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에어브러시는 말 그대로 공기압(에어)을 붓(브러시)으로 사용하는 기법으로 스프레이 도색의 일종이다. 컴프레서나 에어캔에서[1]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뿜어내서 그 분출 효과로 노즐에서 도료를 빨아내어 안개 상태로 만들어 뿌리는 구조다.2. 용도
스프레이 도색의 일종이지만 흔히 말하는 캔 스프레이와 달리 자신이 원하는 색을 원하는 농도로 뿌릴 수 있고 기종에 따라서는 분사폭이나 표현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캔 스프레이가 공기압이나 분사폭등을 조절할수 없고, 캔의 압축공기를 다시 채울수 없어 공기잔량이 줄어들면 점점 분사압이 약해지는 것에 비해 큰 장점을 갖고 있다.에어브러시는 원래 컴퓨터 그래픽이 보편화 되기 전에 그래픽 디자인을 위해 등장한 미술용품으로, 각종 상업 일러스트를 손으로 그리던 시절에는 주요 대상을 그린 후 마스킹 테이프[2]로 덮고 배경은 에어브러시로 처리하는 경우도 흔했다. 사용하는 도료 역시 수용성 즉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채화 물감이나 에어브러시 전용 잉크 등을 사용했다. 아무래도 일정한 공기압이 중요한 그리기 도구인지라 점도가 높은 도료가 노즐에 끼게 되면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런 도료를 사용하면서 오래 쓰려면 잘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사진을 수정하는 데도 많이 썼다. 도료를 분사하는 방식이라 붓자국을 남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색을 덮어 가릴 수 있기 때문으로, 특히 구 소련, 중국 등에서 숙청당한 간부를 마치 존재하지 않은 사람인 것처럼 지워버리는 기록말살형을 내릴때 많이 사용하여 '인민의 에어브러시'라는 농담이 있을 정도다.
현재는 네일아트쪽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저가형 콤프레서 세트도 쉽게 구할 수 있고, 배터리로 작동하는 제품도 있다. 심지어 식용 페인트와 전용 에어브러시를 이용해 케익등을 장식 하기도 한다.
또한 건축용, 차량도색용, 목공용으로는 좀 더 큰 용량의 컵이 달린 에어스프레이 건을 쓰기도 한다. 현장용어로는 후끼라 부르는 도색병의 주작업도구이다. 스프레이건의 경우 대용량으로 페인트를 뿌리는 용도이고, 에어브러시는 좀 더 작고 세밀한 작업을 주로 한다고 보면 된다.
에어브러시를 도색이나 리터치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원래 회화용 도구로 개발된 물건이니 당연히 에어브러시 회화도 있다. 특히 컴퓨터 그래픽이 없던 시절 날카로운 느낌의 그래픽을 그릴 때 많이 이용되었다.
에어브러시로 그린 로봇 여성 그래픽으로 유명한 일본 상업미술가 소라야마 하지메의 작품.
