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5:10:28

에일리언 9

에일리언 9
エイリアン9
Alien 9
<nopad>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FXHDF99GL._SS500_.jpg
장르 SF
작가 토미자와 히토시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아키타 쇼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양출판사
연재처 영 챔피언
레이블 영 챔피언 코믹스
연재 기간 1998. 06. 09. ~ 1999. 08. 24.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3권 (1999. 11. 01.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권 (2001. 04. 11. 完)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등장인물
4.1. 에일리언
5. 미디어 믹스
5.1. 애니메이션
5.1.1. 주제가5.1.2. 회차 목록5.1.3. 평가

1. 개요

일본의 SF 만화. 작가는 토미자와 히토시.

귀여운 그림체에 쎈 연출로 토미자와 히토시를 유명하게 해줬으며 흔히 멘붕물 만화 언급할 때 나루타루 등과 더불어 같이 언급되는 만화지만 다행히 나루타루보다는 정신공격(?)의 강도가 약한 편이다.

2. 줄거리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 오오타니 유리는 걱정이 태산이다. 학교 안에 출몰하는 에일리언을 격퇴하여 포획하는 위험한 일을 하는 에일리언 대책반에 거의 강제로 뽑혔기 때문이다.

개구리 모양의 헬멧에 날개가 달린 것처럼 생긴 공생형 외계 생명체 '보그'를 머리에 쓰는 것부터 끔찍한데, 대책반이 상대하는 외계 생명체들은 그보다 더 징그럽고 위협적이다. 보그가 강력한 공격 방어 능력으로 보조해 주긴 하지만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이 빈번하게 벌어지는데, 씩씩한 카와무라 쿠미와 활달한 토미네 카스미와는 대조적으로 유리는 매번 겁에 질려 울음을 터뜨린다.

에일리언 대책반의 담당교사 히사카와 메구미는 세 명의 소녀들을 도와 주는 듯하면서도 뭔가 비밀리에 어떤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 같다. 과연 유리는 이 위험하기 짝이 없는 에일리언 대책반의 활동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까?

3. 발매 현황

영 챔피언에서 연재됐으며 단행본은 영 챔피언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전 3권 완결.

후속작 및 추가에피소드로 에일리언 9 -에뮬레이터스- 와 스페셜 에피소드가 있다.

2015년, 에일리언 9 넥스트(ネクスト)라는 동인지가 연재되고 있다.#

4. 등장인물

4.1. 에일리언

5. 미디어 믹스

5.1. 애니메이션

에일리언 9 (2001~2002)
エイリアン9
<nopad> 파일:에일리언9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토미자와 히토시
감독 후지모토 지로(藤本ジ朗)1화
이리에 야스히로2~4화
시리즈 구성 무라이 사다유키
캐릭터 디자인 이리에 야스히로
크리처 디자인 이와쿠라 카즈노리
미술 감독 히가시 준이치(東 潤一)
색채 설계 타나하시 마유미(店橋真弓)
촬영 감독 타카하시 마사루(高瀬 勝)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향 제작 HALF H・P STUDIO
음악 하이시마 쿠니아키(蓜島邦明)
프로듀서 오오사와 노부히로(大沢信博)젠코
마츠쿠라 유지J.C.STAFF
애니메이션 제작 젠코
J.C.STAFF
제작 에일리언 9 제작위원회
발매 기간 2001. 06. 25. ~ 2002. 02. 25.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편당 러닝타임 30분
화수 4화[4]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화 감독은 후지모토 지로. 2화의 감독은 이리에 야스히로. 하지만 1화도 이리에 야스히로도 콘티를 그려서 전 편 이리에 야스히로의 작품색이 강하다.

어른들의 사정으로 애니화가 원작의 절반 정도에서 중단되었으며, 실제 4화의 끝 부분에서 5화의 예고를 담고 있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그 증거는 확실히 남아 있었다. 본편의 평범한 2기떡밥이 아니라 정말로 중단되었다는 점에 유의. 어떤 의미에서보면 시대를 앞서간 작품.

