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5183b 0%, #00205b 20%, #00205b 80%, #05183b); 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or: #0f6aaf; word-break: keep-all" | 오스카르 2세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프레데리크 스탕 | 크리스티안 셀메르 | 크리스티안 슈바이고르 | 요한 스베르드루프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5대2 | 제7대 | |
에밀 스탕 | 요한네스 스텐 | 에밀 스탕 | 프란시스 하게루프 | |
<rowcolor=#fff> 제6대2 | 제8대 | 제7대2 | 제9대 | |
요한네스 스텐 | 오토 블레어 | 프란시스 하게루프 | 크리스티안 미켈센 | |
호콘 7세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크리스티안 미켈센 | 예르겐 뢰블란 | 군나르 크누센 | 볼레르트 코노브 | |
<rowcolor=#fff> 제13대 | 제11대2 | 14대 | 제8대2 | |
옌스 브라틀리 | 군나르 크누센 | 오토 B. 할보르센 | 오토 블레어 | |
<rowcolor=#fff> 제14대2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오토 B. 할보르센 | 아브라함 베르게 | 요한 루드비 모빙켈 | 이바르 리케 | |
<rowcolor=#fff> 제18대 | 제16대2 | 제19대 | 제20대 | |
크리스토페르 혼스루 | 요한 루드비 모빙켈 | 페데르 콜스타 | 옌스 훈드사이 | |
<rowcolor=#fff> 제16대3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
요한 루드비 모빙켈 | 요한 뉘고르스볼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오스카르 토르프 | |
<rowcolor=#fff> 제22대2 |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
올라프 5세 | ||||
<rowcolor=#fff> 제22대2 | 제24대 | 제22대3 | 제25대 |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욘 룅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페르 보르텐 | |
<rowcolor=#fff> 제26대 | 제27대 | 제26대2 | 제28대 | |
트뤼그베 브라텔리 | 라르스 코르발 | 트뤼그베 브라텔리 | 오드바르 노를리 | |
<rowcolor=#fff> 제29대 | 제30대 | 제29대2 | 제31대 | |
그로 할렘 브룬틀란 | 코레 빌로크 | 그로 할렘 브룬틀란 | 얀 P. 쉬세 | |
<rowcolor=#fff> 제29대3 | ||||
그로 할렘 브룬틀란 | ||||
하랄 5세 | ||||
<rowcolor=#fff> 제29대3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그로 할렘 브룬틀란 | 토르비에른 야글란 | 셸 망네 본데비크 | ||
<rowcolor=#fff> 제33대2 | 제34대2 | 제35대 | 제36대 | |
셸 망네 본데비크 | 에르나 솔베르크 | }}}}}}}}}}}} |
<colbgcolor=#05183b><colcolor=#ffffff> 출생 | 1961년 2월 24일 ([age(1961-02-24)]세) | ||
노르웨이 베스트란드 베르겐 | |||
국적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 ||
재임기간 | 제35대 총리 | ||
2013년 10월 16일 ~ 2021년 10월 14일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5183b><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아스비욘 솔베르그 어머니 잉거 웬체 토르게르센 | |
형제자매 | 자매 2명 | ||
배우자 | 신드레 피네스 | ||
자녀 | 3명 | ||
학력 | 베르겐 대학교 (사회학 , 정치학 , 통계학 및 경제학 / 학사) | ||
직업 | 정치인 | ||
소속 정당 | |||
지역구 | 호달랜드 | ||
의원선수 | 6 | ||
의원대수 | 57 ~ 65 | ||
약력 | 노르웨이 학교학생연합 이사 보수당 학생연맹 리더 베르겐 시의회 의원 보수당 베르겐 지역위원장 스토르팅에트의원 (1989년 10월 2일 ~ 현직) 보수 여성 연합 대표 (1993년 3월 7일 ~ 1998년 3월 29일) 지방자치개발부 장관 (2001년 10월 19일 ~ 2005년 10월 17일) 보수당 대표 (2004년 5월 9일 ~ 현직) 제35대 노르웨이 총리 (2013년 10월 16일 ~2021년 10월 14일) 야당 지도자 (2021년 10월 14일 ~ 현직) | }}}}}}}}} |
[clearfix]
1. 개요
노르웨이의 정치인. 2004년 이래 보수당의 대표를 지내고 있으며, 2013년 총선 이후 총리로 선출되었다.2. 생애
베르겐에서 기독교민주당 소속 정치인인 아스비외른 솔베르크의 딸로 태어났다. 꽤나 일찍이 정치 활동을 시작했는데, 18세 때인 1979년 베르겐 시 부의원으로 선출된 것이 그 시작. 다만 부친과는 달리 보수당에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93년 보수당 여성위원회 대표로 선출되었으며, 2001년 지방자치개발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4년을 재직했다. 2004년 보수당의 대표로 선출되었으며,[1] 2013년 총선 승리와 함께 옌스 스톨텐베르그 총리의 뒤를 이어 차기 총리로 선출되었다.[2]어렸을 때부터 난독증을 앓아 왔지만 이를 극복하고 성공한 인간 승리자로 꼽히며, 덕문에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유럽의 중도우파 성향의 여성 총리이면서도 동시에 뛰어난 리더십으로 인기가 높아 앙겔라 메르켈과도 비교되기도 한다. 하지만 임기 중 대부분을 좌-우 대연정을 구성하며 진보적인 정책들을 펼치고 있는 메르켈과는 달리, 솔베르크는 보수 연정을 구성하고 더욱 더 보수적인 정책을 입안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3]
물론 그렇다고 해서 북유럽 정치인답게 리버럴 성향이 없는 것은 아니고, 과거 장관 시절에는 이슬람에도 유화적인 정책들을 펼쳤을 정도로 진보적인 모습도 자주 보여줬다. 즉, 보수 성향이라는 것도 어디나 북유럽 정치 지형 기준에서의 이야기란 소리.
