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3 04:02:18

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95be53><tablebgcolor=#95be53>
파일:LMB 로고.svg
[[틀:멕시코 프로야구 리그|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북부 리그 (Zona Norte)
파일:아세레로스 데 몬클로바 엠블럼.svg 파일: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엠블럼.png 파일:칼리엔테 데 두랑고 엠블럼.svg 파일:차로스 데 할리스코 엠블럼.svg 파일:도라도스 데 치와와 엠블럼.png
아세레로스 데
몽클로바
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칼리엔테 데
두랑고
차로스 데
할리스코
도라도스 데
치와와
파일:리엘레로스 데 아과스칼리엔테스 엠블럼.svg 파일:사라페로스 데 살티요 로고.svg 파일: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엠블럼.svg 파일:테콜로테스 데 도스 라레도스 엠블럼.svg 파일:토로스 데 티후아나 엠블럼.svg
리엘레로스 데
아과스칼리엔테스
사라페로스 데
살티요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테콜로테스 데
도스 라레도스
토로스 데
티후아나
남부 리그 (Zona Sur)
파일:아길라 데 베라크루즈 엠블럼.svg 파일:Bravos de Leon 2024 logo.webp 파일: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 엠블럼.svg 파일: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워드마크.svg 파일:게레로스 데 오아하카 엠블럼.svg
아길라 데
베라크루즈
브라보스 데
레온
콘스피라도레스 데
케레타로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게레로스 데
오아하카
파일:레오네스 데 유카탄 엠블럼.svg 파일:올메카스 데 타바스코 엠블럼.svg 파일: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엠블럼.svg 파일:피라타스 데 캄페체 엠블럼.svg 파일:티그레스 데 킨타나 로오 엠블럼.svg
레오네스 데
유카탄
올메카스 데
타바스코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피라타스 데
캄페체
티그레스 데
킨타나 로오
}}}}}}}}}}}}}}} ||
파일: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로고.svg 파일: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엠블럼.png
모자 로고 구단 로고
<colbgcolor=#381117><colcolor=#D6AE67> 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Algodoneros de Unión Laguna
창단 1940년
연고지 코아우일라토레온 (1940~)
구단명 변천 우니온 라구나 데 토레온(Unión Laguna de Torreón)(1940~1953)
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Algodoneros de Unión Laguna)
바케로스 라구나(Vaqueros Laguna)(2003~2016)
바케로스 우니온 라구나(Vaqueros Unión Laguna)(2017)
소속 리그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 (1940~)
홈 구장 에스타디오 레볼루시온 (Estadio Revolución, 1940~)
약칭 LAG
리그 우승
(2회)
1942년, 1950년
감독
역대 한국인 선수 최경환 (1999)
로컬 TV 중계 Televisa
SNS 계정 파일:알고도네로스 데 우니온 라구나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여담
2.1. KBO 리그 출신 선수

1. 개요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 소속의 프로 야구팀.
팀명인 알고도네로스(Algodoneros)는 목화 재배자라는 뜻으로, 코아우일라 주가 멕시코 최대의 면화 생산지인 것이 구단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1]

북부 코아우일라 주에는 무려 3개의 야구팀이 있는데, 그 중 하나이며 토레온(Torreón) 시에 위치해있다.

지역명인 우니온 라구나(Unión Laguna)는 토레온(Torreón)을 중심으로 토레온의 위성도시들과 옆동네 두랑고(Durango)주의 고메즈 팔라시오(Gómez Palacio)와 레르도(Lerdo)를 포함한 5개의 도시들로 이루어진 대도시권(Metropolitana)을 일컫는 말이다.[2]
같은 지역을 연고로 한 축구팀인 산토스 라구나가 위치해 있는 곳이기도 하다.

2. 여담

이 팀 앞에서는 롯데 자이언츠[3]나 히로시마 도요 카프[4]는 감히 명함도 못 내미는게, 이 팀의 마지막 우승은 1950년[5]이다(…).
물론 윗동네 야구 리그에서 1948년월드 시리즈 우승한게 마지막인 클리블랜드 앞에서 할 얘기는 아니지만, 이도 불과 2년 차이이다.
실감이 안 난다면, 이 팀이 마지막 우승을 한 해에 한국에서는 6.25 전쟁이 일어났다.
그나마 이후에 북부 지구(Zona Norte) 우승을 한번 한 뒤에 멕시칸 시리즈에서 준우승 했었는데 , 그 마저도 1990년이다(…)[6]
2023년 북부 리그 우승함으로써 33년 만에 세리에 델 레이(Serie del Rey)[7][8]에 진출하였고, 무려 73년 만에 우승에 도전하게 되지만, 하지만 아쉽게도 시리즈 4-2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게 된다. 만약 이 팀까지 우승했다면 미국, 일본, 한국과 함께 모두가 오랜 세월만에 우승한 진광경을 볼 수 있게 되었을 것이다.

2.1. KBO 리그 출신 선수


[1] 토레온 옆에 주도인 살티요(Saltillo)가 멕시코 섬유 산업의 중심도시였던 점이 이와 관련이 있다.[2] 토레온(Torreón)의 인구는 약 70만명으로 코아우일라 주에서는 3번째로 큰 도시이다. 인구 1억 이상의 대국답게 토레온은 다른 대도시에 비해 작아보이지만, 주변 군소도시들을 모아놓으면 약 145만명으로 광주광역시 인구와 맞먹는다. 멕시코에서는 9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진 나름 큰 도시권이다.[3] 한국시리즈 마지막 우승: 1992년 (2024년 기준 32년)[4] 일본시리즈 마지막 우승: 1984년 (2024년 기준 40년)[5] 2024년 기준으로 마지막 우승한지 무려 74년이나 지났다…[6] 롯데 자이언츠의 마지막 한국시리즈가 1999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마지막 일본시리즈가 2018년,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의 마지막 월드시리즈가 2016년 108년의 저주 VS 68년의 저주 인 것을 감안해도 오래됐다.[7] 멕시칸 시리즈.[8] 상대는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9] 1999년 마이너리그 시절 미국 비자 문제로 그 당시 소속 마이너리그 팀의 자매 구단이었던 멕시칸 리그의 이 팀에 임대 방식으로 잠깐 뛰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