젠코 사장이자 본작 프로듀서였던 마키 타로가 인터뷰에서 자금을 모아 재개할 의사가 있다고 말한걸 보면, 제작사 측에서는 어떻게든 더 만들 생각이 있었으나, 스폰서 측에서 끊어진걸로 보인다. 그러나 재개되지 않는걸 보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보는게 대세.

제목을 보고 어느 외계 괴물이 나오는 영화가 벌써 9편까지 나왔나 낚인 사람들도 있다 카더라.

한국에선 개국 초창기 시절에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우리말 더빙까지 해서 방영됐었다.
그런데 하필 아동용 애니 라인업과 광고가 섞여나올 때가 있었는데, 뭔가 아기자기한 작품이라고 생각해서 본 사람들의 마음에 저마다 다른 스크래치를 남겼다는 전설 아닌 전설의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때 불법녹화됐던 저화질 영상은 지금도 간혹 인터넷 등지에서 돌아다닌다.

더빙 퀄리티는 꽤 준수한 편이다. 방영 시기는 2006년 7월로 추정.

이후 더빙판은 유실 상태였다가 2023년 하반기 즈음에 로스트 미디어 갤러리에서 당시 TV 녹화분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전설의 해당 프로그램 광고는 찾지 못했다.

만약 볼땐 2회부터 주의해서 보자. 상당히 잔인해진다!

5.1.1. 주제가

5.1.1.1. OP
OP
Flower Psychedelic
OVA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오오타니 유리(CV.이하타 쥬리)1~2화
카와무라 쿠미(CV.시미즈 카오리)3화
토오미네 카스미(CV.시타야 노리코)4화
작사 en avant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이와쿠라 카즈노리
연출
작화감독 이와쿠라 카즈노리
이리에 야스히로
}}}}}}}}} ||
5.1.1.2. ED
ED
rebirth
OVA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en avant
작사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이리에 야스히로
연출
작화
}}}}}}}}} ||

5.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5]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발매일
제1화 第9小学校 エイリアン対策係
에일리언 대책반
무라이 사다유키 후지모토 지로
(藤本ジ朗)
이리에 야스히로
후지모토 지로 이리에 야스히로
이와쿠라 카즈노리
2001.06.25.
제2화 退屈 宇宙船 過成長
위기! 보그 절명
미나카미 세이시 니시키오리 히로시 사쿠라비 카츠시 2001.09.25.
제3화 夏休み ボウグ 絶命
시련과 전진
무라이 사다유키 사쿠라비 카츠시 카토 야스히사
(加藤やすひさ)
이리에 야스히로
이와쿠라 카즈노리
2001.11.25.
제4화 始まりの終わり
시작의 끝!
미나카미 세이시 이리에 야스히로 이리에 야스히로
이와쿠라 카즈노리
2002.02.25.

5.1.3. 평가

굉장히 잔인해서 취향을 탔으며 4화로 스토리가 어중간하게 끝나버리지만 이런 고어 애니메이션 수 자체가 적은 데다, 작화에 이와쿠라 카즈노리, 호소다 나오토 등이 참여해 뛰어난 퀄리티를 보여줘 매니아들 사이에선 미완성이라도 인기가 있다.

보통 멘붕물들은 사람의 죽음이나 큰 불행에서 멘붕을 이끌어오지만 여기선 신체의 결손, 자아 정체성, 생리적 혐오감 등에서 유도한다는게 신선하다.

일본보다 고어물을 좋아하는 서양에서 더 알아주는 작품으로 영국 평론가 헬렌 매카시가 호평했다.


[1] 한일 성우 모두 스트라토스4의 도이 시즈하를 맡았다.[2] 지구인과 보그에게 유효한 공격패턴을 알아내기 위해 삼켰다. 카스미 본인은 꿈을 꾸고 있을 뿐 다치지 않는다.[3] 다만 천천히 숙주와 함께 성장해서 웬만해서는 숙주를 존중해주는 보그와 달리 히마와리는 숙주를 세뇌하여 그냥 자신을 이동매개이자 양분매개원으로 사용하려고만 한다.[4] 제작 도중에 중단되었다.[5] 제목은 국내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참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