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23:09:12

아티파

아티파
Atipa
학명 Hoplosternum littorale
Hancock, 1828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기어강 Actinopterygii
메기목 Siluriformes
칼리크티스과 Callichthyidae
호플로스테르눔속 Hoplosternum
아티파 H. littorale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이명3. 상세4. 번식

1. 개요

남아메리카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서식하는 칼리크티스과 메기의 일종.

2. 이명

각 지역마다 불리는 이름이 전부 다른데, 아티파는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쓰는 명칭이며 브라질에서는 타무타, 가이아나에서는 하스사, 수리남에서는 크위크위나 크위에크위에,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는 카스카두, 카스카두라, 베네수엘라에서는 부스코, 쿠리토라고 부른다. 그래서 일반명이 아닌 학명으로 '호플로스테르눔 리톨라레'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3. 상세

몸길이는 최대 24cm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가 크다. 피부가 갑옷처럼 단단하며 가슴지느러미에 지방이 축적되고 종종 붉은색을 띄는 길쭉하고 뒤로 휘어진 가슴지느러미뼈가 생긴다. 안데스산맥 동쪽과 부에노스아이레스 북쪽의 남아메리카 전역에 분포해 오리노코 강, 트리니다드 강, 가이아나 해안의 강, 아마존강 유역, 파라과이, 피라나 강 하류, 브라질 남부의 해안 지대까지 분포하며 나라로 얘기하면 베네수엘라가이아나에서 아르헨티나까지 분포한다. 주로 야행성이다. 열대 기후의 정체된 수역과 습지에 서식하며 용해된 미네랄이 매우 부족한 열대 우림의 개울이나 맑은 물의 강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아가미와 장을 모두 사용하여 호흡할 수 있지만 새로 부화한 유생은 피부를 통해 산소를 받아들인다. 그 후 12~23일 사이에 공기 호흡을 하는 능력을 발달시키고 24~32일 사이에 장 호흡을 하는 능력을 발달시킨다.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 친화도를 가지고 상당한 부어 효과가 있는 양극성 헤모글로빈과 상당한 pH 효과가 없는 음극성 헤모글로빈의 두 종류의 헤모글로빈이 있다. 곤충류나 작은 갑각류를 주로 잡아먹는다.

4. 번식

생후 1년이 되면 번식할 수 있게 된다. 거품 둥지를 지으며 칼리크티스아과 메기 중 가장 복잡한 거품 둥지를 짓는다. 각 개체는 둥지 사이의 거리를 최소 10m 이상으로 유지한다. 둥지 짓기의 시작은 구애 의식으로 시작된다. 수컷과 암컷은 서로 평행하게 헤엄치며 수컷과 암컷이 서로 마주보며 수염을 접촉하고 수컷이 암컷의 옆구리를 자극하고 수컷과 암컷이 수면으로 헤엄쳐 둥지를 지을 자리에 첫 번째 거품을 생성하며 둥지를 지어가며 더 많은 거품을 생성한다. 수컷은 거품의 대부분을 생성한다. 수컷은 좌우로 배지느러미를 움직이지만 암컷은 배지느러미를 벌리고 접는다. 수컷은 입과 가슴지느러미로 식물 잔해를 거품 덩어리에 붙이고 암컷은 거품 덩어리 위에 알을 낳는다. 산란은 낮에 일어난다. 수컷과 암컷은 알을 수정시킬 때 T자세를 형성하고 암컷이 입을 수컷의 생식기 개구부에 대고 입에 정자를 모은다. 암컷은 바닥으로 내려가 30~60초 동안 쉬고 둥지로 올라가 몸을 거꾸로 뒤집고 알을 낳는다. 번식기인 7개월 동안 암컷은 최대 14번까지 산란할 수 있고 한 번 산란할 때마다 6,000~9,000개의 알을 낳는다. 평균적으로 2~4마리의 암컷이 동시에 산란해 평균 20,000개의 알을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