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스타레일/OST#오프닝| 오프닝 테마곡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서버 오픈 | 페나코니 | 앰포리어스 | |
성간 여행 | WHITE NIGHT | Nameless Faces |
Nameless Faces | |
<colbgcolor=#000><colcolor=#B19872> 작사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Ruby Qu [[중국| ]][[틀:국기| ]][[틀:국기| ]] 李崎, 往人不识Q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작곡 | 왕커신 (王可鑫) |
편곡 | TSAR |
보컬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이쿠타 리라 [[중국| ]][[틀:국기| ]][[틀:국기| ]] [ruby(谭晶, ruby=Tan Jing)] |
발매일 | 2025년 1월 2일 |
[clearfix]
1. 개요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영웅, 신, 꼭두각시, 죄수, 이 중 당신은 누구인가? 당신은 또 어떤 사람인가?」
「난 이야기 속 운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수많은 얼굴 중 하나에 불과하지. 당신이 본 것이 바로 나야」
「난 이야기 속 운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수많은 얼굴 중 하나에 불과하지. 당신이 본 것이 바로 나야」
붕괴: 스타레일의 앰포리어스 트레일러 OST이자 3.0 버전 오프닝 테마.
중국어, 영어 버전으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2025년 1월 19일 HoYoFair 유튜브 채널에서 일본어 버전을 공개하였다.
2. 영상
2.1. OP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붕괴: 스타레일〉 OP: 「Nameless Faces」 |
2.1.1. 등장인물
등장 순서로 서술.====# 장면 분석 #====
등장인물도 많고 매우 빠르게 지나가는 장면도 많기에 부분별로 묘사하여 작성.
- 더 헤르타가 거울 위 물결을 만지자 어떠한 신전이 나타나고 신전 한가운데에 파이논이 상의를 벗고 황금빛 액체를 몸에 뿌리면서 결연한 표정을 짓는다. 그리고 스타레일 로고가 나오기 직전 화면이 반전되면서 어떠한 가면을 비춘다.
- 티탄 케팔의 조각상이 위치한 오크마를 배경으로 미미가 하늘을 날며 황금의 후예들이 차례로 비춰진다.
- 금빛 실을 온몸에 두른 채 마네킹이 둘러싼 가운데 황금빛 사과를 들고 자세를 취하는 아글라이아
- 드로마스를 타면서 금화를 세는 트리비, 트리엔, 트리논과 그 위를 빠르게 지나가며 자유낙하하는 사이퍼
- 정원 내에서 이야기하는 아낙사와 히아킨
- 왕좌에 거만하게 앉아 수하들과 함께 잔을 나누는 마이데이
- 어두운 신전 내에서 기도하는 카스토리스
- 크렘노스성의 거대한 검이 빛을 잃고 기울어져 있다.
→ 1막에서 이성을 잃은 니카도르가 오크마를 향해 검을 돌린다.
- 한 무리의 사람들 앞에 아낙사가 어두운 분위기를 풍기며 서있다.
- 온 주변이 불타는 가운데 사이퍼가 주저앉아 있다.
- 은하열차가 어디론가 추락하고 있다.
→ 1막에서 개척자와 단항을 따로 태운 은하열차 칸이 무언가에 의해 공격당한 장면이다.
- 미미가 공중에서 떨어지면서 장면이 전환되고 태양 문양을 중심으로 개척자와 황금의 후예들이 손을 뻗는다.
- 태양 문양이 푸른색 배경과 함께 달 문양으로 바뀌고, 불타면서 해당 장면이 사라지고 개척자는 당황한 표정을 짓는다.
- 트리비, 카스토리스, 아낙사, 마이데이, 파이논이 쓰러져 있는 가운데 개척자가 간신히 일어선다. 이때 미미가 달려오면서 개척자의 깃펜으로 바뀌고 개척자는 허공에 무언가를 쓰더니 주변이 초토화됨과 동시에 허공에서 키레네가 나타나 개척자를 감싸안는다.[2]
- 하늘에서 장대한 빛이 내려와 케팔의 조각상을 강타하고 아글라이아는 이를 지켜본다.
→ 1막 클라이맥스에서 트리비, 트리앤, 트리논이 펼친 방어진이 니카도르의 공격을 막아내는 걸 보는 장면이다.
- 가면을 쓰고 대검을 휘두르는 괴한[3]에 맞서 파이논, 마이데이, 개척자가 싸운다.
- 트리비, 트리앤, 트리논이 모여 마법진을 펼친다.
→ 1막 클라이맥스에서 니카도르의 공격이 오크마를 향한 순간 방어진을 펼치는 장면이다.
