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2:03:33

에세키엘 세바요스


파일:CA 보카 주니어스 로고.svg
CA 보카 주니어스 2025 시즌 스쿼드
1 로메로 · 2 크리스티안 레마 · 3 사라치 · 4 피갈 · 5 바탈리아 6 · 로호 · 7 세바요스
8 팔라시오스 · 9 히메네스 10 카바니 (C) · 11 잰슨 · 12 브레이 · 13 가르시아 · 14 미라몬
15 알라르콘 · 16 메렌티엘 · 17 아드빈쿨라 · 18 파브라 · 19 마르테가 · 20 벨라스코 · 21 안데르 에레라
22 제논 · 23 블랑코 · 24 바리나가 · 25 마르체신 · 30 벨몬테 · 32 코스타 · 33 아기레
34 메디나 36 롤론 · 38 도미니크 · 40 디 롤로 · 42 블롱델 · 43 델가도 · # 오르시니 · # 리베로
파일:UEFA ARG.png 페르난도 가고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에세키엘세바요스보카.png
CA 보카 주니어스 No. 7
에세키엘 세바요스
Exequiel Zeballos
<colbgcolor=#02236d><colcolor=#fcaf17> 본명 오스카 에세키엘 세바요스
Oscar Exequiel Zeballos
출생 2002년 4월 24일 ([age(2002-04-24)]세)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국적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70cm / 체중 68kg
포지션 윙어
소속 <colbgcolor=#02236d><colcolor=#fcaf17> 유스 LB 사르미엔토 (2008~2013)
TdRH 로스 도라도스 (~2014)
CA 보카 주니어스 (2014~2020)
선수 CA 보카 주니어스 (2020~ )
국가대표 16경기 3골 (아르헨티나 U-17 / 2019~ )
1. 개요2. 클럽 경력
2.1. CA 보카 주니어스
2.1.1. 2023 시즌2.1.2. 2024 시즌2.1.3. 2025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아르헨티나 국적의 CA 보카 주니어스 소속 축구선수.

2. 클럽 경력

2.1. CA 보카 주니어스

2020년 7월 1일, 보카 주니어스 1군에 합류하였다.

2021 시즌 세컨드 스테이지 7R 파트로나토전 76분 크리스티안 파본과 교체투입되었고 85분 시저스 후 크로스를 올려 루이스 바스케스의 골을 어시스트해 프로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그리고 25R 코르도바전 왼쪽 윙어로 선발 출전하였고 28분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여 프로 데뷔골을 득점했다. 시즌 기록은 11경기 1골 1도움.

2022 시즌 등번호를 7번으로 변경했다. 리그 전반기는 주로 교체자원으로 뛰었고 중반기부터 선발 기용되었고 6월 16일 세컨드 스테이지 3R 티그레전 멀티골을 넣는 등 최고의 활약을 하며 주전 윙어로써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8월 11일 코파 아르헨티나 16강 아그로페콰리오전 경골 골절을 당하며 시즌 아웃을 당했다. 시즌 기록은 29경기(선발 15경기) 4골 2도움이다.

2.1.1. 2023 시즌

이번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주전 윙어로 기용될 것으로 보였으나 2월부터 반월판 부상을 당하며 전력에서 이탈했다. 4월 15일 퍼스트 스테이지 12R 에스투디안테스전 복귀했으나 이틀 후인 17일 무릎 부상으로 또 이탈하며 시즌 절반 가량을 날렸다.

부상 복귀 후 7월 29일 퍼스트 스테이지 마지막 경기 27R 인디펜디엔테전 66분 교체 투입되었다. 72분 출전 5분 만에 프랭크 파브라의 패스를 받아 시즌 첫 골을 기록했고 이후 77분 코너킥으로 니콜라스 발렌티니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하며 활약했다.

세컨드 스테이지 1R 플라텐세전 우측 윙어로 선발 출전했고 28분 크리스티안 메디나의 스루패스를 칩슛으로 마무리하여 시즌 두번째 득점을 기록했다. 이후 55분 골키퍼가 처리하기 애매한 크로스를 올려 에딘손 카바니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했다. 71분 교체아웃되었다.

8R CA 벨그라노전 55분 교체 투입되었고 57분 날카로운 얼리 크로스로 메렌티엘의 추격골을 어시스트했으나, 59분 상대 수비와 충돌 후 다시 부상을 당해 교체 아웃되었다. 이후 십자인대와 반월판이 파열되는 부상을 입었다고 알려졌다.# 그렇게 잔여 시즌을 날렸다.

시즌 초반부터 주전 윙어로 기대를 받았고 나올때마다 상당히 활약했으나 부상이 발목을 잡은 아쉬운 시즌이 되었다. 시즌 기록은 21경기(선발 6경) 2골 4도움.

2.1.2. 2024 시즌

이전 시즌 부상의 여파로 2023 시즌 전반기를 통으로 이탈했고 7월달에야 스쿼드에 복귀했다. 7월 18일 코파 수다메리카나 32강 1차전 인데펜디엔테전 72분 교체투입되며 복귀전을 치렀다.

리그에서는 주로 교체 투입으로 점점 출전 시간을 늘리고 있다.

