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1:31

쌍책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2273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합천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합천읍
가야면 가회면 대병면 대양면
덕곡면 묘산면 봉산면 쌍백면
쌍책면 야로면 용주면 율곡면
적중면 청덕면 초계면 삼가면
}}}}}}}}} ||
합천군
쌍책면
雙冊面 | Ssangchaek-myeon
<colbgcolor=#ef312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 합천군
행정표준코드 5480045
관할 법정리 13리
하위 행정구역 18행정리 25반
면적 23.03㎢
인구 1,207명[1]
인구밀도 53.23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호 (3선)
경상남도의원 | 합천군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장진영 (초선)
합천군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철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봉훈 (재선) }}}}}}}}}
행정복지센터 성산큰길 48 (성산리 602)
쌍책면사무소

1. 개요2. 설화 및 지명유래
2.1. 상신리
2.1.1. 박곡마을2.1.2. 도방마을2.1.3. 창동마을
2.2. 하신리
2.2.1. 월곡마을2.2.2. 신촌마을
2.3. 사양리
2.3.1. 사양마을
2.4. 건태리
2.4.1. 건태마을2.4.2. 매호마을
2.5. 덕봉리
2.5.1. 덕봉마을
2.6. 진정리
2.6.1. 진정마을
2.7. 상포리
2.7.1. 상포마을2.7.2. 관수마을
2.8. 성산리
2.8.1. 내촌마을2.8.2. 외촌마을
2.9. 다라리
2.9.1. 중촌마을2.9.2. 계촌마을
2.10. 오서리
2.10.1. 오서마을2.10.2. 제촌마을
3. 특징 및 교통4. 교육5.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초계면, 청덕면, 덕곡면, 고령군 쌍림면과 접하고 있다.

본 면에는 합천박물관과 옥전 고분군이 있어 당시 대가야문화를 볼 수 있다.

2. 설화 및 지명유래

2.1. 상신리

2.1.1. 박곡마을

2.1.2. 도방마을

지방도 907호선과 인접하고 있어 대구 등과의 교통이 원활하다. 마을이 생긴 년대는 합천이씨는 550년전에 시거하였다 하고, 탐진안씨는 청덕에서 이주하였다 하며 진양강씨는 195년전에 시거하였다고 한다. 이책초등학교가 생기기전에 이책간이학교를 설립하여 후학들을 지도하였으며 설립자인 이천봉씨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매년 제자들이 계모임을 가지고 있다. 농지개량조합에서 상신저수지를 건립하기 이전에는 절골이라는곳에 자연마을이 있었으나 저수지 신설로 인하여 본부락으로 이주하였으며 아무리 가뭄이 계속되더라도 한해 걱정이 없는 마을이다. 대구에 있는 낚시꾼들은 조갑지 못이라하여 휴일에 많은 낚시꾼들이 찾아 오고 있다. 마을어귀 망두굴에는 170년 전에 심어진 정자나무 1그루가 있는데 이것은 본래 2그루가 1그루로 합쳐진 나무라고 하며, 가망두에는 250년 전에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정자나무가 10그루정도 서 있어 여름에는 주민들의 피서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2.1.3. 창동마을

주소득원은 미곡위주이며 얼마전까지만 해도 왕골 생산을 통한 돗자리와 엽연초 생산도 증가되고 있으며 엽연초 건조장 시설이 완료 되어있다.
각산(角山)은 마을 뒤편에 있는 산으로서 중국(中國) 이여송이 입국하여 산세(山勢)를 보고 이하(以下)는 인재(人才)가 생(生)한다는 설을 알고 산맥(山脈)을 끊었다고 한다. 상신리 170번지에 고분(古墳) 2基가 있었는데 왜정시(倭政時) 일인(日人)이 발굴(發堀)하여 갔다고 한다.