2.1. 프라모델, 미니어쳐 도색
'모델러를 위해 신이 내려준 마법의 바람붓', '프라모델의 역사는 에어브러시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진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프라모델 취미를 가진 사람들에게 큰 환영을 받고 있는 도구이기도 하다.2.1.1. 구매 접근성
프라모델의 나라라고도 할 수 있는 일본에서 에어브러시가 프라모델 도색용으로 일반화 된 시기는 대략 1970년대 즈음부터이다. 당시에는 컴프레서가 일반적이지 않아서 대부분 조그만 에어캔[3]을 연결해서 찔끔찔끔 사용했다. 에어캔은 소모품이므로 오래 쓰면 많은 돈을 허공에 날려야 했다. 반대로 잠깐만 사용할거라면 그냥 캔스프레이를 쓰면 된다. 그래서 이후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방식이 등장했으나, 공기 충전시 소음과 함께 무서운 컴프레서 가격이 문제였다. 건프라 MG가 3만원대 정도였던 90년대 중후반만 해도 모형용 에어브러시 + 컴프레서 세트를 구하려면 최소 30~40 만원의 지출을 각오해야 했다. 게다가 비싼 모델인경우 에어브러시와 컴프레서 각각 100만원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었다.[4]다행히도 대한민국에서도 2000년도 중후반부터는 모형용 에어브러시와 컴프레서 등이 많이 나와 저렴하고 간편한 제품을 구하기가 매우 쉽다.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생산에 나서고, 인터넷을 통한 해외 구매가 쉬워지기 시작한 이후부터 가격이 급속도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eBay나 알리익스프레스 등지에서 더블액션 에어브러시 단품을 10달러 이하에 구할 수 있으며, 공기탱크, 에어레귤레이터 등이 모두 장착된 풀셋 컴프레서를 한국으로의 배송비를 포함해도 100달러 정도에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한국 업체들도 OEM 생산을 하면서 국내에서 구매해도 15만원 내외면 취미용으로 한세트 장만 가능하다. 심지어 발품을 잘 팔거나 쿨매물을 포착하면 10만원 이하에 세트를 장만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히려 프라모델 키트 자체의 가격이 점점 상승하여 10~20만원이 넘는 물건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에어브러시가 나오기 전에는 살충제의 분무기 등을 스스로 개조해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었다는 듯. 야매로 사용하려면 이런 식의 구성도 가능하다. 그 외 어항용의 리니어 컴프레서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모델러도 있고, 심지어는 가스통이나 소화기통,페트병 등을 활용한 공기탱크에 발펌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유저도 있다. 원론적으로 컴프레서 자체는 냉장고, 에어컨 등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가전제품에도 들어가는 장치이며, 에어브러쉬의 작동 원리 자체는 워낙 단순하다보니 의욕만 있으면 쉽게 자작할 수 있다. 다만 구하기 쉬워진 현 시점에서는 굳이 이런 고생을 할 필요도 없고, 저런 개조를 하다가 오히려 기성품을 사는 비용 이상의 돈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2.1.2. 사용안전 및 주의사항
에어브러시와 콤프레서 등을 구매했다고 바로 사용 가능한건 아니다. 에어브러시로 뿌리는 도장은 밀폐된 실내에서는 그냥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 도료 희석제가 유독성인 경우: 에나멜, 락카 등 과거 프라모델용으로 자주 사용되던 도료는 희석제로 신나를 사용하는데, 유독성 물질인데다 냄새를 풍기기 때문에 심하면 환기가 안되어 들이마시면 큰일난다. 게다가 이웃집에까지 냄새가 나거나, 환풍구로 기껏 외부 유출시켰더니 독한 신나 냄새를 계속해서 맡은 이웃들이 119에 신고하거나 항의하는 경우가 있을수있다. 게다가 휘발성 가스를 만들기 때문에 정말 재수없으면 폭발 가능성이 있다.[5]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아크릴 도료의 경우는 이런 문제에서는 자유롭다. 아파트 등 공동생활주택이 늘어난 오늘날에는 신나 냄새 등을 풍기거나 시끄러운 소리를 내면 주변 이웃들로부터 항의를 받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작업 장소 마련이 매우 중요하다.
- 분사된 미세한 도료 입자가 공기중에 떠다니다가 사람 호흡기로 들어가는 경우: 스프레이 부스등을 마련해 사용한 뒤 스프레이 부스 필터를 꺼내보면 상당한 양의 페인트 입자가 침투해있는걸 볼 수 있다. 어떻게든 환기를 시키고 공기를 외부로 빼주지 않으면 이 입자는 전부 실내에 있는 사람이 들이마시게 된다. 단순히 폐만 위험한게 아니고, 신너같은 화학물질들의 경우 채내에 축적되는 경우도 있다. 가능하면 프라모델용은 20~40 psi 정도의 낮은 압력으로 분사하고, 가능하면 스프레이 부스를 향해 쏘는게 낫다. 만약 희석제가 물인 아크릴 페인트를 쓴다면, 자바라와 종이박스등으로 가정용 가스렌지 위의 레인지 후드에 연결되는 간이 부스를 만들어 사용해도 좋다. 휘발성 신너인 경우는 전기 스파크로 인한 폭발 가능성 때문에 이 방법은 안된다.
