Warrior_64.png
전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Shaman_64.png
주술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Rogue_64.png
도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aladin_64.png
성기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Hunter_64.png
사냥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Druid_64.png
드루이드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Warlock_64.png
흑마법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Mage_64.png
마법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riest_64.png
사제
파일:임시 악사2.png
악마사냥꾼
파일:죽음의 기사 아이콘.png
죽음의 기사
파일:하스스톤_중립아이콘.png
중립
<colbgcolor=#444><colcolor=#fff> 직업 전설 일람
확장팩의 키워드 및 시리즈
연마 / 어둠의 선물
공포씨앗파일:임시 악사2.png / 불어오른 거머리파일:죽음의 기사 아이콘.png
전체 카드 일람 / 확장팩 별 카드 일람

1. 개요2. 평가3. 변경되는 영웅 능력
3.1. 주술사 - 바람의 축복3.2. 사냥꾼 - 늑대의 축복3.3. 성기사 - 용의 축복3.4. 드루이드 - 골렘의 축복3.5. 마법사 - 위습의 축복3.6. 사제 - 달의 축복
4. 목록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연마할 때마다 강화되는 새로운 영웅 능력을 얻습니다.

Imbue

하스스톤의 확장팩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에서 추가된 특수 능력. 영웅 능력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며, 연마할 때마다 영웅 능력의 수치가 1씩 증가한다.

드루이드, 마법사, 사냥꾼, 성기사, 사제, 주술사에게만 주어지며, 연마 영웅 능력을 받지 못한 직업은 중립 연마 카드를 사용해도 효과를 받지 못 한다.

국내 번역명인 '연마'는 의역으로, 원문인 Imbue는 힘, 사상 등을 불어넣는다는 부여, 고취 등을 뜻하는 단어이다. 힘을 불어넣어 영웅 능력을 강화한다는 뉘앙스이나, 원문의 의미를 간결한 단어로 함축하기가 까다로웠는지 영웅 능력을 계속 강화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춰 의역되었다.[1]

연마 영웅 능력이 아닌 상태에서 일반 카드로 연마하면 일반 연마 영능이 되고, 일반 영웅 능력(연마 포함)인 상태서 황금 카드로 연마하면 황금 연마 영능이 된다. 황금 연마 영능인 상태에서 일반 카드로 연마한다고 일반 영능으로 바뀌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2. 평가

출시 이후 대부분의 유저들에게서 혹평을 받고 있는 키워드 효과인데, 격려처럼 영웅 능력을 위해 매 턴마다 2마나를 소모해가며 눌러야 한다는 부담감에 비해 얻는 대가가 너무 부실하기 때문에 연마 위주로 플레이했다가는 도저히 템포를 따라갈 수 없다. 연마 자체부터 후반 지향형의 강화 형식이라 초반에는 비싼 2마나에 비해 실질적 수치가 낮고 강화해서 쓰자니 연마 카드들도 대부분 비용 대비 효율이 낮아 초반이든 중반 이후든 필드 템포에서 밀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그나마 선방하던 사냥꾼 연마 덱마저 거품이 빠지고 다이아-전설구간 승률 50퍼센트를 넘는덱이 나오지 않아 알 사냥꾼으로 넘어갔다.

그렇다고 연마 영웅 능력 비용을 감소하는 식으로 상향하자니 마녀숲의 홀짝처럼 소소한 수치 변화가 나비 효과가 되어 게임 메타가 터진 경우가 너무나도 많았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도 연마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연마 컨셉을 살리기 위해 템포와 영웅 능력 비용이 둘을 보완할 수 있는 투기장 전용카드인 도망치는 나무정령을 데려오자는 의견이 심심찮게 나온다. 일단 확장팩이 진행되면서 드루이드가 연마 컨셉 성적이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반면 야생에서는 기존에 하자 덩어리던 마법사의 영웅 능력 컨셉이랑 융합하여 1티어덱으로 화려하게 부활하였는데, 한 번에 적 하수인 수+1만큼 영웅능력을 발동할 수 있는 무모한 견습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견습생의 말도안되는 시너지에 의존한 것으로 견습생을 쓰지 못하거나 견습생을 의식하고 필드를 적게 내면 템포로 이길 수 있을만큼 파워가 기형적인 덱이다.

