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쿠마 급행의 차량 | ||
| 8100계 | AB900계 |
밑줄 : 일부, 대부분 편성이 퇴역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아부쿠마 급행 8100계 전동차 阿武隈急行 8100系 電車 Abukuma Express 8100 Series (EMU) | }}} |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근교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대수 | 2량 1편성 | ||||
운행노선 | 아부쿠마 급행선 | ||||
도입연도 | 1988년 | ||||
제작회사 | 일본차량제조 | ||||
소유기관 | 아부쿠마 급행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1988년 ~ 현재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 20,000㎜ | |||
전폭 | 2,900㎜ | ||||
전고 | 3,650㎜ | ||||
궤간 | 1,067㎜ | ||||
대차 | 볼스터리스 대차 ND707, ND707T | ||||
차중 | 74.4t | ||||
신호장비 | ATS-Ps | ||||
차체 | 강철제 | ||||
급전방식 | 교류 20,000V 가공전차선 | ||||
제어방식 |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 ||||
동력장치 | 직류 직권 전동기 | ||||
제동방식 | 전자직통 공기제동 | ||||
기어비 | 1 : 5.6 | ||||
주전동기 출력 | 120kw (163ps) | ||||
최고속도 | 100km/h | ||||
가속도 | 2.1㎞/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
1. 개요
아부쿠마 급행에서 전선 개업에 맞춰 2량 9편성 총 18량이 제작된 차량이다.2. 상세
차체는 JR 큐슈의 713계 전동차를 베이스로 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개량을 한 결과 713계의 모습은 거의 없어졌다. 2비차 사양이나, 1인 승무를 고려하여 운전실이 있는 측의 출입문은 단문형이다.한랭지를 주행하기 때문에 내한 사양을 갖추었으나, 주행 구간의 강설량은 적기 때문에 내설 구조는 채용되어 있지 않다.차내 설비는 문 사이에 4인용 박스 시트를 배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롱시트를 배치하는 세미 크로스시트로 되어 있다. 또한, 1인 승무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맨 설비가 설치되었다.
운전대 기기의 배치는 JR 동일본의 근교형 및 급행형 전동차와 비슷하다. 화장실은 일본식으로 되어있으며, 신제 시부터 설치되어 있었다.
주행기기류에 대해서도 주회로 구성은 713계를 베이스로 하고, 제어 회로는 신칸센 100계 전동차를 베이스로 한다.도입 당시에는 전 차량의 행선기가 롤지식이었으나, 2014년 11월부터 점차 LED로 교체되었고, 전조등과 표지등도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