2.1.3. 사용 도료별 특징
- 애나멜 : 희석재로 애나멜 신너를 사용한다. 동양권에서는 타미야사 제품이, 북미권에서는 테스터사 제품이 인기가 많다. 애나멜이 한번 굳은 뒤에도 애나멜 신너를 발라주면 쉽게 녹아진다. 때문에 에어브러시 유지관리 측면이 비교적 편하다.
- 락카 : 희석재로 락카 신너를 사용한다. 애나멜 신너에는 안 녹기 때문에 먼저 밑색으로 락카를 깔고 그 위에 애나멜을 바른 뒤 필요하면 닦아내는 식으로 사용한다. 모형용으로는 군제 락카가 유명하다. 쉽게 굳고, 한번 굳으면 제거가 힘들기 때문에 에어브러시에서 사용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락카 신너는 애나멜 신너보다 유독성이 휘발성이 강한 경우가 많아 더욱 주의해야 된다.
- 아크릴 : 희색제로 아크릴 전용 신너도 있지만 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독성도 거의 없어서 집에서 도색작업을 하기에는 매우 편하다. 동양권에서는 군제 아크릴이 유명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는 바예호와 시타델 페인트 및 MiG 등이 유명하다.[6] 빨리 굳고, 굳으면 뒷처리가 곤란하다는 점에서는 락카와 유사하다. 또한 도료 자체는 거의 무독성이지만, 굳은 아크릴을 녹이려고 사용하는 아크릴 제거제는 강한 염기성의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냄새만큼이나 독성도 강하므로 주의해야 된다.
- 기타 : 페인트 작업 후 프라모델에 뿌리는 마감제인 바니시등이 있다. 바니시 제품의 경우 보통 일반 도료보다 입자가 굵은 경우가 많아서 에어브러시 사용시 그 점에 주의해야한다. 개별 제품마다 특성과 특징이 다른 관계로 사용전에 확인 해야한다. 특히 무광 제품에 희석재를 많이 타면 유광이 되거나, 반대로 유광 제품에 많이 타면 뿌옇게 변하는등 반대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에어브러시 분사구가 너무 좁으면 제대로 분사 안되는 경우도 있다.
- 라이트 유저를 위해 GSI 크레오스에서 자사의 건담마커를 끼워 소스로 쓸 수 있는 에어브러시도 출시했다. 건담마커 에어브러시 시스템 하지만 이쪽도 분진이 엄청나게 발생한다는 제보가 있다.
3. 장점과 단점
이러한 에어브러시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도색면이 깨끗하고 얇다. 특히 밀리터리 프라모델의 경우에는 실제 장비들이 스프레이 건으로 도색되는 만큼, 도색 과정이 실제 차량 도색과 규모 차이 말고는 거의 같다.
- 명암차 도색이 가능해 여러가지 효과를 낼 수 있다.
- 도료가 분무 형태이면서 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캔 스프레이에 비해서 도료의 낭비가 적다.
단점도 있다.