3. 변경되는 영웅 능력

3.1. 주술사 - 바람의 축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주술사=, 없음=, 수집불가=, 영능=,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바람의 축복, 일러명=바람의 축복, 영문명=Blessing of the Wind,
비용=2,
효과=아군 하수인을 비용이 (1) 높은 무작위 하수인으로 변신시킵니다., 황금획득=주술사 등급전 500승)]

기본 영웅 능력 자체는 사령술사 스랄과 같으나, 연마를 진행하면 변신 대상의 비용이 1씩 증가하여, 죽기 스랄의 상위 호환의 영웅 능력이 된다. 하지만 영웅 능력이 바뀜으로서 자체 필드 장악력을 잃고 무작위 진화 특성상 비용 대비 능력치 총합이 부실하거나 패널티만 있는 죽메 하수인이 나올 수 있다는 단점은 여전하다.

3.2. 사냥꾼 - 늑대의 축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사냥꾼=, 없음=, 수집불가=, 영능=,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늑대의 축복, 일러명=늑대의 축복, 영문명=Blessing of the Wolf,
비용=2,
효과=내 손에 있는 무작위 야수에게 공격력 +1을 부여합니다. 그 야수의 비용이 (1) 감소합니다., 황금획득=사냥꾼 등급전 500승)]
연마하면 공격력과 비용 감소 수치가 함께 증가한다.

에메랄드의 꿈 확장팩 기준으로 선전하고 있는 연마 효과인데 주로 크룽이의 공격력을 올리면서 비용을 줄여 OTK를 하는 덱이 연구되었다. 이번에 등장한 골드린과 조합하면 데미지를 2배씩이나 펌핑할 수 있고, 정규에 아직사스꽥이 남아있기 때문에 OTK가 실패해도 다음 턴에 한번 더 쓸 수 있다.

3.3. 성기사 - 용의 축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성기사=, 없음=, 수집불가=, 영능=,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용의 축복, 일러명=용의 축복, 영문명=Blessing of the Dragon,
비용=2,
효과=내 덱에 에메랄드 차원문 둘을 섞어 넣습니다.,
효과2=차원문은 비용이 1인 용족을 소환합니다., 황금획득=성기사 등급전 500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성기사=, 없음=, 수집불가=, 주문=,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에메랄드 차원문, 일러명=에메랄드 차원문, 영문명=Emerald Portal,
비용=1,
효과=<b>뽑을 때 시전</b>\, 비용이 1인 무작위 용족을 소환합니다., 황금획득=황금 용의 축복의 효과)]
해방된 이세라의 꿈 차원문과 유사한 능력. 다른 연마에 비해 즉시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지만, 꿈지기 등 게임이 시작할 때 덱에 없는 카드를 뽑는 카드들이 있기 때문에 연계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바로 랩터의 해 핵심에 스팀청소로봇이 돌아온다는 점. 차원문을 많이 섞어넣은 후에 등장한다면 말 그대로 청천벽력이 된다.

연마를 하여 차원문이 생성하는 용족의 코스트가 증가했을 경우, 이미 덱에 섞여들어간 차원문의 생성 코스트도 증가한다. 영능 텍스트도 이를 반영하여 차원문을 섞는 효과와 차원문의 효과가 분할되어 있다. 또한 상대가 이 차원문 카드만 훔쳐갔을 경우 차원문으로 소환되는 용족의 비용은 상대가 연마한 횟수를 카운트한다. 가령 자신이 연마를 5번 했더라도 도적인 상대가 훔쳐갔을 경우 연마 횟수가 0이기에 1코스트 용족만 소환한다.

