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21:27:43

알프레드 길버트

<colbgcolor=#000><colcolor=#fff> 알프레드 길버트
Alfred Gilbert
파일:ACGilbert.jpg
본명 앨프리드 칼턴 길버트
Alfred Carlton Gilbert
출생 1884년 2월 15일
오리건 주 세일럼
사망 1961년 1월 24일 (향년 76세)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발명가, 기업인, 마술사, 육상선수
신체 170cm, 59kg
가족 형 해롤드 시메온 길버트
남동생 프랭크 웰링턴 길버트

1. 개요2. 길버트 아저씨의 장난감
2.1. 길버트 아저씨의 유리 제조 세트2.2. 길버트 아저씨의 납 주조 세트2.3. 길버트 아저씨의 화학 실험 세트2.4. 길버트 아저씨의 U-238 원자력 에너지 실험실
3. 수상 기록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Proof_of_AC_Gilbert.jpg파일:Alfred_Carlton_Gilbert_1908.jpg
운동선수 시절 모습

알프레드 길버트는 전 미국의 육상 선수였고 미국의 사업가이자 장난감 개발자로, 1908 런던 올림픽에서 장대높이뛰기 종목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적이 있다.

2. 길버트 아저씨의 장난감

알프레드 길버트는 본디 스포츠 의학 전공이었지만 대학 졸업 이후에 사업에 몰두하기 시작하였다. 그가 고안한 장난감은 단순히 아이들이 던지고 안고 만지고 노는 장난감이 아닌 과학 실습을 겸하는 실용적인 제품이었다. 단순한 마술사 놀이 세트부터 측량사 세트, 과학상자와 비슷한 교량을 건설하는 장난감 기차 세트 등 평범한 장난감도 있으나, 그 위험성이나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것들이 많았고 오히려 매우 위험한 경우가 많았다. 그 때문에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버트 아저씨(...)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런 위함한 물건이 시중에 판매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당시 안전에 대한 지식이 전체적으로 낮았고, 그에 대한 규정도 미비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위험하다는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다.[1] 같은 중금속방사능이 위험하다는 사실도 나중에야 밝혀졌다.길버트는 원자력 에너지 키트도 미국 최고의 핵 물리학자가 참여해서 만들어서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핵 실험 키트의 판매가 중단되는데 그 이유는 방사능 물질이어서가 아닌 아이들이 삼킬 수 있을만큼 너무 작아서였기 때문이다.[2]

길버트가 만든 위험한 장난감으로 인해 매드 사이언티스트나 매드 엔지니어처럼 비쳐지기도 하지만 실제와는 다르다. 길버트 본인은 상업적인 이익보다는 아이들이 실험과 실습을 통해 과학을 손수 배우고 익히기를 바랐다. 순수하게 어린이들의 과학 교육을 일환으로 장난감들을 제작한 것으로 제품개발 의도는 매우 건전하고 교육적이었다. 실제로 아카데미과학처럼 간단한 실험도구와 과학상자 비슷한 제품을 비롯하여 피규어나 철도 모형같은 제품들도 많이 만들었다.# 이 때문에 평가가 갈리는 인물이기도 하다.

2.1. 길버트 아저씨의 유리 제조 세트

파일:길버트아저씨의유리제작.jpg

길버트 사가 1920~1930년대 사이에 만든 유리 제조 세트이며, 직접 불어서 작품을 만드는 제품이다.

유리모래, 탄산소다, 석회암을 일정한 비율로 섞은 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만드는데, 그 높은 온도가 섭씨 1,000도다.[3][4]

만약 이 1,000°C나 되는 유리가 피부에 닿는 정도면 그나마 다행이고, 유리를 부는 과정에서 숨을 들이키기라도 하면 호흡기에 심각한 내열 화상을 입게 된다. 거기다 이 장난감을 만지는 대상이 어린이인 만큼 덜 식은 유리를 함부로 만졌다가 심한 부상을 입거나 빠르게 냉각하려고 물에 담궜다가 급격한 냉각에 깨지면 파편이 튀어 나가는 등 위험성이 크다.

특히 유리 공업은 제조 과정에서 엄청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아이들이 그렇게 집중력을 가지고 조절할 가능성은 많지 않다.

2.2. 길버트 아저씨의 납 주조 세트

파일:1282931_1_x.jpg

실제로 을 녹여서 거푸집으로 모형 군대, 군인을 만드는 장난감이다.

