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07:21:10

아제 아제 바라아제

아제아제 바라아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교 경전에 대한 내용은 반야심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1980년 이후 제작),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nt-size: .7em;"
파일:짝코.png 파일:복부인임권택.png 파일:만다라.png
짝코 (1980) 복부인 (1980) 만다라 (1981)
파일:우상의눈물.png 파일:아벤고공수군단.png 파일:안개마을.png
우상의 눈물 (1981) 아벤고 공수군단 (1982) 안개마을 (1982)
파일:오염된자식들.png 파일:나비품에서울었다.png 파일:불의딸.png
오염된 자식들 (1982) 나비품에서 울었다 (1983) 불의 딸 (1983)
파일:흐르는강물을어찌막으랴.png 파일:길소뜸.png 파일:티켓(임권택).png
흐르는 강물을 어찌 막으랴 (1984) 길소뜸 (1985) 티켓 (1986)
파일:씨받이.png 파일:연산일기.png 파일:아다다.png
씨받이 (1986) 연산일기 (1987) 아다다 (1987)
파일:아제아제바라아제.png 파일:장군의아들.png 파일:장군의아들2.png
아제 아제 바라아제 (1989) 장군의 아들 (1990) 장군의 아들 2 (1991)
파일:개벽.png 파일:장군의아들3.png 파일:서편제.png
개벽 (1991) 장군의 아들 3 (1992) 서편제 (1993)
파일:태백산맥(임권택).png 파일:축제(임권택).png 파일:노는계집창.png
태백산맥 (1994) 축제 (1996) (노는계집 창) (1997)
파일:춘향뎐.png 파일:취화선(임권택).png 파일:하류인생.png
춘향뎐 (2000) 취화선 (2002) 하류인생 (2004)
파일:천년학.png 파일:달빛길어올리기.png 파일:화장(임권택).png
천년학 (2007) 달빛 길어올리기 (2011) 화장 (2015)
상세정보 링크 열기
1980년 이전 제작
}}}}}}}}}}}}}}}}}} ||
역대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daejongawards.png
최우수작품상
제26회
(1987년)
제27회
(1989년)
제28회
(1990년)
연산일기 아제 아제 바라아제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아제 아제 바라아제 (1989)
Aje aje bara aje
आजे आजे बारा अजे
Come, Come, Come Upward
파일:아제 아제 바라아제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종교
감독
원작
한승원 - 소설 《아제아제 바라아제》
각색
제작
기획
주연
촬영
구중모
조명
차정남
편집
박순덕
음악
김정길
미술
도용우
소품
김호길
분장
조경애
동시녹음
이성근, 오기삼
음향
김병수(녹음), 양대호(효과)
조감독
김영빈, 오병철, 김의석, 박광인, 지성현
스틸
양기주, 구본창(사진협조)
현상
영화진흥공사
색보정
김광운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태흥영화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년 3월 3일
화면비
1.85:1
상영 시간
134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45,241명
상영 등급

1. 개요2. 등장인물3. 설정4. 줄거리5. 수상6. 흥행7.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1989년 드라마ㆍ종교 영화. 임권택이 연출하였으며, 강수연, 진영미 등이 출연하였다.

원작은 1985년에 소설가 한승원이 집필한 동명의 장편소설로, 1985년 6월 1일 삼성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2. 등장인물

[ 단역 펼치기ㆍ접기 ]
* 윤양하
  • 신충식
  • 김복희
  • 이정애
  • 정미경
  • 조학자
  • 권일정
  • 송희연
  • 홍원선
  • 이석구
  • 조주미
  • 오영화
  • 박예숙
  • 임예심
  • 홍성연
  • 이숙희
  • 백순정
  • 강지영
  • 김해주
  • 김성순
  • 김지현
  • 이은경
  • 이명숙
  • 김유경
  • 장광남(아역)

3. 설정

4.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부성의 아픔 만을 남기고 떠난 아버지 운봉스님, 돈과 성에 눈이 먼 어머니 제주댁, 어머니와 내연의 관계이면서 자신을 겁탈한 중년의 사내, 현종 선생과의 오해로 인한 이별 등으로 속세의 아픔을 느낀 순녀(강수연)는 여승이 되고자 덕암사에 찾아온다.

자살하려던 남자 박현우를 구한 일을 계기로 그녀는 파계를 하고 다시 속세로 내려간다. 그나마 박현우(한지일)가 죽자 만행 중인 선배 여승 진성(진영미)을 만나 노화도의 병원에서 간호원 생활을 시작한다. 자신을 희생하여 송기사를 구하려 하지만 송기사 마저 죽고 순녀는 자신의 업보를 깨달으며 다시 덕암사를 찾는다.
출처: 다음 영화

은선스님은 순녀를 기다리고 있었고, 순녀가 돌아오자 스님들에게 순녀를 받아달라는 유언과 죽은 뒤 사리를 찾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입적한다. 그러나 장례를 치르는 동안 스님들도 대중도 순녀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배척한다. 다비식이 끝나고 밤중에 찾아온 순녀는 은선스님의 사리를 챙겨 다시 속세로 돌아간다.[2]

5. 수상

6. 흥행

145,241명의 성적을 거두었다.

7. 기타



[1] 영화 속 버스의 행선지 안내판에 선암사가 나온다.[2] 어쩌면 은선스님은 자신이 마지막으로 부탁했음에도 스님과 대중이 순녀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임을 내다보고 자신의 사리를 순녀에게 주려고 사리를 찾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는지도 모른다.[3] 강수연이 세계 영화제에서 수상한 것이 처음이었고 그 다음이 이혜숙이 1991년 은마는 오지 않는다로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은 게 2번째. 남자배우로선 1993년 살어리랏다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은 이덕화가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