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04:41:12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문어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㞐, 䢎, , 䢋, 凥, 㝒(어조사 기) · (어조사 내) · (어조사 랍/라) · (어조사 륵) · (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어조사 아) · , (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 扵 (어조사 어) · (어조사 여) · (어조사 완) · , 亏, 亐(어조사 우) · (어조사 월) · (어조사 의) · ,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어조사 저) · , 㞢(어조사 지) · (어조사 형) · , (어조사 혜) · , 虖(어조사 호)
그 외
, 卻, 㕁(물리칠 각) · , , 㐰(낱 개) · , 亓(그 기) · (몸 기) · (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마칠 료) · (애오라지 료) · (시끄러울 루) · ,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사랑할 아) · (같을 약/반야 야) · (그런가 야) · (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이를 운) · 攸(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있을 유) · ,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 尒, 尔, 厼(너 이) · , (아들 자) · (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 祗(다만 지) · , 恉, 㫖, 㫑(뜻 지) · (알 지) · (가질 취) · (거짓 탄/낳을 탄) · (아이 다툴 파) · (허락할 허) · (쉴 휴) · (일 흥) }}}}}}}}}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wā, yuē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啘은 '어조사 완\'이라는 한자로, 어조사로 쓰인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5558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JNU(口十弓山)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입 구)와 음을 나타내는 (완연할 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