- 개척자와 카스토리스가 단항, 마이데이, 파이논이 야만신, 미치광이 왕, 분쟁의 화신에 맞서 싸우는 환영을 지켜본다.
→ 1막 클라이맥스에서 개척자와 카스토리스가 현재의 시간대로 돌아가 니카도르와 싸우기 직전의 장면이다.
- 화염 속에서 아글라이아가 슬픈 표정으로 눈을 감는다.
- 마이데이가 주먹에서 무언가를 빼내고는 크렘노스성의 피로 물든 전선으로 향한다.
- 카스토리스가 낫을 휘두르다가 절박한 표정으로 개척자를 감싸안으며 티탄 타나토스의 폭주로부터 지켜준다.
- 계단을 오르는 선데이, 웰트, 히메코, 단항을 차례로 비추다가 개척자의 차례에서 개척자의 모습이 파이논으로 전환되고, 검을 쥔 채 창세의 소용돌이를 바라보는 파이논의 뒷모습을 보여준다.
- 키레네가 흘리는 눈물이 공중으로 떠오르고 장면이 전환되면서 오프닝 초반에 파이논이 있던 신전에 개척자가 홀로 작은 불꽃을 고스란히 감싸쥔다.
- Mar. 7th의 카메라가 얼어붙으면서 작은 빛으로 변하고, Mar. 7th 또한 몸을 웅크리며 얼음 조각에 갇혀진다.
→ 1막 초반부에 Mar. 7th가 원인 모를 증상으로 상태가 좋아지지 않자 개척자가 그녀의 카메라를 대신 들고 다니면서 앰포리어스 곳곳을 촬영하고, 이 카메라는 오로닉스가 개척자를 인지하여 후리가 개척자를 눈여겨보도록 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1막 엔딩에서 상태가 더욱 심각해져 침대에서 잠든 채 육상빙에 가둬진 Mar. 7th를 나타낸다.
- 더 헤르타가 옆으로 누운 채 거울을 어루만지다가[4] 시청자를 바라보듯이 정면을 직시하고는 살며시 웃는다.
2.2. Japanese Ver. (HoYoFair)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Nameless Faces - Japanese Ver. feat.幾田りら |
3. 음원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영어 Ver. |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중국어 Ver. |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일본어 Ver. |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Instrumental |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Instrumental (영어 코러스 Ver.) |
<colbgcolor=#010101><colcolor=#fff> | |
Instrumental (중국어 코러스 Ver.) |
4. 가사
4.1. 영어
Moonlight, a barren void to horizon, 달빛은 지평선 너머의 황량한 공허로 사라지고 Days blur into nights of dreadful silence, oh 낮은 두려운 침묵의 밤 속으로 흐려지네 You let me see thy heart, 내 눈에 비친 그대의 마음은 Lost beacon in the dark 어둠 속에서 잃어버렸던 등불 Our lonely souls that spark, 밝게 빛나는 우리의 외로운 영혼은 We break apart 산산이 흩어져 We find, We strive 우린 찾아, 우린 노력해 Our journey of eternity 영원한 우리의 여정에서 Desire, in mind, 마음 속에 새겨진 갈망이 To set our spirits free, 우리의 영혼을 자유롭게 하기를 Echoes fade to oblivion 메아리는 잊혀지더라도 Freedom to make our own 우리는 스스로 자유를 만들어내야 해 We trode our destinies on 우리는 운명의 길을 밟았어 A path unknown. 미지의 길을 따라 With you 당신과 함께 Rejoice 기뻐하네 Silence, falls upon thy shadows and void 침묵은 그림자와 공허 위를 감싸지 Voyage through your labyrinth of misery, oh 네 절망의 미로 속을 항해해 Then we escape afar 우리는 멀리 탈출하지 To wounded souls that scar 흉터가 남은 상처입은 영혼들에게서 Prisoners of the dark 어둠 속의 죄수들에게서 'til we break apart 우리가 헤어지기 전까지 We pry, in line, 우린 차례로 파헤쳐 through darkness where the shadows sleep 그림자가 잠든 어둠 속을 Our fire, resigned, 우리의 불은 물러났지만, they let our souls to keep 우리에게 간직할 영혼을 남겨뒀어 Gazing for flickers of light 빛이 깜빡이는 것을 바라보며 Yearning for fate's design 운명의 설계를 동경하지 Searching for destiny of time 시간의 운명을 찾고 있어 They've left behind 그들이 뒤에 남겼던 In hope, 희망 속에서, In vain, 헛됨 속에서, To whom, who waits? 기다리고 있는, 누군가를 위하여 |