납은 섭씨 327도에서 녹는다. 유리보다는 낮아도 여전히 화상의 위험이 크다. 또한 납은 주석비소 같은 중금속이다. 당연히 이 장난감에도 독성이 있으며 잘못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문제는 동봉된 납에서 단 맛이 나는 데다 중독성 까지 있어서 그 당시 아이들이 입에 물고 다녔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그러나 납으로 만든 모형 자체는 1980년대 후반까지 꾸준히 출시되었고, 이후에야 주석으로 대체되었다.[5] 대체된 이유는 안전이 아니라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이었다.

2.3. 길버트 아저씨의 화학 실험 세트

파일:길버트 아저씨의 화학 실험 세트.jpg

여러 가지 화학 재료를 이용한 실험을 하는 세트이다.

총 56가지의 화학 물질이 들어 있으며, 이중에는 독성 물질도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독성에 연소 가능한 과망간산칼륨, 폭탄 제조에 쓰이는 질산암모늄, 그리고 섞으면 청산 가스가 만들어지는 타닌산과 페로시안화트늄도 있다.

이것도 아이들을 대상으로 판매한 만큼 가지고 놀면서 화학물질을 삼키거나 접촉하는 등 여러가지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잘못되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고 심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심각한 안전불감증의 산물이다.

현재 이 장난감은 외국의 모 대학교 화학 분야 연구실에서 쓰이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애들 장난감이 아니라 화학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팔았어야 했다' 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2.4. 길버트 아저씨의 U-238 원자력 에너지 실험실

파일:1366_2000_123.jpg

원자력 에너지를 실험하는 장난감이다.

위험한 길버트 장난감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위험천만한 물건으로, 이 장난감이 만들어진 시기는 1950년경이다. 방사능의 위험성이 알려진 건 1950년 이후의 일이라서 출시 당시에는 최첨단 과학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장난감으로 여겨졌다. 당시 가격은 $49.95로, 오늘날 물가로 치면 약 $300에 달하는 가격이다. 1940년대 미국 수병의 월급이 $60 정도였음을 생각하면 적은 돈이 아니다.

내용물은 원자를 어떻게 자르는가에 대한 간단한 책 1권과 가이거 계수기, 우라늄 광물 표본이 들어있는 원통 4개, 핵분열을 일으키는 원자로 등이 있다. 천연 우라늄은 농축 우라늄과 달리 생각보다 방사선이 위협적이지는 않지만 방사성 물질인 만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 심각한 수준으로 피폭될 수 있다. 특히 삼키기라도 한다면 내부 피폭으로 극단적인 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

높은 가격에다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6]을 다루는 장난감이다보니 다른 화학 실험 세트와는 달리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5,000 키트 미만으로 팔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히려 주요 타겟층이 아닌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물리실험 용도로 구매한 적이 있었다.
[서프라이즈] 방사성 물질로 어린이 장난감을 만든 미친 발명가'

이 장난감은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장난감 1위에 랭크되었고,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이 장난감을 다루기도 하였다.

3. 수상 기록

올림픽
금메달 1908 런던 장대높이뛰기

4. 기타



[1] 당시의 사회 분위기상 설령 알았어도 지금과는 달리 휴먼 에러 등을 상정하지 않고, 문제가 생기면 본인의 탓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즉, 원래 의도와 다르게 사용해서 사고가 난 것이니 본인 과실이라는 식이다.[2] 이 '너무 작아서 식도나 눈을 다칠 수 있다'는 사유는 온갖 매체에서 희화화 되지만 절대 우습게 볼 이유는 아니다. 어린아이가 삼킬 수 있을 만큼 크기가 작은 장난감이 기도나 식도를 잘못 막으면 사람 잡을 수 있고, 눈을 찌르거나 눈에 들어가면 실명할 수도 있다. 레고 제품이 아동 이상의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제품은 블록이 작지만 유아용인 듀플로 시리즈의 블록은 큼직하고 둥글둥글한 모양을 띄는 이유가 이것이다.[3] 유리의 종류마다 다르긴 하지만 아주 낮은 온도에서 녹는 유리도 섭씨 650도나 되니, 높은 온도에서 녹는 유리는 말 다 했다고 볼 수 있는 셈.[4] 유리 공장의 가마와 녹은 유리의 온도가 섭씨 1600도다. 1600도면 쇠도 녹는 온도다.[5] 최초의 스페이스 마린 모형도 납으로 만든 금형이다.[6] 사실 핵분열 이론 자체가 상대성 이론과 관련되어 있어서 어린아이들이 이해하기에는 매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