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7:25:56

애슬론 챔피언

파일:애슬론 또봇 로고.jpg
주요 등장인물 & 애슬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애슬론 & 파일럿
애슬론 알파 애슬론 베타 애슬론 세타
백해일
애슬론 토네이도 애슬론 발칸 애슬론 록키
강풍
애슬론 장고 애슬론 앰뷸런 애슬론 메트론
차노을
합체 애슬론
애슬론 챔피언 애슬론 마그마식스
알파베타세타 알파베타세타
토네이도발칸록키
개발자
주고운나이스 조
조력자
우수리차도운독고오공독고온달또봇 W
남목새오푸른
}}}}}}}}} ||
애슬론 챔피언
Athlon Champion
파일:챔피언/포즈.png
<colbgcolor=#ff8900,#ff8900><colcolor=#fff,#fff> 참여 애슬론 애슬론 알파, 애슬론 베타, 애슬론 세타
파일럿 백해일
기체 특징 피구
말투 특징 긍정할 때 '당연하지'라고 응답
가끔 말 끝에 '~것인 것이다'를 붙임
개발자 주고운
소속 로봇 피구 태풍 팀
테마곡 Sound the Alram
디자이너 애니띵이
성우 고현경[1][2]

1. 개요2. 특징
2.1. 성능
3. 사용 기술4. 작중 행적
4.1. 2기
5. 어록6. 완구
6.1. 애슬론 챔피언6.2. MINI 애슬론 챔피언
7. 여담

1. 개요

당연하지!
애슬론 또봇 2기에 등장하는 합체 애슬론.

백해일의 애슬론 전원인 알파, 베타, 세타가 3단 합체한 애슬론이다.

2. 특징

파일:애슬론 챔피언.gif
애슬론 베타 애슬론 알파 애슬론 세타
구성원인 알파, 베타, 세타는 로봇 레이싱용으로 만들어졌지만, 챔피언은 로봇 피구를 위해 개발되었다.

단호하고 자신감 넘치는 성격으로, 변신자동차 또봇의 합체 또봇과 달리 이쪽은 파일럿에게도 먼저 말을 하는 등 나름 능동적이다. 문장의 어미에 "~것인 것이다"가 붙고, 긍정적으로 대답할 때에는 "당연하지!"라는 당찬 대답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파일럿은 백해일로, 레트로봇 제작 또봇 시리즈 중에서 최초로 파일럿이 1명인 아군측 합체 메카이다.[3]

합체 시에는 알파는 하얀색, 세타는 주황색으로 변하며 베타는 기존 색상과 유사하지만 차체에 드러난 무늬가 흰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며, 알파가 몸통과 머리, 세타가 팔, 베타가 다리로 변형하여 합체한다.[4]

2.1. 성능

작중에서는 유일하게 합체하여 참전하는 피구 로봇으로, 로봇 피구에서 합체 로봇이 아웃될 경우 구성원 전원이 다 아웃인데, 다른 팀(이름은 코펠 팀)이 5단합체를 하다가 그상태에서 한방에 아웃된 이후[5] 합체가 나온 적이 없었다고 한다. 대신 순수 파워로 피구 실력만은 좋다. 리스크를 감수하는 만큼 더 강한 파워로 밀어붙이는 것.

피구 경기에서 챔피언으로 합체할 때는 되도록이면 먼저 참가한 알파와 베타가 아웃되지 않게 하고, 세타가 나설 수 있게 2기 애슬론들이 엄호해 준다.

빠른 속도와 강한 공격력을 둘 다 갖추고 있으며, 로봇 피구의 경우 움직일 자리가 별로 없기 때문에 속도는 잘 이용하지 못하고, 파워만으로 적을 밀어붙인다.

3. 사용 기술

4. 작중 행적

4.1. 2기

로봇 피구 태풍 팀
<rowcolor=#fff,#fff> 파일럿 코치 메카닉
강통 → 강풍 백해일 우수리 주고운
출전 로봇
애슬론 토네이도 애슬론 발칸 애슬론 록키 애슬론 알파 애슬론 베타 애슬론 세타
애슬론 챔피언
후보 메카 합체 메카

4화: 초반에 주고운이 개발하고 있는 챔피언의 설계도가 보이다가 택배로 필요한 합체 부품이 도착한다. 설치 후 합체 해 연습 겸 승리 슛을 시전하는데 이를 강풍의 애슬론들조차 막아내기 버거워할 정도로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합체 로봇의 경우, 합체 로봇이 아웃될 경우 구성원들도 모두 아웃이라는 패널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8] 그러나 강풍은 챔피언의 파워를 파괴력이 강한 팍팍팀과의 경기에 이용하기로 한다. 하지만 룰라바이의 계략에 의해 세타가 부상을 입고, 합체 부품이 파손된 탓에 일시적으로 봉인된다.