4.2. 중국어
[ruby(轮回, ruby=Lúnhuíi)] [ruby(希望绝望更迭吟唱, ruby=Xīwàng juéwàng Gēngdié yínchàng)] 윤회는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며 노래하고 [ruby(兴亡, ruby=Xīngwáng)] [ruby(记忆徒留末日回响, ruby=jìyìtúliúmòrìhuíxiǎng)] [ruby(遗忘, ruby=yíwàng)] 흥망성쇠의 기억은 종말의 울림만 남기고 잊혀져가네 [ruby(未来过去成灰, ruby=Wèilái guòqù chéng huī)] [ruby(都为新生陪葬, ruby=dōu wèi xīnshēng péizàng)] 과거와 미래는 재가 되어 새로운 삶을 위해 함께 묻히네 [ruby(命运将我流放, ruby=Mìngyùn jiāng wǒ liúfàng)] [ruby(那又, ruby=nà yòu)] [ruby(怎样?, ruby=zěnyàng?)] 운명이 나를 유랑하게 해도, 그게 뭐 어때? [ruby(无愧, ruby=Wú kuì)] [ruby(无悔, ruby=wú huǐ)] 부끄럽지 않네, 후회하지도 않네 [ruby(为何不配?, ruby=Wèihé bùpèi?)] [ruby(为何要跪?, ruby=Wèihé yào guì?)] 왜 자격이 없는가? 왜 무릎을 꿇어야 하는가? [ruby(是非, ruby=Shìfēi)] [ruby(真伪, ruby=zhēn wěi)] 옳고 그름, 진실과 거짓 [ruby(由谁来定错对?, ruby=Xuǎnzé wúguān cuò duì)] 옳고 그름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누구인가? [ruby(谁给我种下因果 , ruby=Shéi gěi wǒ zhǒng xià yīnguǒ)] [ruby(结局却不说破, ruby=jiéjú què bù shuōpò)] 누가 나에게 인과응보를 심고 결과를 알려주지 않았는가 [ruby(诞生已铐上枷锁 , ruby=Dànshēng yǐ kào shàng jiāsuǒ)] [ruby(无法挣脱, ruby=wúfǎ zhēngtuō)] 태어난 순간 이미 족쇄를 찼고, 벗어날 수가 없네 [ruby(一场 , ruby=Yī chǎng)] [ruby(惨败, ruby=Cǎnbài)] 이건 하나의 비참한 패배 [ruby(英雄 , ruby=Yīngxióng)] [ruby(身后不过碑文几行, ruby=shēnhòu bùguò bēiwén jǐ xíng)] 영웅 뒤에는 남은 것은 몃 줄의 비문뿐 [ruby(传说 , ruby=Chuánshuō)] [ruby(起承转合虚构太多, ruby=qǐchéngzhuǎnhé xūgòu tài duō)] [ruby(你想, ruby=nǐ xiǎng)] 전설의 기승전결에는 허구가 너무 많아, 너는 어떻게 생각해 [ruby(囚徒笑问傀儡 , ruby=Qiútú xiào wèn kuǐlěi)] [ruby(谁比谁更荒唐, ruby=shéi gèng huāngtáng wǒ suī)] 죄수가 미소를 지으며 인형에게 물었네, 누가 더 우스워보이는가? [ruby(我虽一身泥浆 , ruby=yīshēn níjiāng)] [ruby(那又, ruby=nà yòu)] [ruby(怎样?, ruby=zěnyàng?)] 온 몸이 진흙투성이더라도, 그게 뭐 어때? [ruby(无罪, ruby=Wú zuì)] [ruby(无畏, ruby= wú wèi)] 나는 무죄이고 두려워하지 않네 [ruby(为何不配?, ruby=Wèihé bùpèi?)] [ruby(为何要跪?, ruby=Wèihé yào guì?)] 왜 자격이 없는가? 왜 무릎을 꿇어야 하는가? [ruby(是非, ruby=Shìfēi)] [ruby(真伪, ruby=zhēn wěi)] 옳고 그름, 진실과 거짓 [ruby(选择无关错对, ruby=Xuǎnzé wúguān cuò duì)] 누가 판단하는가? [ruby(咬断了命运枷锁 , ruby=Yǎo duànle mìngyùn jiāsuǒ)] [ruby(不疯狂不成话, ruby=bù fēngkuáng bùchéng huà)] 운명의 족쇄를 물어뜯고, 미치지 않으면 말할 수 없으니 [ruby(埋葬于无人角落 , ruby=Máizàng yú wú rén jiǎoluò)] [ruby(自有评说, ruby=zì yǒu píngshuō)] 아무도 없는 곳에 묻힌다 해도,결국에는 평가 받을 것이니 [ruby(故事 , ruby=Gùshì)] [ruby(之外, ruby=zhī wài)] 이 이야기 밖 너머에는 [ruby(有谁, ruby=yǒu shéi)][ruby(还在?, ruby=hái zài?)] 누가 여전히 아직 남아있을까? |
4.3. 일본어
<colcolor=#FAE7D4> 月 地平を染め上げ 달은 지평선을 물들이고 空 [ruby(静, ruby=しじ)][ruby(寂, ruby=ま)]に凍てつく 하늘은 고요 속에서 얼어붙네 その瞳に宿る希望 그 눈동자에 머무는 희망 散り逝くまで輝く 사라질 때까지 빛나리 僕らは彷徨い求める 우리는 방황하며 찾아가네 道なき道の先を 길 없는 길의 끝을 残響の糸 紡ぎ合わせ 잔향의 실을 엮어내며 悠久の風よ つま弾け 영원의 바람이여, 울려 퍼져라 今 往かん 지금, 나아가리 影 荒野に降り立つ 그림자는 황야에 내려앉고 旅 暗き波を越え 여정은 어둠의 물결을 넘어가네 傷だらけの胸に一つ 상처투성이의 가슴에 단 하나 囚われない魂 속박되지 않은 영혼 僕らは闇夜を切り裂く 우리는 암흑의 밤 갈라내며 潰えぬ焔掲げ 꺼지지 않는 불꽃을 높이 들리 星屑に筆先を浸し 별가루에 붓끝을 담가 書き換えていく [ruby(運, ruby=さ)][ruby(命, ruby=だめ)]を 운명을 다시 써내려가리 オワリハ 끝은 ハジマリ 시작이니 |