- 그냥 잡고 뿌리면 될것 같지만, 사실 의외로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다. 때문에 자신의 장비를 잘 이해하고 수시로 관리 안하면 불과 몇 분 만에 에어브러시가 막혀도 원인과 해결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대표적으로 에어브러시 니들과 분사구의 구멍 사이에 도료가 굳어서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에나멜의 경우 그나마 시너에 잘 녹는편이라 시너에 담가두고 녹여서 분사하면 된다. 그러나 순식간에 굳고 처리도 힘든 락카나 아크릴의 경우 조금 막힌다 싶으면 바로 분해해서 청소해주고 다시 쏴야 한다. 정상작동하는 에어브러시를 사용자가 잘못 쓰면서도 고장난 걸로 잘못 아는 경우도 많은데, 페인트 점도를 잘못 맞춰 너무 찐득한 상태라 바람에 잘 안나오는 경우, 반대로 점도를 너무 묽게 만들어서 방아쇠 한번 잘못 당겼다가 도색을 망치는 경우, 공기압 셋팅이 너무 세거나 낮은 경우 등이 있다.
- 사용에 반드시 공기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일회용인 에어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사용할수록 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게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7]를 사용하는 편이다. 프라모델 취미용은 컴프레서가 작아도 상관 없을것 같은데, 사실 탱크 용량이 작은 모델들은 공기를 조금만 써도 수시로 충전을 해대는지라 소음과 진동이 크다. 오히려 적당히 큰 탱크를 사용하면 한번 충전된 뒤에는 재충전까지 시간 여유가 있는 경우가 많다.
- 원론적으로는 에어브러시와 호스, 컴프레서만 있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강한 압력으로 분사시 공기중 수분이 섞여 물이 맺히는 문제, 압력 조절 등의 문제로 인해 일반적으로는 에어필터 및 레귤레이터, 그리고 맥동[8] 때문에 공기를 담아두고 일정하게 뽑아쓰는 공기탱크 정도까지는 세트로 취급해야 한다. 그나마 저가형 제품들 중에도 이런 물품들이 다 포함된 물품들이 많아져서 다행.
- 이런 온갖 장치들 때문에 휴대가 힘들다. 네일 아티스트등을 위해 아예 허리춤에 찰 수 있는 작은 컴프레서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 제품은 위의 맥동 문제와 압력 문제 때문에 다른 용도로 쓰기가 썩 좋지 않다.
- 분진이 발생하므로 사용에 제한이 있다. 환풍이 잘되는 곳에서 작업 해야 한다. 도색부스를 쓰는게 가장 좋은 사용 방법이다. 대신 추가적으로 지출이 발생하지만, 이게 없으면 장소제약이 너무 심해진다. 주의해야할 것은, 도색부스를 쓰더라도 밖으로 배출된 용제들이 주변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주변환경을 반드시 고려하고 작업하자. 만약 환기와 희석제 성분에 신경쓰지 않으면 건강에 안 좋다. 야외에서 작업을 하든지 실내에서 도색부스 같은 물건을 사용하든지 해서 부품에 묻지않은 용제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해야 한다.
- 컴프레서를 위시한 장비들이 작동시 기계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막대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사용 장소 및 시간에 제약이 생긴다.
- 에어리스 스프레이에 비해선 도료의 낭비가 많다. 일반적으로 공중으로 날아가는게 7 실제 도장되는건 3정도라고 한다. 에어리스는 반대로 3:7 정도.
- 한번에 두껍게 도장할 수가 없다. 점도 때문에 시너 등의 희석제를 많이 섞어야하기 때문이다. 피막을 두껍게 하려면 한번 뿌리고, 마른 뒤에 그 뒤에 새로 뿌리고를 몇 번이고 반복해야 한다.
에어브러시가 나오기 전에는 모델링을 할 때 일일이 붓으로 칠해야만 했다. 붓도장은 좁은 면은 괜찮지만 넓은 면은 칠하기도 힘들고, 붓 자국이 남아서 보기 흉해진다. 고수들은 붓도장으로 에어브러시 뺨치는 실력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렇게 되기까지 많은 노력을 하거나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된다.
