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6419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64194>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가양대로 | 건원대로 | 경기대로 | 경마공원대로 | 경명대로 |
경수대로 | 경충대로 | 고덕국제대로 | 고덕순환대로 | 고양대로 | |
공단1대로 | 공단2대로 | 공단3대로 | 과천대로 | 관악대로 | |
광덕대로 | 광주대로 | 권율대로 | 김포대로 | 남부대로 | |
남북대로 | 대공원대로 | 덕영대로 | 동백죽전대로 | 동부대로 | |
동서대로 | 동탄대로 | 동탄순환대로 | 둔촌대로 | 미사강변대로 | |
미사대로 | 백옥대로 | 봉수대로 | 봉오대로 | 비류대로 | |
산성대로 | 서동대로 | 성남대로 | 성호대로 | 송내대로 | |
시민대로 | 시흥대로 | 신기대로 | 신중부대로 | 안성대로 | |
안성맞춤대로 | 양재대로 | 여수대로 | 용구대로 | 위례대로 | |
장자대로 | 정왕대로 | 조정대로 | 죽양대로 | 중부대로 | |
중앙대로 | 중원대로 | 지제동삭대로 | 첨단대로 | 창룡대로 | |
평촌대로 | 포은대로 | 하남대로 | 회안대로 | 흥안대로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신중부대로 新中部大路 | Sinjungbu-daero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중부대로 (西) | }}} | ||||
← 인천 방면 중부대로 | 42번 국도 | 동해 방면 → 남북대로 | ||||
노선 번호 | ||||||
42번 국도 | ||||||
기점 |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영덕교차로 | ||||||
종점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 대촌교차로 | ||||||
연장 | ||||||
12.54km | ||||||
개통 | ||||||
2018. 11. 30. | 영덕교차로 - 대촌교차로 | |||||
2019. 7. 24. | 상갈교차로 | |||||
2020. 12. 29. | 궁촌교차로 | |||||
관리 | ||||||
수원국토관리사무소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
주요 경유지 | ||||||
영덕동 ↔ 상하동 ↔ 삼가동 ↔ 남동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영덕교차로에서 출발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 대촌교차로를 연결하는 총 연장 12.54km의 도로. 전 구간이 42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2. 구간
|
배경색이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
[[42번 국도| 42 ]] 중부대로 직결 (안산, 수원, 영통, 171 흥덕IC 방면) | ||||
중부대로 용인, 신갈오거리, 1 수원신갈IC 방면 | ↙↗ ↘↖ | <colbgcolor=#00ccff> 영덕교차로 | ||
신갈고가교 | ||||
[1] | 상갈교차로 | ↘↖ ↙↗ | 기흥역로·기흥역로58번길 기흥구청, 기흥역 방면 | |
상갈1교 | ||||
구갈생태통로 | ||||
상갈2교 | ||||
상갈3교 | ||||
상갈4교 | ||||
어정교차로 어정교 | ↘↖ ↙↗ | 중부대로·어정로 동백동, 구갈동, 지석역 방면 | ||
어정1교 (중부대로746번길) | ||||
[[315번 지방도| 315 ]] 사은로보라동, 한국민속촌 방면 | ↙↗ ↘↖ | 상하교차로 상하1·2교 | ↘↖ ↙↗ | 사은로 상하 방면 진출입 불가 |
상하3교 (중부대로847번길) | ||||
상하터널 | ||||
서용인IC 방면 진출입 불가[2] | ↘↖ ↙↗ | 궁촌교차로 궁촌교 | ↘↖ ↙↗ | 중부대로·동백죽전대로 동백동, 구갈동, 지석역 방면 |
궁촌1교 (지삼로590번길) | ||||
능안터널 | ||||
하고개교 (용인대학로) | ||||
중부대로1262번길 | ↙↗ ↘↖ | 역동교차로 역동교 | ↘↖ ↙↗ | 중부대로1262번길 용인시청, 역북동 방면 |
명지로 명지대 자연캠퍼스 방면 | ↙↗ ↘↖ | 명지교차로 명지교 | ↘↖ ↙↗ | 명지로 명지대역, 용인소방서 방면 |
동진1교 | ||||
신기터널 | ||||
신기교 | ||||
안터교 (신기로) | ||||
[[45번 국도| 45 ]] 남북대로안성, 남사, 이동 방면 | ↙↗ ↘↖ | 대촌교차로 | ↘↖ ↙↗ | [[42번 국도| 42 ]][[45번 국도|45 ]] 남북대로용인터미널, 양지 방면 |
도로 끝 |
3. 특징
용인시의 대표적인 정체구간 중 하나인 수원신갈IC부터 45번 국도와 만나는 지점까지의 구간을 우회하기 위해 계획된 도로다. 이 구간은 원래도 교통량이 많은 구간이었는데, 용인시청 부근에 역북지구를 비롯한 거주 인프라가 상당수 건설될 예정이라 교통체증이 더 심해질 우려가 있어 우회도로 마련을 위해 건설됐다.2008년 3월 6일 착공했으며, 신갈우회도로[4]와 삼가대촌우회도로[5]의 2개 구간으로 나눠서 진행됐다. 2018년 11월 29일 일부 교차로를 제외한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개통되었고, 12월 26일에 신중부대로라는 이름이 부여됐다. 그리고 2019년 7월 24일 상갈교차로가 개통되고, 2020년 12월 29일에 궁촌교차로가 개통되며 전 구간이 완성됐다.
