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의 병서 '화룡경'[2]에 그려진 신화비아의 모습. |
현대의 복원모형. |
1. 개요
신화비아는 중국 명나라 시기 만들어진 로켓 무기다.길이 80㎝ 내외, 날개 폭 250㎝, 무게 12㎏가량의 대형 로켓무기로, 대나무와 종이로 만든 몸체 안에 화약을 채워 넣고, 양 날개 밑에 일반 화전[3] 여러 개를 달아 이 화전들의 추진력으로 적에게 날아간다. 추진 주화의 추진통과 새 모양의 폭탄은 도화선이 연결되어 있어, 연료통의 연료가 다할 즈음 도화선을 통해 불이 새 모양 폭탄에 옮겨붙어 폭발하도록 되어 있다. 사거리는 300미터 가량이라고 한다.
2. 역사[4]
신화비아의 전신은 비공진천뢰(飛空震天雷, 비공격적진천뢰포(飛空擊賊震天雷砲)라고도 함)이었다.비공진천뢰의 모습 |
그러나 저런 아스트랄한 모습 때문에 실전에서 적군들에게 쓰면 적군들이 눈치 채고 도망가는 사태가 흔하게 벌어지다 보니, 이에 대한 개량이 지적되었다. 그런데, 역사에 이름이 남지 않은 어떤 명나라 사람이 이런 주장을 했다고 한다.
우리가 쓰는 비공진천뢰가 이상하게 생겨서 적들이 피하잖아. 그럼 새처럼 보이게 꾸미면 멍청한 적군들이 속아 넘어가지 않을까?
이게 단순히 발상으로만 끝났다면 별 문제가 아니었겠지만, 명나라 군부는 실제로 저 얼토당토 않은 주장을 "오, 그거 좋은 생각인데?"하고 받아들여 채택했다.(...) 그렇게 신화비아가 탄생했다.3. 실전 사용
백과사전인 '삼재도회'를 비롯한 각종 중국의 화약무기 관련 문헌기록에는 얼굴마담으로 나오지만,[5] 정작 실전에서 어떤 공을 세웠는지에 대한 것은 불투명하다. 처음에는 공성전용으로 쓰이다가, 화공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화공용이나 기습용으로 조금 쓰이기는 했다고 하지만 다른 로켓무기들에 비해 성능이 특별히 뛰어나지 않아 오래 쓰이지 못하고 사라졌다.그럴 수밖에 없는 게, 당시의 로켓 무기의 특성상 순수 파괴력보다는 로켓 무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큰 소음과 길게 뿜어져 나오는 불꽃으로 상대에게 심리적 타격을 입히는 점이 더 큰데, 새처럼 보이는 껍데기 붙여 놓았다고 그런 로켓무기의 특성이 사라지는 게 아니거늘 어느 멍청이 오랑캐가 \'어 이상하게 날개에서 불을 뿜고 콰콰콰앙 하는 소리를 내며 날아다니는 평범한 새구나' 하고 그냥 맞아 주겠는가?
무엇보다도 가장 큰 단점은 단가가 비싸다는 것. 실전에서 상당한 위력을 발휘했던 한국의 신기전이나 중국의 다른 화전들, 그리고 서양의 로켓 무기들도 한 발마다 잡아먹는 제작단가(특히 연료로 쓰던 흑색화약의 소비량)문제로 동급의 대포가 개발되면 대부분의 경우 거의 밀려나는 게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신화비아는 새 모양의 탄두에 넣는 화약량도, 발사 추진제로 쓰는 화약량도 엄청난 데 비해 위력과 사거리는 화약을 덜 소모하는 다른 로켓무기로 화공을 가하거나, 대포나 투석기, 혹은 돌팔매로 진천뢰를 던지는 것에 비해 큰 이점이 없었다.
여기에 재질이 재질이다보니 습기에도 매우 취약하였다. 당연히 유지 관리비도 엄청나게 나가게 되니, 자연스레 도태될 수밖에 없었다.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게임에서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아시아 왕조에 중국 유닛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이외에는 무협지나 무협 드라마에 종종 등장하는데, 주로 청나라에 대항하는 반청운동을 다루는 작품에 이름만 조금 바꾸어서 등장한다. 하지만 취급은 청나라 측의 홍이대포(홍이포)를 맞상대하기에는 역부족이라 청군을 잠시 교란시키는 역할 정도.
[1] 왼쪽은 한문 - 중국어로 '쉔호훼이야'라고 읽으며, 오른쪽은 한자를 직역한 영어 번역이다.[2] 여담으로, 이 책 위서다. 화차 문서 참조.[3] 여기서 화전은 일반 불화살이 아니라 주화와 비슷한 로켓무기다.[4] 계동혁 저, '역사를 바꾼 신무기' 참조[5] 심지어 한국의 병서 '무비요람'에도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책의 무기 관련 내용이 중국 병서의 해적판/복붙 수준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