4. 조작방법 및 특징
4.1. 더블액션, 싱글액션
에어브러시는 크게 싱글 액션과 더블 액션으로 나뉘어 지는데 싱글 액션은 버튼을 위에서 누르기만 하는 타입으로 이 버튼은 공기압을 조절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으며, 버튼을 누르는 동시에 도료와 공기가 같이 나간다. 더블 액션은 버튼을 아래로 눌러서 공기압을 조절하고 그대로 뒤로 당기면 도료의 양을 조절하는 두 가지 기능을 함께 갖추고 있어서 공기압과 도료양을 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주로 쓰인다.더블액션의 장점은 세밀한 작업에 좋다는거고, 싱글액션의 장점은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가격도 약간 더 싸다는거다. 넓은 면적을 칠하거나 프라이밍 하는 용도로는 싱글액션 스프레이건도 충분하다. 과거에 에어브러시가 비싸던 시기에는 좋은거 하나 사서 최대한 여러 상황에 썼으나, 가격이 낮은 현재에는 용도별로 각기 다른 2~3가지를 장만해도 괜찮다.
4.2. 분사구 사이즈
좁으면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지만 큰 면적을 칠하기 어렵고, 도료가 제대로 안나오는 경우가 있다. 0.3mm 정도면 아크릴 페인트도 잘 나오며, 0.5mm 이상은 프라이밍이나 마감제에 사용하면 좋다.4.3. 피드 방식
에어브러시 상부에 컵이 달려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도료가 공급되는 그래비티 방식, 별도의 컵에서 빨대로 도료를 빨아들이는 사이폰 방식이 있다. 그래비티 방식은 컵이 커지고 도료가 많이 들어가면 에어브러시를 균형있게 잡기가 힘들어진다. 그리고 컵이 클 경우 손 위치에 따라서는 컵이 모형을 가려서 잘 칠해지는지를 보기가 애매한 경우가 종종 있다. 사이폰 방식은 대용량을 칠할때 편하고, 컵의 위치가 에어브러쉬 배면이나 측면에 장착되어 칠하는 대상을 보기 편한 경우가 많다.[1] DR-747같은 압축 공기가 담긴 상태로 판매되는 캔이다. 여기에 에어 브러쉬를 연결해서 쓰는데 소모품이므로 자주 사용할 경우 지출액이 컴프레서를 넘어서는 문제가 있다.[2] 모형에서 많이 쓰는 마스킹 테이프나 마스킹 졸(Sol)도 원래는 미술용품이다.[3] 부탄가스통 같은 통에 압축공기가 들어있는 것이다.[4] 컴프레서를 구하는것 자체가 문제였는데, 90년대에 일본과 대한민국에서 컴프레서는 공장이나 잠수부들의 공기탱크 충전용으로나 주로 사용되었다. 가정에서 에어브러시 용으로 쓰기에는 거대한 사이즈와 소음도 문제였다. 미국의 경우 차량 타이어용 압축공기 충전기, 정원의 낙엽 청소용 에어블로워에서 쓰는게 콤프레서라서 비교적 구하기 쉬웠다.[5] 때문에 프라모델 부스등에 사용하는 모터는 보통 스파크 가능성이 없는 Brushless 모터를 사용한다. 혹시 대량으로 작업하거나 부스를 자작할 사람은 이점에 주의해야한다.[6] 군제 아크릴은 성분 때문에 그 특성이 락카에 더 가깝다. 하지만 '아는 사람만 쓰는 전문가용'이란 과거의 인식과 달리, 워해머같은 미니어쳐 워게임의 영향으로 현재는 제법 다양한 업체에서 나오는 다양한 색상의 에어브러시/붓도색용 아크릴 도료를 상비한 매장이 많아져서 구하기 쉬워졌다. 아카데미과학은 알파문구와 협업하여 '프라모델용 아크릴 세트'(12색)도 발매하고 있다.[7] 보통 번역하지 않고 영어 발음 그대로 컴프레서라고 하는 편이다.[8] 컴프레서 모터가 돌며 공기를 압축할때마다 박자에 맞춰 공기가 들어가서 맥동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