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26:18

애독자의 복선 회수일지/맥거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애독자의 복선 회수일지|애독자의 복선 회수일지]]

1. 개요2. 상세3. 목록
3.1. No. 800~3.2. No.500~7993.3. No.300~4993.4. No.100~2993.5. No.010~0993.6. ~No. 009

1. 개요

웹소설 애독자의 복선 회수일지에서 등장하는 맥거핀들에 대해 다루는 문서. 주인공의 최종 목표는 원작인 '레카프시실리 대륙 연대기'의 미회수 복선, 맥거핀들을 회수하고 진엔딩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런데 맥거핀 문서에 나와있듯이 원래 맥거핀은 회수가 안 되어도 스토리에 아무 지장이 없어야 맥거핀이라고 부르는 거고 미회수 복선은 그냥 미회수 복선이다. 그러니까 용어 자체가 오류다.

2. 상세

맥거핀을 회수하게 될 시 '업적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며, 이 맥거핀에는 저마다의 넘버링과 이름이 붙는다. 이 넘버링이 낮을수록 스토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며, 특정 넘버링 이하의 맥거핀을 회수하게 될 시 특성/기술 선택권과 같은 특수한 보상을 얻거나, 더 높은 등급의 랜덤 카드를 해금할 수 있다. 맥거핀을 회수하고 얻은 업적 포인트는 트립퍼 시스템의 소모품/특성/기술 뽑기에 사용할 수 있다.

3. 목록

3.1. No. 800~

3.2. No.500~799

3.3. No.300~499

3.4. No.100~299

이 정도로 낮은 넘버링의 맥거핀들은 대부분이 더 낮은 넘버링의 맥거핀으로 이어지는, 핵심 스토리라인의 줄기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3.5. No.010~099

3.6. ~No. 009


[1] 이 맞서게 된 이유 자체는 4화에서 언급되지 않았고, 후일 주인공이 스트로크 공국에서 나가는 송별회 자리에서 리들레와 얘기하면서 주인공이 언급한다.[2] 29화 시점에서는 단순히 용마교단 최고 간부 중 정신 조작 능력이 있는 캐릭터가 있다는 식으로 묘사되었다. 사실 그 뒤로 정확히 알리키라는 말은 없었으나 부교주 3명 중 정신 조작 능력이 있는 건 알리키뿐이므로 사실상 확정.[3] '혈혈단신'이 표준어이며, 홀홀단신은 비표준어이다. 소설 내의 원문을 따랐다.[4] 이 묘사가 73화에서 자세하게 드러나 불쾌하다는 사람들도 있었다.[5] 이질적인 무언가를 담을 수 있는 램프. 샴브하비가 빠지면서 S+등급이었던 서약의 램프가 등급이 내려갔다.[6] 체샤를 처음 봤을 때나 위블레 제국에서 황제를 알현했을 때 등 꾸준히 얘기가 나왔었다. 복선이었던 셈.[7] 보통 10레벨 후반~20레벨 중반 정도.[8] 원작에서는 '용의 대리자인 소녀들은 그 젊음이 시들기 전 수명이 다하고, 머지 않아 다시 피어난다.'는 문구가 나온다. 과거의 태양의 무녀는 클라라의 전생이며 어떤 의미에선 클라라 본인 그 자체라고 봐도 무방해 보인다.[스포일러] 나중에 나오지만, 사실 디어사이드 유파의 시조는 디어사이드 유파의 분열을 알고 있었고 70레벨대 이상의 전사가 될 정도로 강한 검사가 두 분파에 나오게 되면 무신을 죽일 수 있는 기술을 완성하도록 유도했고, 그 기술의 개념 또한 정립해 놓은 상태였다.[10] 유스타시오나 비사냐 등[11] 유사점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 계약자가 필요하단 것, 그리고 각 개체가 고유한 권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12] 주문의 대상의 일생에 단 한 번만 효력이 있는 궁극의 봉인주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