5. 여담
- 2024년 12월 29일, 오프닝 티저가 각종 공식 SNS에 공개되었으며, 아글라이아와 파이논의 인게임 모델링도 최초 공개되었다.
- 이후 공식방송에 공개되며 앰포리어스 영웅기에 등장하여 얼굴이 공개된 캐릭터 전원 모델링이 공개되었다.
- 기존의 오프닝인 성간 여행과 WHITE NIGHT는 카일루스가 메인으로 나온 반면, Nameless Faces는 스텔레가 메인으로 나왔다.
- 성간 여행, WHITE NIGHT과는 다르게 기억 개척자의 필살기 모션이 공개되지 않았는데, 이는 보존척자, 화합척자와는 다르게 앰포리어스 1막부터 기억 운명의 길이 개방되어 굳이 오프닝에 넣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일본어 버전은 일본의 붕괴: 스타레일 CM에 사용되었다.
- 시청자수 추이
- 글로벌판 : 1월 4일 조회수 100만회를 돌파하였고 1월 19일 조회수 200만회를 돌파하였다.
- 일본어판 : 1월 10일 조회수 100만회를 돌파하였다.
- 중국어판 :
6. 둘러보기
#!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bordercolor=#010101,#2d2f34><tablebgcolor=#010101><color=#ffffff,#e0e0e0> [[붕괴: 스타레일|[[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width=200]]]] ||
||<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00px> '''[[붕괴: 스타레일/스토리|{{{#ffffff 스토리}}}]]'''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개척 임무]] {{{-2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프롤로그|프롤로그]]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1장|1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2장|2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3장|3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4장|4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동행 임무|동행]] · [[붕괴: 스타레일/임무/모험 임무|모험]]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이벤트]] {{{-2 ([[붕괴: 스타레일/이벤트/1.n 버전|1]]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2.n 버전|2]]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3.n 버전|3]])}}} ||
|| '''[[붕괴: 스타레일/지역|{{{#ffffff 지역}}}]]''' ||[[은하열차]] · [[우주정거장 「헤르타」]] · [[야릴로-Ⅵ]] · [[선주 「나부」]] · [[페나코니]] · [[앰포리어스]] ||
||<|2> '''[[붕괴: 스타레일/설정|{{{#ffffff 설정}}}]]''' ||'''지역별''': [[붕괴: 스타레일/설정/야릴로-Ⅵ|야릴로-Ⅵ]] · [[붕괴: 스타레일/설정/선주 연맹|선주 연맹]] · [[붕괴: 스타레일/설정/페나코니|페나코니]] · [[붕괴: 스타레일/설정/앰포리어스|앰포리어스]] · [[그라모스(붕괴: 스타레일)|그라모스]]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에이언즈]] · [[사도(붕괴: 스타레일)|사도]] · [[기계 제왕 전쟁]]· [[곤충 떼 재난]]}}} ||
||<|2>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지역별''': [[우주정거장 「헤르타」#등장인물|우주정거장 「헤르타」]]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야릴로-Ⅵ|야릴로-Ⅵ]]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선주 「나부」|선주 「나부」]]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페나코니|페나코니]]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앰포리어스|앰포리어스]] ||
||'''[[붕괴: 스타레일/파벌|파벌]]''': [[스텔라론 헌터]] · [[스타피스 컴퍼니]] · [[천궁의 장군]] · [[갤럭시 레인저]] · [[소멸파]] · [[지니어스 클럽]] · [[황금의 후예]]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word-break: keep-all"