그럴듯한 효과와 달리 덱에 섞어 넣는 효과들이 그렇듯 원하는 타이밍에 뽑히지 않는다는 단점과 무작위 소환이라는 특성 때문에 숨겨진 함정 연마로 꼽힌다. 다른 직업의 연마와 달리 비용마다 능력치 총합이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아 특정 고비용 구간에선 오히려 이전 단계보다 손해인 경우가 많기도 하다.

[ 정규 용족 풀 펼치기 · 접기 ]
강력한 카드는 검은색 볼드, 함정 카드는 붉은색 볼드 표기.

1코스트 : 선물 포장 새끼용, 선박 의사, 적응형 융합체[2]
2코스트 : 꽃잎 행상인, 요정용
3코스트 : 금빛꽃잎 비룡[3], 청동 탐험가, 악몽의 용족
4코스트 : 고르곤조르무, 환영 녹색날개, 황혼의 비룡, 고통받은 섬멸자[4], 꿈지기, 월광 비룡
5코스트 : 고통받는 공포날개, 변이하는 생명체, 별비늘 별자리, 숙면하는 용, 시간 조율자 자리미
6코스트 : 교묘한 고룡, 종이 용, 점토 여왕용, 베라누스
7코스트 : 니센드라, 영원한 노즈도르무, 이손드레[5], 아나크로노스, 서리아귀
8코스트 : 용족의 별미, 칼렉고스[6], 태고의 비룡
9코스트 : 에메랄드의 위상 이세라, 잠꾸러기 용
10코스트 : 폭주하는 검은날개, 가시살이 비룡

3.4. 드루이드 - 골렘의 축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드루이드=, 없음=, 수집불가=, 영능=,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골렘의 축복, 일러명=골렘의 축복, 영문명=Blessing of the Golem,
비용=2,
효과=1/1 식물 골렘을 소환합니다., 황금획득=드루이드 등급전 500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드루이드=, 없음=, 수집불가=, 하수인=,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식물 골렘, 일러명=식물 골렘, 영문명=Plant Golem,
비용=1, 공격력=1, 생명력=1,
효과=-, 황금획득=황금 골렘의 축복의 효과)]
연마하면 공격력과 생명력이 둘 다 1씩 올라간다. 성장시킬 수 있는 골렘 하수인이라는 점에서 비취 골렘을 연상시키는 카드. 이 하수인 역시 스탯에 따라 일러스트가 변하는 기믹이 있다.

자체 성능은 그다지 좋지 않은데 속공도 없는 하수인 하나씩 천천히 소환되는 것 정도로는 필드 압박에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골렘들이 쑥쑥 크면서 구축하기 전에 제압기들로 각개격파당하거나 골렘들을 무시하고 명치만 패는 덱 스타일에 취약하다. 그나마 하뮬 룬토템의 개전 효과로 지속적인 연마가 쉽다는 장점은 있다.

3.5. 마법사 - 위습의 축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마법사=, 없음=, 수집불가=, 영능=,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위습의 축복, 일러명=위습의 축복, 영문명=Blessing of the Wisp,
비용=2,
효과=위습을 1마리 소환합니다. 모든 적에게 1의 피해를 무작위로 나누어 입힙니다., 황금획득=마법사 등급전 500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마법사=, 없음=, 수집불가=, 하수인=,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위습, 일러명=위습-에메랄드, 영문명=Wisp,
비용=0, 공격력=1, 생명력=1, 언데드=,
효과=-, 황금획득=황금 위습의 축복의 효과)]

연마하면 위습 소환 숫자와 피해가 함께 증가한다.

정규에서는 사냥꾼에 밀리는 감이 없지 않지만, 야생에서는 기존부터 존재하던 영웅 능력 강화 패키지, 특히 무모한 견습생과의 뛰어난 시너지 덕분에 연마를 사용하는 영능 덱이 주류로 자리매김했다. 잔뜩 연마시킨 영능을 견습생과 연계하면 적 캐릭터의 수만큼 연마 영능이 나가기 때문에 순식간에 상대 필드를 싹 지워버리고 상대 명치에 게임을 끝낼 정도의 피해를 누적한다. 브란과의 시너지도 좋으며, 불길로 피해량을 미리 강화시킬 수도 있고 홀로그램 조명기술자와의 시너지는 5코스트 황천에 가까운 수준이다.

