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2 11:40:05

토레온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도시
토레온
Torreón
width=90% 파일:Escudo-torreon.jpg
시기(市旗) 시장(市章)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역 코아우일라
면적 140km²
인구 735,340명(2021년)

1. 개요

멕시코 북부에 위치한 코아우일라주의 도시로 관개 시설 덕분에 멕시코 농업과 면화 가공의 중심지이다.

2. 역사

‘토레온’이라는 이름은 스페인어로 "작은 탑"을 뜻하며, 19세기 중반 농지에 세워진 관개용 둑 근처에 있던 작은 탑(감시탑)에서 유래했다. 토레온 지역은 원래 광대한 사막지대였으나, 19세기 중반부터 대규모 관개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농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특히 목화 재배가 활발해졌다. 1883년, 멕시코 중북부와 연결되는 철도가 건설되면서 토레온은 교통 요충지가 되었고,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이로인해 인구가 증가하였고 토레온은 1907년에 공식적으로 도시로 승격했다. 멕시코 혁명 당시 토레온에서는 전국 여러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데리스타 지지자들이 극심한 박해를 받았다. 레온에서 음모를 주도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마누엘 N. 오비에도 신부를 포함하여 일부는 혁명 발발 전부터 이미 투옥되어 있었다. 1913년 10월 1일, 판초 비야가 이끄는 혁명군이 토레온에 도착했다. 1914년 4월 3일, 비야의 북부 사단은 10일간의 전투 끝에 토레온을 점령하였다.

토레온은 주변 지역과 함께 코아우일라 및 두랑고 주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목화, 맥주(세르베사 코로나), 철강, 섬유 등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였다. 빠른 산업화로 인해 20세기 중후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며, 이민자들도 많이 유입되었다.

3. 경제

토레온 원래 멕시코 목축업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관개 시설 도입으로 농업과 면화 가공 지원의 중심지가 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그 중에서 특히 섬유, 의류, 금속 가공 산업이 발달했다. 멕시코의 주요 광업 그룹인 페뇰레스(Peñoles) , 주요 유제품 회사인 모토 레스 존 디어(Motores John Deere) , 라라(Lala), 유라 코퍼레이션(Yura Corporation), 소리아나(Soriana), 치마코(Cimaco), 엑스트라(Extra) 등의 주요 기업과 산업체가 이곳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4. 문화

4.1. 요리

토레온은 로스트 비프가 유명하며 생일, 기념일, 금요일 밤이나 일요일 정오에 주로 먹는다. 사이드로 수제 살사 소스, 아보카도, 구운 소시지, 양파, 감자, 차로콩, 케사디야, 차가운 맥주가 함께 제공된다.

4.2. 축제

La Reliquia"는 스페인어로 "성유물" 또는 "유물"을 뜻한다. 이 행사에서 말하는 ‘Reliquia’는 문자 그대로 성인의 유골이나 유품이 아니라, 기독교 신앙을 상징하는 전통적 음식과 순례 행위를 말한다. 행사는 처음에는 가족 단위 또는 지역 이웃 단위로 감사의 표시로 성인에게 음식을 바치거나 나누는 소규모 모임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공공 행사화되었고, 현재는 수천 명이 모이는 축제로 발전했다.

4.3. 관광

4.4. 스포츠

5. 여담

6. 자매도시


[1] 라구나(Laguna)는 에스파냐어로 석호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