이때문에 해일과 베타가 급히 합체 부품을 수급해오고, 다행히 알파, 베타, 록키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세타가 수리되어 록키와의 선수 교체로 합류하는데 성공한다. 곧바로 챔피언으로 합체. 워낙 큰 덩치 때문에 만만하게 보이지만 팍팍팀의 강공을 간단히 막아내는 위엄을 보였다. 승리 슛으로 팍팍팀 로봇들을 하나 둘 아웃시키기 시작하고 남은 로봇인 파이커가 겨우 막아낸다. 곧장 힘으로 밀어붙이려 하지만 역시 가볍게 막혀버리고, 승리 슛으로 라인 아웃되며 태풍 팀의 승리로 이끈다.

5화: 올래 팀의 앞에서 연습을 위해 합체. 이후 해일이 화장실에 있는 상황에서 도긴, 개긴이 합체해 애슬론들을 위협할 때 합체해 등장. 곧바로 킥을 날려 밀쳐내고 팔을 피해 다시 밀어낸다. 도긴, 개긴의 로봇이 날아오르자 해일에게 승리 파 명령을 요청해 승리 파를 시전해 저멀리 날려버린다. 떨어지는 도긴, 개긴을 잡으려 했으나 비행해 날아 도주하는 바람에 놓치고 만다.

7화: 룰라바이칠키에게 위협받는 우수리, 발칸을 돕기 위해 합체. 칠키를 상대하다 칠키가 회전하며 낙하하는 공격을 시전하자 록키, 토네이도를 도와 발칸과 함께 칠키의 공격을 막아낸다.

9화: 도심에 등장한 칠키를 막아내기 위해 합체. 칠키를 상대하며 해일에게 강풍에게 도움을 청하자고 권한다. 칠키를 최대한 상대해보나 결국 밀리고 칠키에게 밟혀 로켓 펀치에 공격당하며 궁지에 몰리다 강풍이 도우러 와 마그마식스로 합체한다.

11화: PK팀을 상대하며 합체한 뒤 공격받을 때 합체를 푸는 식의 전략을 사용한다.

12화: PK 레전드를 상대. PK 레전드의 슛을 막아낸 뒤, 태풍 슛을 위해 분리한다. 하지만 PK 레전드가 태풍 슛을 이용해 역으로 세타를 아웃시키며 더는 합체하지 못하게 되었다. 경기가 끝난 뒤 시상식 중 습격한 칠키를 막기 위해 다시 합체.[9] 신기술, 승리 연발을 시전하며 승기를 잡는 듯 했지만 알파가 결승전 중 과열되었던 관계로 합체를 유지하지 못해 분리되고 만다.

13화: 발칸이 맴돌안테나를 차단하러 간 관계로 합체. 제대로 된 상황을 보지 못하는 해일과 강풍을 대신해 상황을 지시해주며 칠키를 승리 파로 밀어붙인다. 하지만 순간적으로 해일, 강풍이 혼란이 왔고 해일, 강풍을 지키기 위해 칠키의 공격을 대신 맞고 리타이어된다.

하지만 해일의 외침을 듣고 알파, 베타, 세타의 마인드 코어가 빛나며 다시 일어난다. 칠키가 챔피언을 제거하려 할 때, 눈에 다시 빛이 들어오며 칠키를 막는다. 막으면서 점점 푸른빛을 내뿜으며 "챔피언!"이라고 외치며 각성한다. 승리 연발로 칠키를 밀어붙이며 상대하다 다시 마그마식스로 합체한다.

5. 어록

챔피ㅡ언!!![10]
누구 앞에서 힘자랑을 하는 것인 것이냐!
파워란, 이런 것인 것이다!
2기 4화
떼써도 비키지 않는다!
시민을 지키는 내가! 챔피언!
2기 9화
해일, 강풍도 부르는 게 좋겠다.
(해일: 뭐? 안 돼! 강풍인 이미 안온다고 했다고.)
위급할 땐, 온다고 했던 것인 것이다!
2기 9화
내가 다시 돌아온 것인 것이다!
2기 13화[11]

6. 완구

6.1. 애슬론 챔피언

파일:애슬론 챔피언 완구박스.jpg
파일:애슬론 챔피언 완구.webp[12]
2016년 출시. 가격은 오프라인 기준 59,900원이었다.