다만 그야말로 입지전적인 인생과는 상관 없이 인기는 별로 없는지 임기중 지지율이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었고, 2020년에는 지지율이 급속도로 추락하기도 했다. 심지어 한 때 보수당의 지지율이 10%대로 하락하고, 함께 청-청 연정을 구성하던 진보당까지 연정을 탈퇴해버리면서 사퇴를 고려해야 정도로 위기까지 왔다.
그러나 코로나19 정국 거치면서 다시 지지율이 올라서서 한때 솔베르크 총리가 이끄는 보수당이 제1야당 노동당을 제치고 지지율 1위를 탈환하면서 반등점을 마련하는 듯 했다.
하지만 2021년 9월, 결국 요나스 가르 스퇴레 대표가 이끄는 노동당 주도 중도좌파 연정에 크게 밀리면서 총선에서 패해 권좌에서 내려오게 됐다.
총리직 퇴임 이후 2022년 국제 비영리 단체인 글로벌 시티즌의 이사회에 합류했다. 다만 정계를 은퇴하는 것은 아니고 우파당 대표직을 계속 유지할 것이며, 2025년 총선에서 총리 후보로 출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3년 지방선거에서 1924년 이후 처음으로 우파당이 1당에 올랐다. 2025년 총선을 앞둔 전초전으로 평가받은 선거에서 솔베르크가 이끄는 우파당이 괄목할만한 결과를 거두면서, 사실상 2년 뒤 정권교체가 확실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3. 비판 및 사건사고
3.1. 배우자의 주식거래 관련 논란
2023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솔베르크 총리 임기 시절 배우자 신드레 핀네스(Sindre Finnes)가 활발한 주식 거래를 해왔음이 공개되면서 솔베르크가 총리를 하면서 얻은 정보로 부당한 이익을 얻은게 아니냐는 이해충돌 논란이 벌어졌다. 솔베르크는 이에 대해 자신이 남편의 주식 거래에 대해선 전혀 몰랐고, 남편이 주식을 산 기업에 대해 특혜를 주거나 한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선거 직후인 9월 15일, 핀네스가 3600건 이상의 주식 거래를 했다는 전체 목록이 공개되었고 솔베르크는 이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했다. 한편 경제환경 범죄수사국(Økokrim)은 해당 사건에 대한 수사 착수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11월 3일, 경제환경 범죄수사국에서 핀네스에 대한 수사는 별도로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핀네스의 주식 거래가 법적으로 처벌 가능한 내부자 거래나 시장 조작으로 볼만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봤기 때문.# 다만 4일 뒤인 11월 7일, 의회 감사 및 헌법 사무 상임위원회에서 독자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11월 7일, 솔베르크는 청문회에 직접 출석해 해당 사건과 관련된 질문에 답했다. 14일 뒤인 11월 21일, 위원회는 그녀에게 추가로 12개의 질문을 제출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핀네스는 솔베르크가 총리로 재임하는 동안 약 1억 1200만 크로네 규모의 주식을 매입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거래 건수는 3000건 이상으로 알려졌으며, 솔베르크가 개별 거래를 몰랐더라도 자연스럽게 이해충돌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한편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11월 13일, 솔베르크는 우파당 당대표직에서 사퇴할 생각이 없으며 2025년 총선에는 자신이 총리 후보로 출마할 것이라고 고집했다.
11월 26일, 노르웨이의 경제 매체 E24는 총리실이 핀네스의 주식 거래와 관련된 일부 핵심 이메일을 관련 규정을 어기고 보존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 문서들은 10년 이상 공개되지 않았으며, 이때문에 총리실이 해당 문제를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비공개로 유지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11월 30일, 의회에서 총리실에 추가로 13개의 질문을 전달했으며, 특히 이메일 등 기록 폐기와 관련된 사항을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결국 7개월간 진행된 청문회 조사 결과, 2024년 2월, 청문위원들이 만장일치로 솔베르크의 이러한 행위가 이해충돌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솔베르크에 대해 엄중경고(Sterk kritikk) 처분을 내리기로 결정했다. 노르웨이 의회에서의 엄중경고 처분은 만약 솔베르크가 현직 총리였다면 즉각 내각불신임결의로 이어질 수 있는 의회의 가장 강한 처분이다.
2023년 3월 5일, 노르웨이 의회가 이러한 엄중경고 처분에 따라 본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솔베르크에 대한 규탄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솔베르크 본인은 표결에 참석하지 않았다. 노르웨이 의회가 전직 총리에게 이러한 규탄 결의안을 채택한 역사상 첫 사례다.
4. 여담
- 2020년 8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인 LCK가 프랜차이즈화를 추진할 당시에 노르웨이의 e스포츠 게임단인 '오마켄 이스포츠'라는 구단이 LCK 프랜차이즈 신청을 넣었는데, 구단주와 어떻게 연이 닿았는지 몰라도 한국 정부를 거쳐 라이엇 코리아에 직접 총리 명의의 서신을 보내 구단 참가를 요청하는 외교 서신을 보낸 바가 있다. 그러나 별 도움이 못 됐는지 해당 팀은 프랜차이즈로 선정되지 못하고 탈락.
노르웨이의 가수 Ylvis와 콜라보를 하였다...고 하나 사실상 그녀를 따라다니면서 노래를 불러준 셈.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알리기 위해 직접 춤까지 췄다. 근데 이런 쇼맨십을 펼치고도 정작 본인이 생일파티를 위해 모임 지침을 여겨 벌금 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