19R 리에스트라전부터 선발 라인업에 복귀했으며 21R 고도이크루스전 선발 출전하여 82분 메렌티엘과의 2대1 패스로 수비진을 무너뜨린 후 골대 구석으로 슈팅하여 시즌 첫 골 득점에 성공했다.

23R 우니온전 왼쪽 윙어로 선발 출전하였고 전반 4분 왼쪽 측면에서 장기인 스피드를 활용한 돌파 후 왼발로 크로스를 올려 밀톤 히메네스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했다.

26R 뉴웰스전도 왼쪽 윙어로 선발 출전하였고 55분 아웃프런트 크로스로 케빈 제논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했다.

2024 시즌은 25경기(선발 13경기) 2골 2도움을 기록했다. 부상으로 거의 9달을 날린 것 치고는 큰 기량 하락없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1.3. 2025 시즌

시즌 첫 경기인 코파 아르헨티나 64강 아르헨티노[1]전 왼쪽 윙어로 선발 출전했다. 전반전 추가시간 46분 브라이언 아기레의 컷백을 골대 가운데 상단에 강하게 꽂아넣으며 선제골이자 시즌 첫 골을 득점했고 2분 뒤 루이스 아드빈쿨라의 길게 빠진 컷백을 살려냈고 미겔 메렌티엘이 빈골대로 밀어넣으며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68분 교체아웃 되었다. 비록 3부 팀 상대로긴 해도 첫경기부터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리그 퍼스트 스테이지 5R 리바다비아전 65분 공격형 미드필더로 알란 벨라스코와 교체 투입되었다. 75분 오른발로 중거리 슛을 시도했으나 키퍼 손에 맞고 아쉽게 골대를 맞췄다. 이후 82분 밀톤 히메네스의 정면 슈팅을 골키퍼가 쳐낸 세컨볼을 한번 접어 수비를 속인 후 왼발로 차넣어 시즌 두번째 골을 득점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아르헨티나 U-17 소속으로 남미 U-17 챔피언십 2019에 참가하여 8경기 1골 1도움을 기록하고 우승했다.

2019 U-17 월드컵에도 참가했으며[2] 3경기 1골 1도움을 기록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좌측에서나 우측에서나 돌파 후 크로스나 컷백을 올리는 클래식 윙어로, 세바요스의 최대 장점은 바로 드리블 돌파이다. 시저스, 호날두촙, 크루이프 턴 등등 전성기 호날두가 연상될 정도로 화려한 개인기를 활용한 드리블을 구사한다. 특히, 매우 빠른 시저스를 구사하여 측면에서의 시저스 이후 돌파는 세바요스의 주 돌파 루트이다. 또한 호날두 촙과 크루이프 턴을 거의 터치당 한번 꼴로 자주 사용하여[3] 이 개인기를 이용해 압박을 빠져나오거나 수비를 벗겨내는 장면을 자주 연출한다. 속도 자체도 매우 빠른 편이라 앞에 공간이 넓다면 그냥 수비 두 세명 사이로 치고 달려버리기도 한다. 세바요스의 또다른 장점은 날카로운 크로스인데, 공의 속도가 빠른데다가 골키퍼가 처리하기 어려운 코스로 감겨서 위력이 상당하다. 심지어 오른발 각이 막혀도 왼발이나 오른발 아웃프런트 크로스의 정확도 또한 준수하다.

그러나 유리몸이라는 것이 모든 장점을 상쇄한다. 이제 겨우 20대 초반인 선수가 부상 결장 기간이 556일(87경기)이나 되며 프로 데뷔 후 5시즌간 부상없이 건강하게 소화한 시즌은 두시즌[4] 뿐이다. 나오면 잘하는데 부상때문에 대부분의 시즌을 완전히 소화하지 못하며 잠재력을 터트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득점력[5]이 아쉽고 수비 가담이 적다는 것이 단점이다.

5. 여담

6. 같이 보기

2021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안수 파티 에두아르도 카마빙가 조반니 레이나 페드리 주드 벨링엄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필리프 스테바노비치 키야나 후버르 아르노 칼리뮈앙도 얀 코투
플로리안 비르츠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자말 무시알라 무함마드 이하타렌 헤이니에르 제주스
라얀 셰르키 가브리에우 베론 유누스 무사 제레미 도쿠 유수파 무코코
탕기 쿠아시 파비우 실바 카이우 조르지 아마드 디알로 요슈코 그바르디올
아담 흘로제크 아딜 아우시시 누누 멘데스 다리오 사르미엔토 세바스티아노 에스포지토
하비 엘리엇 카림 아데예미 노니 마두에케 이삭 리하지 브라이언 브로비
에두아르두 콰레스마 데빈 렌스 티모시 펨벨레 로렌초 콜롬보 루카 로메로
탈레스 마그누 손체 한선 에세키엘 세바요스 조엘송 페르난드스 라두 드라구신
케네스 테일러 제이든 브라프 마르턴 판더보르트 나카이 타쿠히로 일라시 모리바
}}}}}}}}} ||

[1] 3부 리그[2] 16강 탈락[3] 몇번씩 연속으로 시전하여 수비의 신경을 긁기도(...) 한다.[4] 2020, 2021. 2021 시즌엔 부상은 아니지만 코로나로 인한 격리로 8일을 결장했다.[5] 주로 측면에서 크로스를 올리는 클래식 윙어이므로 기본적으로 득점이 적지만 애초에 골 결정력 자체가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