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의 분쟁에 대한 내용은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 문서
, 2020년의 전쟁에 대한 내용은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문서
참고하십시오.아르메니아의 대외 전쟁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전투 | 교전국 | |
<colbgcolor=#F2A800>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오스만 제국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소비에트 러시아 |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1918 ~ 1920, |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
아르메니아-조지아 전쟁 ,1918, | 조지아 민주 공화국 | ||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1921, |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 ||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 아제르바이잔 | ||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 ,2016.4.1 ~ 2016.4.5, | 아제르바이잔 | ||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0, | 아제르바이잔 튀르키예 시리아 국민군 | ||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 ,2022, | 아제르바이잔 | ||
2022년 아르차흐 봉쇄 ,2022, | 아제르바이잔 | }}}}}}}}} |
아제르바이잔의 대외 전쟁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전투 | 교전국 | |
<colbgcolor=#3f9c35>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대영제국 아르메니아 러시아 제국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소비에트 러시아 |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1918 ~ 1920, | 아르메니아 | ||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 아르메니아 | ||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 ,2016.4.1 ~ 2016.4.5, |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 ||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0, | 아르메니아 | ||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 ,2022, | 아르메니아 | ||
2022년 아르차흐 봉쇄 ,2022, |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 ||
2023년 아르차흐 분쟁 ,2023, | 아르차흐 공화국 | }}}}}}}}}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영어: Armenian–Azerbaijani war | |||
시기 | 1918년 5월 30일~1920년 11월 28일 | ||
장소 | 캅카스 남부 | ||
원인 | 영토 분쟁 | ||
교전 세력 |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오스만 제국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
지휘관 | 안드라닉 오자냔 드라스타마트 카나얀 하마자스프 스반즈티안 | 사마드 베이 메흐만다로프 호스로프 베이 술타노프 제바트 파샤 | 아나톨리 게커 보리스 캄코프 이반 튤레네프 무자퍼 킬릭 |
병력 | 60,000명 | 50,000명 36,000명 | 70,000명 13,000명 |
결과 | 소련의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합병 | ||
영토 변화 | 나고르노카라바흐와 나흐츠반의 아제르바이잔화 장게주르 회랑의 아르메니아화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과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이 붕괴한 후 아르메니아인들과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제각기 다른 국가를 세우면서 일어난 전쟁. 튀르키예도 개입해 아제르바이잔을 지원했다.2. 상세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간의 전쟁이었으며 1918년에서 1920년까지 치러졌다. 주전장은 나흐츠반, 장게주르(슈니크 주), 나고르노카라바흐였다.[1]3. 전황
1918년 6월 4일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은 수도 포위를 앞두고 오스만 제국의 요구에 따라 바툼 협정을 체결한다. 아르메니아는 5월 28일 예레반 코앞의 마을인 사르다라바드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효과적으로 막아낸 대승으로 유리한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자평하였으나 여러 계파로 나뉜 민병대들의 생각은 각기 달랐다. 아르메니아는 예레반을 건사할 수 있었으나 안드라닉 오자냔의 민병대를 포함한 반군 일부는 수도 서쪽의 자신들의 고향을 전부 포기하는 이 협정을 비난하였고, 이들 중 상당수는 군벌화되어 예레반으로 합류하지 않는다.1918년 7월 14일, 수천의 민병대를 거느린 군벌 수장 안드라닉 오자냔은 전선에서 피난해 나흐츠반을 활동 거점으로 삼는다. 이 세력은 오스만과 아제르바이잔의 연결통로를 끊는 요충지를 미끼로 삼아 영국, 러시아의 지원을 받고 싶어 하였으나 러시아는 러시아 내전 직전이었고 영국은 아직 바쿠와 메소포타미아에 볼일이 한참 많이 남아 있었기에 호응을 얻지 못했다.
오스만군은 나흐츠반에 아르메니아 민병대가 들어선 것을 확인하고 트란스캅카스 철길을 따라 빠르게 토벌군을 증원한다. 나흐츠반은 정주하기에는 좋은 땅이었지만 소수의 군벌이 웅거하기에는 오스만 제국 방향으로 너무 지척이었기에 이들은 버티지 못하고 장게주르 고지대로 밀려난다.
장게주르로 밀려난 아르메니아 반군은 현지 타타르인과 쿠르드인 마을을 불태우고 다니며 무법지대를 형성한다. 또한 이미 패전 단계에 돌입한 오스만군이 이를 진압하지 못한 채 동년 10월 카라바흐에서 물러나면서 반군은 카라바흐 산악지역으로 유입된다. 이들은 1919년 1월 슈샤에 당도하였고 패전국 감독을 맡은 영국 캅카스전선 사령관 윌리엄 몽고메리 톰슨에게 여러 차례 제지를 받는다.
톰슨 사령관은 파리 강화 회의 타결까지 현상유지만을 담당하였지 병력을 마구 끌어다 쓸 수는 없는 입장이어서 슈샤에 설립된 임의의 지방정부에 대해 지역 사무만 보도록 하고 정치적 행위를 금할 것을 명령하였으며, 반군에게는 무력 행위 정지를 요구했다. 하지만 이들은 듣지 않았고, 사령관은 평협 이전까지 임시로 카라바흐 총독을 임명하고 이 지역 반군을 알아서 해산시킬 것을 주문한다.
카라바흐 총독 호스로프 베이 술타노프(Khosrow bey Sultanov)는 포위망을 좁혀가며 봉쇄와 협상을 병행해 가며 이들의 복종을 받아내려 하였으나 1년여의 기간동안 작전은 완수되지 못했고, 1920년 4월 볼셰비키가 바쿠를 접수함으로써 카라바흐 총독 체제 또한 무너지고 이 지역의 분쟁은 다음 시대로 넘어간다.
3.1. 소비에트 러시아의 개입
이후 당시 캅카스의 레닌이라는 별명이 있는 이오시프 스탈린을 중심으로 한 볼셰비키의 붉은 군대가 멘셰비키와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 개입하여 이 지역들을 포함한 캅카스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전쟁은 종료되었다. 소련은 이 전쟁의 여파를 감안해 1921년 3월 16일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내의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사이의 경계 및 나흐츠반,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점유권을 각각 아제르바이잔 SSR, 아르메니아 SSR의 사법권으로 정했다. 그러나 아제르바이잔 SSR이 나고르노카라바흐가 아르메니아 SSR의 영토가 되는 것을 반대했고 이후 이오시프 스탈린까지 참석, 최종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건은 부결되었다. 1923년 7월 7일 아제르바이잔 SSR에 귀속되도록 경계가 변경되었고 이 사건은 종식되었다.4. 관련 문서
[1] 이 중 카라바흐 지역에 대한 분쟁은 70여년 후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과 100년 후의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으로 재점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