또봇 V에선 색 배치가 변경되었고,[13] 이름도 '또봇 그랜드챔피언'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완구의 경우 원본 챔피언 자체는 재판되지 않고 그랜드챔피언으로 바꿔서 발매했다. 물론 아예 재판되지 못한 다른 로봇들보다는 사정이 낫다.[14]

6.2. MINI 애슬론 챔피언

파일:애슬론 챔피언 미니 완구 박스.jpg
파일:애슬론 챔피언 미니 완구.jpg
이쪽은 마그마식스와 달리 아직 국내에 정식으로 출시되지 못했다.

7. 여담



[1] 또봇 시리즈 최초로 합체 로봇 성우에 기존 구성원들 중 1명이 아닌 전혀 다른 사람이 캐스팅된 사례(그것도 해당 배역 외 다른 건 전혀 맡지 않았다). 이전엔 쿼트란을 담당한 설재근, 델타트론을 담당한 안효민도 있었지만, 두 사람은 각각 또봇 ZERO와 또봇 C를 중복으로 맡았기에 제외.[2] 이후 합체 또봇 성우들 중 해당 로봇만 맡은 사례는 또봇 V의 마스터 V를 맡은 구자형(그나마 V 우주수호대의 제트썬더를 담당하기도 했지만, 해당 작품은 기존 또봇 V의 속편이기에 무의미하다), 대도시의 영웅들의 테트란을 맡은 박요한이 해당한다.[3] 이후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에서 파일럿이 1명이어도 되는 또봇 SOS가 등장했다. 다만 이쪽은 경우에 따라 파일럿의 수가 바뀔 수 있으며 보통은 3명인 편(일단 공식 파일럿은 매기박사). 그리고 또봇 시리즈 공식 2번째로 파일럿이 1명인 아군 합체 로봇은 또봇 헤비메탈로, 마리솔이 스틸/크롬/아이언 모두의 파일럿이 되었다.[4] 이 구조는 원작의 트라이탄과 동일하며, 합체 전 구성원들의 색상도 서로 유사하다.[5] 능력치는 좋지만 지나치게 큰 크기가 오히려 발목을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기동성도 딸려서 피하기도 힘들 것이다.[6] 빠르고 강한 공을 던지기 위해서인 듯하다.[7] 그래도 칠키의 주먹을 막을 정도로 강력한 펀치를 날린다.[8] 이때 세타가 특히 실망하는데, 보조 로봇이라는 태생 상 스펙이 뛰어나지 못해 보통 경기에 참여할 수 없었으나 챔피언으로 합체하면 경기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9] 마그마식스로 합체하려 했었으나 발칸이 에너지가 없는 관계로 챔피언이 나서게 되었다.[10] 여타 합체 또봇이나 합체 애슬론처럼 뱅크씬 마지막에 외치는 자신의 이름임과 동시에, 자신을 과시하는 시그니처 대사이다.[11] 마그마식스의 등장 이후 입지가 좁아진 챔피언을 나름 신경 써준 듯한 대사이다. 실제론 바로 이전 화인 12화에서도 출연했었다.[12] 해당 완구 이미지는 해외판이며, CG에 챔피언의 손이 반대로 된 오류가 있다.[13] 정확히는 챔피언의 상체를 맡는 또봇 알파플러스의 색상 그대로. 나머지 구성원들 중 베타는 차체의 무늬가 빨간색에서 주황색으로 변경(반대로 차체 색상은 하늘색이 아닌 원본 베타의 색상 그대로 적용했다), 세타는 기존 주황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되었다.[14] 각 구성원 단품 중 알파 또한 챔피언처럼 플러스 버전이 사실상 재판이 되었고, 베타와 세타는 아예 단품 자체가 재판되지 않았다. 이는 2기와 3기 애슬론들도 마찬가지. 그러나 2022년 10월에 마그마식스가 재판됨에 따라 챔피언을 포함한 나머지 애슬론들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게 됐다.[15] 마지막 부분은 해일이와 강풍을 지켜주고 쓰러졌으나, 이후 둘의 결의를 듣고 깨어나면서 외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