국도대체우회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로 개통됐으며, 이후 아예 42번 국도 구간으로 편입됐기 때문에 전 구간의 도로관리를 수원국토관리사무소에서 맡고 있다.
4. 효과
이 도로의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덕동에서 신갈오거리, 용인시내를 거쳐 마평동까지 가는 거리가 최대 7~80분에서 10분 내외로 감축되었다. 그로 인해 만성 정체였던 중부대로 처인구 구간과 기흥구 구간의 정체현상도 상당부분 해소되었다.
다만 해당 도로의 기점이 42번 국도의 중앙에서 올라가는 구조로 되어있는지라 수원 방면으로 가는 사람들이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다음에 있는 영통고가에서 유턴을 해야 하는 점이 있다. 그래서 영통고가의 정체가 심화되기도 하였다.
시간이 지나 신중부대로의 시간 단축 효과가 운전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지면서 신중부대로 역시 교통량이 급증했다. 2021년 들어서 아침 출근시간대에는 명지교차로부터 대촌교차로 구간까지, 저녁 퇴근시간대에는 명지교차로에서 궁촌교차로 구간까지가 그야말로 혼잡함의 극치를 달리고 있다.
대촌교차로 이후 구간에 대해서도 신설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마평-양지 구간의 경우 이전 선형의 도로에 산을 둘러싼 지역에 통행량이 상당한 편인지라 교통사고가 굉장히 잦은 지역이기 때문에 그렇다. 그래서 대촌-양지 구간의 국도대체도로 신설을 시도하고 있다. 만약 이 구간이 신설된다면 역시 해당 도로의 도로명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5. 여담
일부 구간의 경우 진출입로의 정체 우려나 사고 우려로 인해 진입과 진출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기점의 경우 바로 근처에 있는 흥덕고가와 바로 붙어 있기 때문에 아예 진출입선을 길게 해놔서 흥덕고가와의 연계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상하교차로는 315번 지방도(사은로) 보라동 방면으로의 진출입만 가능한데, 진출입 램프와 지곡초교삼거리가 곧바로 붙어있다보니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하교차로에서 진출한 차량이 지곡초교삼거리에서 좌회전이나 유턴하는 것을 막아놨다.대촌교차로는 남북대로 남리교차로에서 평택 방면으로 진입한 차량들과 신중부대로 진입 차량 간이 엉키는 문제가 있었고, 그래서 남리교차로로 내려간 이후 평택 방면으로 진입하여 가는 방법과 후에 있는 원천교차로에서 유턴해서 올라오는 방법을 사용해야 했었다. 그러나 이 부분도 남동교차로 부분의 정체가 심각해짐에 따라 결국 백옥대로에서 평택방면으로 바로 진입하는 통로를 막아버리고, 신중부대로 대촌교차로에서 바로 수원방면으로 진입하는 방식으로 변경해버렸다. 이후 백옥대로에서 남북대로 평택방면으로의 진입통로는 대촌교차로 아래로 도로를 내서 직결시키는 방향으로 2020년 10월 28일에 개통하였다.
이 도로로 인해 그동안 차량통행량이 많지 않았던 남북대로의 차량 통행량이 늘어났다. 또한 원래 예상대로라면 이천방면으로의 정체가 심할 것을 예상해서 원천교차로로 내려가서 이천방면으로 가라는 표시를 미리 해놓았지만 정작 출퇴근 시간대의 정체는 평택방면으로의 정체가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해당 표기는 완전히 없어진 상황이다.
[1] 상갈동 방면 직결 계획이 있었으나 2022년 이후로 사실상 없어진 계획이 되었다.[2] 동백죽전대로 방향으로 진출 후 만나는 첫 교차로에서 유턴해서 진입해야 한다.[3] 도로가 연결은 돼있으나 중간에 끊겨 있다. 해당 방면으로의 도로 개설 계획은 지속적으로 미뤄지고 있는데, 원래 짓기로 되어 있었던 중고자동차매매단지가 상가 건물로 변화함에 따라 기부채납이 이루어지지 않은게 문제라는 설도 있다. 이후 해당 도로 주변으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로 계획이 이루어지면서 이 계획과 맞춰 건설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4] 영덕교차로~상하교차로[5] 상하교차로~대촌교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