2.2. 하신리

2.2.1. 월곡마을

2.2.2. 신촌마을

2.3. 사양리

2.3.1. 사양마을

2.4. 건태리

2.4.1. 건태마을

2.4.2. 매호마을

2.5. 덕봉리

2.5.1. 덕봉마을

2.6. 진정리

2.6.1. 진정마을

초계정씨가 585년에 시거하였고, 초계정씨의 집성촌이며 시조인 정배걸의 묘소가 성산리 옥전에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1일에 옥전서원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마을안에는 약 150년 정도된 느티나무가 5그루, 해나무1그루가 있으며 마을입구에는 약300년된 2그루의 느티나무가 있어 여름에는 주민들의 피서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2.7. 상포리

2.7.1. 상포마을

2.7.2. 관수마을

2.8. 성산리

2.8.1. 내촌마을

2.8.2. 외촌마을

옛날 가야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문화 유적지가 많은 곳으로 지명에대한 두가지 설이 있다. 그중 하나는 지형이 누애의 잠자는 형태같다고 하여 누애잠(蠶)자와 잠잘미(尾)자를 써서 잠미라 불리었고, 또 하나는 옛날에 성이 있었다고 해서 잿 성(城)자에 뫼 산(山)잘로 성산이라 불렀다. 성산에 속하며 이조시대에는 초계군 초계면에 속하였으며 문화류씨가 610년전에 시거하였으며 구술밭에는 5-6가구가 1975년까지 살았으나 현재는 집터와 대밭의 흔적이 남아있다. 정자나무는 이중호씨 조부가 120년전에 심었다고하며 주민들의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음.
돌 방앗간 : 현재 마을정자가 있는 곳에 있으며 설치년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1920년대에 생긴 것으로 추정되며 1953년까지 곡식을 찧었다. 소를 용하여 2명(가래질1명, 빗자루질1명)이 1가마를 정미하는데 2시간정도 소요되며 1974년 도로확장으로 인하여 형체의 일부만 남아 있으며 그 위치에 바위가 있어 건돌바위라고 함.

2.9. 다라리

2.9.1. 중촌마을

이 지역에서 제일 높은 산인 부소산이 있고 화철사에서 동남으로 뻗어 함박산을 거쳐 갈비봉을 이룬다. 이 마을에 제일 먼저 들어온 성씨는 여양진씨로 중촌 저수지 옆 대박골이라는 곳에 살았으며 진씨께서 돌아가시자 청덕면 정산에서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다음에는 진양강씨(晉陽姜氏)가 자리잡았는데 중촌마을 앞 두간이라는 곳에 상당히 많은 사람이 살았으며 어느해 질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죽고 사방으로 흩어졌다. 그 중 한 집은 쌍책 건태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잘 살고 있다고 한다. 그 후 밀양박씨(密陽朴氏)와 안동권씨(安東權氏)가 합천 대양에서 이곳으로 이주해 현재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는 밀양박씨의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숨은바위 : 중촌의 뒤쪽에 있으며 없으면 안되고 보이면 안되기 때문에 작은 소나무로서 가리워져 있는 바위임.

2.9.2. 계촌마을

다라 앞에 구례라는 들이 있는데 이 들을 끼고 흐르는 냇물이 아홉구비라하여 9례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며 이마을의 재앙을 방지하는 뜻이 있다고 한다. 마을형성 시기는 안동귄씨가 합천 대양에서 495년 전에 시거하였고 약 2/3정도를 차지하였으며 밀양박씨도 495년 전에 시거하여 약1/3정도가 살았다고 한다. 다라의 입구에는 오림목 이라는 정자가 있는데 2그루는 없어지고 3그루만 남아있어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2.10. 오서리

2.10.1. 오서마을

이조시대에는 초계군 초책면으로 까마귀가 서쪽으로 날아가는 형상을 본떠 오서라 하였다 한다. 초계로 통하는 도로를 개설하기 위하여 70-80년대까지 주민들이 많이 노력하였으며 차량통행은 2개면을 경유하여 약9㎞ 우회하여야 한다. 현재는 오서교가 완공되어 많은 시간이 절약되고 있다

2.10.2. 제촌마을

3. 특징 및 교통

면소재지는 성산리이다. 이 면은 문화유적으로 베티세일동굴, 옥전고분, 옥전서원, 관수정, 법성정 느티나무 등이 있다. 또한 시외버스 대구-초계 노선이 이 면을 지난다. 907번 지방도, 1034번 지방도 등이 지나며 시외버스, 시내버스가 운행중이다.

4. 교육

초등학교 - 쌍책초등학교 (공립)

5. 출신 인물


[1]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