||<|3><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00px> '''[[붕괴: 스타레일/콘텐츠|{{{#ffffff 콘텐츠}}}]]'''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캐릭터]] {{{-2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운명의 길]])}}} · [[붕괴: 스타레일/적|적]] {{{-2 ([[붕괴: 스타레일/적/열계 창조물|열계 창조물]] · [[붕괴: 스타레일/적/선주 「나부」|선주 「나부」]] · [[붕괴: 스타레일/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붕괴: 스타레일/망각의 정원|망각의 정원]] {{{-2 ([[붕괴: 스타레일/혼돈의 기억|혼돈의 기억]])}}} · [[붕괴: 스타레일/허구 이야기|허구 이야기]] · [[붕괴: 스타레일/종말의 환영|종말의 환영]]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시뮬레이션 우주''']]: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곤충 떼 재난|곤충 떼 재난]]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황금과 기계|황금과 기계]]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차분화 우주|차분화 우주]]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인지 불가 영역|인지 불가 영역]]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기물|기물]]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축복|축복]] ||
|| '''[[붕괴: 스타레일/시스템|{{{#ffffff 시스템}}}]] ''' ||[[붕괴: 스타레일/전투|전투]] · [[붕괴: 스타레일/속성|속성]] · [[붕괴: 스타레일/워프|워프]] {{{-2 ([[붕괴: 스타레일/워프/캐릭터 이벤트 워프|캐릭터]] · [[붕괴: 스타레일/워프/광추 이벤트 워프|광추]])}}} · [[붕괴: 스타레일/무명의 공훈|무명의 공훈]] · [[붕괴: 스타레일/업적|업적]] ||
|| '''아이템''' ||[[붕괴: 스타레일/광추|광추]] {{{-2 ([[붕괴: 스타레일/광추/파멸|파멸]] · [[붕괴: 스타레일/광추/수렵|수렵]] · [[붕괴: 스타레일/광추/지식|지식]] · [[붕괴: 스타레일/광추/화합|화합]] · [[붕괴: 스타레일/광추/공허|공허]] · [[붕괴: 스타레일/광추/보존|보존]] · [[붕괴: 스타레일/광추/풍요|풍요]] · [[붕괴: 스타레일/광추/기억|기억]])}}} · [[붕괴: 스타레일/유물|유물]] · [[붕괴: 스타레일/육성 아이템|육성]] · [[붕괴: 스타레일/소모품|소모품]] · [[붕괴: 스타레일/재료|재료]] · [[붕괴: 스타레일/기타 아이템|기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00px> '''미디어 믹스''' ||[[붕괴: 스타레일/OST|OST]] · [[붕괴: 스타레일/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2 ([[붕괴: 스타레일/별무리 기행|별무리 기행]] · [[붕괴: 스타레일/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호요랜드|가을 축제]] ||
|| '''기타'''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업데이트]] · [[붕괴: 스타레일/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붕괴: 스타레일/오마주 및 패러디|오마주 및 패러디]] · [[붕괴: 스타레일/오역|오역]] · [[붕괴: 스타레일/여담|여담]] · [[붕괴: 스타레일/평가|평가]] · [[붕괴: 스타레일/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관련 사이트''' ||[[붕괴 스타레일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붕괴 스타레일 채널|채널]] · [[https://www.hoyolab.com/circles/6/42/feed|HoYoLAB]] ||}}}}}}
}}}}}} ||
[1] 맨 처음에 나오는 손이 헤르타의 손이기에 어찌보면 성간 여행의 카프카처럼 가장 먼저 등장하고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셈이다.[2] 이때 자세히 들어보면 카메라 셔터 음이 들린다.[3] 인트로에서 아주 잠깐 보인 가면을 쓴 사람이다.[4] 거울을 자세히 보면 앰포리어스로 향하는 열차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