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18:35:10

알라, 시리아와 바샤르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70909><tablebgcolor=#570909> 파일:1000005701.svg바샤르 알아사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70909><colcolor=#E5E4E7> 평가 <colbgcolor=#fff,#1f2023>평가
가족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 · 어머니 아니사 마후로프 · 누나 부슈라 알아사드 · 형 바셀 알아사드 · 남동생 마지드 알아사드 · 남동생 마헤르 알아사드 · 아내 아스마 알아사드 · 장남 하페즈 알아사드 2세 · 장녀 제인 알아사드 · 차남 카림 알아사드
소요 및 전쟁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 다마스쿠스 함락) · 대IS 군사 개입
사건 · 사고 과수원 작전 · 이스라엘의 공습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대외 관계 시리아 내전/러시아의 개입 (타르투스 해군기지 · 흐메이밈 공군기지) · 시리아 내전/헤즈볼라의 역할 · 저항의 축
군대 · 군인 시리아 아랍군,육군 · 해군 · 공군,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 수헤일 알 하산 · 이삼 자흐레딘
기타 바트주의 시리아 · 바트당(시리아) · 아랍 사회주의 · 바트주의 · 아사드주의 · 알라위파 · 통 폭탄 · 알라, 시리아와 바샤르 · 세드나야 교도소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 파일:바트당 당기.svg 바트주의 }}}}}}}}}

1. 개요2. 가사3. 여담

1. 개요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아랍 공화국 대통령을 시리아와 같이 찬양하는 시리아의 노래. 부른 사람은 라미 카주르(Rami Kaazour, رامي كزعور)이다. 2017년, 유튜브에 업로드된 후 조회수가 1200만 회에 달할 정도로 유명해졌다. 해당 영상 세속주의를 추구하던 정권의 프로파간다 노래답게 음악 스타일도 서구 스타일에 가깝다.

시리아 대통령 선거 유세 운동 버전도 존재한다. We will elect you, Bashar!

2. 가사

아랍어 가사 영어 번역 한국어 가사
الشعب السوري بٱلساحات El sha'ab el souri bil sahhat 시리아인들이 광장에 모여
للمجد بيرفع رايات Lal majd byerfa’a rayat 영광을 위해 깃발을 높이 드네,
عم يهتف بثلاث كلمات A'am b'yehtuf bi tlat kilmat 그들은 세 가지 단어를 외치고 있으니-
اللّٰه، سوريا و بشار Allah Souriya w Bashar 알라, 시리아 그리고 바샤르!
(نحنا رجالك يا بشار) (Nehhna rjalak ya Bashar!) (우린 당신의 사람입니다 바샤르!)
كنيسة و جامع متحدين، و ٱلمحبة عنو الدين Kneeseh w jame’e metehhdeen
W l'emhhabi a'anwan el deen
교회와 모스크가 하나 되어 사랑과 신앙을 외치네
و ملايين السوريين و ما بدهم الا بشا W mlayeen el Souriyeen
W ma badhon illa Bashar.
그리고 수많은 시리아인들은, 오직 바샤르만을 원하네!
(نحنا رجالك يا بشار) (Nehhna rjalak ya Bashar!) (우린 당신의 사람입니다 바샤르!)

3. 여담

2024년 12월,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몰락하고 시리아 반군이 승리하자 이 노래도 재조명되어서 조롱과 비웃음이 섞인 반응을 받고 있다. 시리아에서 반정부 시위가 한창이던 2011년에는 가사를 완전히 바꿔 바샤르를 조롱하는 꺼져라! 바샤르!가 제작되었는데, 이 노래 역시 알아사드 정권의 몰락을 계기로 재조명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