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6 10:30:55

아기가 타고 있어요

파일:external/freerangekids.files.wordpress.com/baby-on-board-sign.jpg
Baby on board [1]

1. 소개2. 도시전설3. 진짜 유래4. 여담

1. 소개

자동차에 부착하는 스티커에 쓰인 문구. '아기가'가 아니라 '아이가'로 바꿔서 쓴 문구도 흔하게 있다.

쉽게 말해 "아기태우고 있으니 너랑 나 모두 조심하자!"란 뜻이다. 아무래도 아기가 탑승했다고 한다면 과속, 난폭운전을 할 경우 몰상식한 사람이라 비난받을 것이야 안 봐도 비디오고, 반대로 아기가 타고 있는 차에게 느리게 간다고 경적을 울려대면 이것 역시 욕을 태바가지로 먹을 일이기에 뒤에 오는 차량이나 당사자에게도 심리적으로 안전 운전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특히 한동안 고생고생하며 아기를 간신히 재워 놓았더니 뒤에서 경적을 울리는 통에 아기가 다시 울기 시작하거나 심하게는 경기를 일으킨다면 부모 입장에선 헬게이트 오픈.

파일:과학차.jpg
그러나 일부 운전 미숙인 운전자가 위의 예시처럼 아기를 탑승시키지도 않았으면서 변명 용도로 달고 다니는 경우도 흔하기에 본래의 의도가 퇴색되어진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기가 무슨 운전자도 아니고 항상 타고 있을 리가... 실제로 이 스티커를 붙였으면서도 아이를 카시트에 태우지 않고 운전자나 동승자가 안고 탑승하는가 하면, 방향지시등도 켜지 않고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시도하는 등 민폐 운전을 하는 사례가 적잖이 목격되기에[2] 아예 이 문구 자체를 곱지 않게 보는 시선도 적지 않은 편.[3] 일부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간혹 저 스티커만 붙여놓고 애는 태우지도 않은 채 민폐 운전하는 것들은 벌금 때리기는 당연하고, 스티커 자체도 못 붙이게 하거나, 아예 운전면허증몰수해야 한다는 등의 극단적인 주장들까지 나오기도 한다.

사실 아이가 타고 있음을 알린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아무것도 없다. 차를 이끌고 도로로 나오는 그 순간부터 운전자가 가장 신경을 기울여야 할 것은 첫째도 둘째도 도로의 법규와 전방의 상황이며 이 책임이 아이를 태우고 있다고 해서 면제되는 것이 아니다. 아이에게 신경 쓴다고 전방을 주시하지 못하다가 법규를 위반하거나 제 때 가속 혹은 출발하지 못해 뒷차의 흐름을 방해한다면 당연히 뒷차는 경적 등으로 주의를 줄 권리가 있다.

종종 아이의 성별, 나이, 혈액형까지 써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쓸데없는 짓을 넘어 개인정보를 대놓고 뿌리고 다니는 행위로써 매우 위험하며, 심하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왜 쓸데없는 짓이냐면 애초에 구급차에선 수혈을 하지 않으며, 병원에서 사고 차량 후면에 부착된 문구를 볼 수 있을 리 만무하고, 수혈이 필요할 정도의 큰 사고가 나면 뒷유리가 멀쩡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이다. 구조대원 입장에서도 구출한 이 아이가 차주의 아이인지 옆집 아이인지 친척 조카인지 알 방도도 없으니 무슨 정보가 적혀 있든지 무시하는 게 당연하고, (그러지도 않지만)만약 구조대원이 차 뒤에 이런 게 붙어 있더라 하고 의료진에 전달했다손 쳐도 스스로 잘못된 혈액형을 알고 있는 경우도 상당히 흔하기 때문에 수혈 시엔 무조건 혈액형 검사를 한다. 이런 스티커가 생기게 된 원인은 해외 파병 군부대의 군복에 있는 혈액형 패치를 바탕으로 생긴 것으로서, 군복의 혈액형 패치는 군의관이 수혈을 위하여 보라고 표시를 한 것이기에 민간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실 이 드라마 방영 이후 차량에 부착하는 혈액형 스티커가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2. 도시전설

말 그대로 "아이가 타고 있다(동승하고 있다)"라는 것을 명시한 문구이다.
2002년, 캐나다에서 아기를 탑승하고 차를 몰고 가던 부부가 교통사고를 당했다. 사고 현장에 도착한 구조대원들은 처참하게 찌그러진 사고 차량에서 부부를 구조해 응급차에 실어 병원으로 후송시켰다. 그 다음날 폐차장에서 사고 차량을 살펴보던 중 뒷좌석에 탑승했던 아기가 얼어죽은 동사체로 발견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아기가 승차한 차량에는 이 문구가 담긴 스티커를 의무적으로 부착시켜야 한다는 법령이 제정되었다.

...라고 흔히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런 교통사고가 있었다는 뉴스 보도도 존재하지 않는데다가 일단 구조대원들이 도착하면 모든 생존자를 찾는 확인 작업까지 꼼꼼하게 행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실수는 일어나지도 않고, 궁극적으로 미국과 캐나다 같은 선진국들은 아기들이 타는 유아용 안전시트(Infant Car Seat)을 판매해서 아기가 있는 가정은 필히 구입해서 쓰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도 도로교통법 제50조 1항에는 '유아(6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이 유아용 안전 시트를 장착한 후 좌석안전띠를 맨다'를 의무사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위반 시 3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게다가 유아용 안전 시트가 있는 차의 경우 사고 시에 더 꼼꼼히 확인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도시전설을 사실로 믿고 아예 '사고 시 아이부터 구해 주세요.'라는 문구의 스티커를 붙이는 경우도 늘었으며, 상술한 혈액형을 붙이는 것도 이것의 연장선상에 있다. 유머로 이를 꼬아 '아이는 없으니 저부터 구해 주세요.'라는 스티커도 있다.

3. 진짜 유래

진짜 사연은 1980년, 독일에서 안전운전 문구가 적힌 스티커를 달고 운행하는 차량들을 보고 자매 지간인 패트리샤와 헬렌 브래들리 두 여성이 미국 내에서 동일한 문구를 삽입한 스티커를 출시했으나 저조한 판매량으로 좌절했다. 이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얻은 마이클 러너는 이 두 여성에게서 상품의 권한을 당시 미화 3만 달러(약 3,114만 원)에 사들여 훗날 아기전문용품기업인 '안전제일(Safety 1st)'을 설립해 "아기가 타고 있어요"라고 문구를 바꿔 판매하여 대박을 쳤다. 아기까지 차에 탑승 시키고 운전하는 미국 부부들의 생활 습관을 적용해 성공을 한 것이다.

관련 기사.


4. 여담


파일:아이가 타고있어요.jpg


[1] 도로에서 많이 보이는 Baby in car는 잘못된 표현이다. in car는 말 그대로 아기가 안에 있다는 것이고 on board가 탑승 중이라는 뜻. 또한 in car는 아기를 물건 취급한다는 오해도 불러올 수 있다.[2] 이런 경우 운전자는 대개 30대 초반에서 40대 초반 남성이다. 평일에는 대중교통이나 택시로 출퇴근하다가 주말에 자차를 갖고 나와 평소 운전 습관대로 차를 몰기 때문.[3] 특히 '차 안에 (소중한) 내 새끼 있다', '까칠한 아기가 타고 있어요', '성깔있는 아들이 타고 있어요' 등의 좀 과격한 문구들은 애 있는 게 무슨 큰 벼슬도 아니면서 너무 유난 떠는 게 아니냐며 영유아 부모들 사이에서도 고깝게 보는 시선이 어느 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