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17:08:39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파일: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1.jpg
파일: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2.jpg

1. 개요2. 내용3. 판본4. 의의

1. 개요

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 조선 정종 1년, 1399년 4월 16일에 권중화(權仲和), 한상경(韓尙敬), 조준(趙浚), 김사형(金士衡) 등이 편찬한 축산 의학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책의 저자인 조준은 공양왕 4년에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공신이 되었고 영의정을 8년 동안 역임했다. 김사형은 고려말에 사헌부 대사헌을 지낸 인물로 고려에 희망이 없다 여기고 개국 일등 공신이 된 인물이며, 좌정승을 역임했다. 권중화는 고려말 문하찬성사를 지낸 인물로 타락하고 성적으로 문란해진 고려에 분노하여 이성계를 추대했고 조선에서 판문하부사를 지냈으며 의약, 지리, 복서에 통달했다. 한상교는 고려말 밀직사우부대언을 지낸 인물로 고려가 답이 없다고 여기고 개국공신이 되어 중추원 도승지, 도관찰사, 영의정을 지냈다.

이들은 1399년에 이 책을 지으며 서문에 "상감의 지극한 어지심을 본받아 나라와 백성을 잘 다스려 오래도록 편안케하려는 나머지 이 마음을 널리 펴서 만물에까지 미치게 하고자 편찬하였다" 라고 편찬의도를 밝히고 있다.

파일: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3.jpg
파일: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4.jpg

내용은 크게 서문과 마의방(馬醫方), 우의방(牛醫方)으로 나뉘어진다.

마의방에서는 점통론(點痛論), 강아론(薑芽論), 혼청충론, 호골파과론, 찰구색론(察口色論) 등을 비롯하여, 말이 걸리는 18가지의 큰 병, 양마의 상을 보는 법, 좋은 말의 선모(旋毛) 그림, 상모선가(相毛旋歌), 말의 수명, 이빨로 나이를 알아보는 그림, 피를 빼내는 법, 말의 민첩함을 알아보는 법, 말의 사양법, 숫말이 서로 싸우지 않게 기르는 법, 정마를 견실하게 기르는 법, 우리나라 사람의 경험에 의한 목양법, 다섯 가지 노병(勞病), 일곱 가지 상병(傷病), 34종의 말의 병에 대한 것을 그린 병상도(病狀圖)와 약, 앓는 말의 맥보기, 육양육음도(六陽六陰圖), 오장과 병의 증치(五臟各部病治), 풍문(風門), 황문(黃門), 창문(脹門), 잡병문, 골안문, 제열문, 온역문, 비상문, 후종문, 타파문, 소제문, 개창문 등으로 되어 있다.

우의방은 소 상보는 법, 우사건축(牛舍建築), 소를 기르는데 꺼리는 일, 우사건축의 길일과 길지, 소의 털과 모색의 상보기, 온역문(溫疫門), 안병문(眼病門), 산병문(産病門), 비병, 구설병, 인후병, 심병, 폐병, 해수, 창병, 분혈, 요혈 및 잡병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설명에 있어 말의 경우 72종의 그림과 설명이, 소의 경우 9종의 그림이 곁들여져 있어 이해가 편리하다.

3. 판본

정종 때 초간본이 나온 후 여러번 각 시대에 맞게 내용을 교정, 증보하여 복간이 되었다. 크게 중종조에 간행된 갑진활자본, 선조 13년에 간행된 전주판, 인조 13년에 간행된 제주판 등이 있다. 이 중 전주판은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반출되어 일어식으로 토를 달아 4책으로 된 조선우마의방(朝鮮牛馬醫方)으로 간행되었다.

중종조의 갑진활자본은 현재 황의돈(개인)이 소장중이고, 1399년 초간본은 고려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버드 대학교 연경학사 청분실에 동일한 초간본이 있으며 일본 국회도서관지부 내각문고에 있는 것은 신편집성우마의방이라 되어 있으며 2권 4책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본은 신편집성마의방서로 우의방은 결본이 되어 있다.

4. 의의

고려말 1325년에 이조년이 저술한 사육서인 응골방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수의축산서이다. 특히 원나라에 조공하던 해동청에 대한 내용 단 한 종류만 기록된 응골방과는 달리 , 등 여러 짐승들의 사육법과 치료법 등을 모두 기록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매우 높으며, 사실상 축산, 가축방면에서는 현존 최고(最古)본 수의서라고 말해도 틀리지 않다.

1300년대 후반에서 1400년대 초반 조선 초 축산업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얼마전 고려시대에 있었을 높은 수의학적 지식 전통 또한 조금이나마 유추해볼 수 있는 자료이다.

그런데, 저자들이 모두 다 고관대작을 지낸 분들인데, 이런 사람들이 수의학 책을 저술한 것 자체가 당시 웬만한 권세가들에겐 적잖은 수의학 지식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다시 말해 짐승들은 그 시절에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고 집에서 알아서 치료했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