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21:38:53

어조사 호에서 넘어옴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문어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㞐, 䢎, , 䢋, 凥, 㝒(어조사 기) · (어조사 내) · (어조사 랍/라) · (어조사 륵) · (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어조사 아) · , (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 扵 (어조사 어) · (어조사 여) · (어조사 완) · , 亏, 亐(어조사 우) · (어조사 월) · (어조사 의) · ,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어조사 저) · , 㞢(어조사 지) · (어조사 형) · , (어조사 혜) · , 虖(어조사 호)
그 외
, 卻, 㕁(물리칠 각) · , , 㐰(낱 개) · , 亓(그 기) · (몸 기) · (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마칠 료) · (애오라지 료) · (시끄러울 루) · ,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사랑할 아) · (같을 약/반야 야) · (그런가 야) · (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이를 운) · 攸(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있을 유) · ,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 尒, 尔, 厼(너 이) · , (아들 자) · (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 祗(다만 지) · , 恉, 㫖, 㫑(뜻 지) · (알 지) · (가질 취) · (거짓 탄/낳을 탄) · (아이 다툴 파) · (허락할 허) · (쉴 휴) · (일 흥) }}}}}}}}}
어조사 호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丿,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か, かな, や, を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乎획순.gif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乎는 '어조사 호'라는 한자로, 한문에서 어조사로서 아래와 같은 문법적 기능을 담당한다.

의문문을 나타내는 용도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마천사기(역사책) 진시황본기에는 "天乎 吾無罪"라는 말이 나오는데 "하늘이시여! 저는 죄가 없습니다."라는 뜻이다.

유명한 문장 '국지어음 이중국 여문자 불상류통(國之語音 異中國 與文字 不相流通)'에서도 어조사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4E4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火木(HFD)으로 입력한다.

어원은 어조사 어(, 상고한어 /*qa/)의 비강세형 /* ɢa/이다. 무언가를 외침으로써 바람이 뿜어져 나오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가타카나 wo() 의 유래가 되는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