3.6. 사제 - 달의 축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사제=, 없음=, 수집불가=, 영능=,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달의 축복, 일러명=달의 축복, 영문명=Blessing of the Moon,
비용=2,
효과=사제 하수인 또는 사제 주문을 선택해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그 하수인 또는 주문은 비용이 (1\) 감소하지만\, <b>일시적</b>입니다., 황금획득=사제 등급전 500승)]
형언할 수 없는 갈라크론드에 이은 생성계 영능. 영능을 사용하면 무작위 사제 하수인과 무작위 사제 주문이 1장씩 제시되고, 그 중 1장을 선택한다. 갈라크론드가 있을 당시 컨사제가 끔찍한 수준의 후반 밸류와 역겨움을 자랑한 것을 경계했는지, 선택지를 주고 비용이 줄어드는 대신 그 턴에 쓰지 않으면 버리도록 만들어졌다.

개발진은 이 영웅 능력이 리워크 이전 재포장된 라자와 시너지가 지나치게 좋다고 판단하였고, 결국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발매와 함께 라자의 리워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개발진의 예상과 달리 정작 연마 직업군 중에서 가장 나쁜 평가를 받고 있다.

위의 언급된 컨사제가 역겨움으로 악명이 높았던 이유는 당시 갈라크론드 카드 자체와 크롱스 드래곤후프의 카드 밸류가 높았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기점 확보가 가능했던 것 때문이지 영능 효과는 무작위에 사제 하수인 특유의 수동성 때문에 어디까지나 덤에 가까웠다. 반면 연마가 등장한 랩터의 해 초기 메타는 야생 로테이션으로 인해 카드풀이 갈리고 카드 밸류 자체도 용강에 비하면 형편없을 정도로 낮으며 영능 비용 때문에 고연마를 해야 간신히 비용값을 할 수 있는데 그때까지 초중반을 받쳐줄 카드들이 없는 것이 발목을 잡는다.

설령 연마 강화에 성공하더라도 원하는 카드를 찾아 원하는 타이밍에 낸다는 보장이 없으며 일시적 효과 때문에 후반을 바라볼 수도 없다. 즉, 무한 밸류가 가능해도 용강 때와 달리 좋을까 말까 한 성능에 '일시적'이 붙어서 최악의 족쇄가 됐다는 평이 대세다.

4.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하스스톤/키워드/연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하스스톤/키워드/연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하스스톤/키워드/연마#|]][[분류:하스스톤/키워드/연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6. 관련 문서


[1] 길잡이 말로른의 구 한국어판 이미지에서 '내 영웅 능력에 힘을 주입하다'라고 번역된 잔재를 볼 수 있다. 이미 주입(Infuse)이 키워드로 존재해서 해당 번역을 사용할 수 없는 마땅한 대체 단어도 찾지 못해서 그냥 의역해버린 모양.[2] 때에 따라 덱에 들어가 드로우를 방해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버프 카드들을 가지고 있다면 반대로 강력한 카드가 될 수도 있다.[3] 연마를 한 번 더 추가로 해줄 수 있다. 분명히 강력한 카드지만 죽어서 연마가 된 후에는 차원문들이 +1코스트가 되어 차원문에서 다시 소환할 수 없다는 게 아쉬운 점.[4] 6/6이라는 강력한 스탯에 죽으면 모든 적 하수인 3뎀으로 남은 필드에도 큰 피해를 준다. 원래 그냥 내면 먼저 전함으로 모든 아군 하수인들에게 3뎀을 줘야 하지만, 소환은 전투의 함성이 발동하지 않아 장점만 남는다.[5] 공격적인 스탯이 살짝 애매하지만 그래도 죽을 때 용족을 추가로 소환해주며, 차원문에서 여러 번 소환되기라도 하면 필드 장악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6] 소생의 불길 등 빅 주문들을 가지고 있다면 상당히 강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