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a57a5> 압록강의 교량 | ||||
도로교 | | 압록강대교 | 혜장교 | |
지안 만포대교 | 압록강단교 | - | ||
철교 | 압록강철교 | 청수철교 | 만포철교 |
신압록강대교 New Yalu River Bridge 新鸭绿江大桥 조중압록강다리 | |||
하류 방면 ← 서한만 (황해) | 압록강의 교량 | 상류 방면 조중우의교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New Yalu River Bridge | ||
중국어 간체 | 新鸭绿江大桥 | ||
한국어 | 신압록강대교, 조중압록강다리 | ||
구조 형식 | |||
사장교 | |||
시공사 | 관리 | ||
- | - | ||
길이 | 폭 | ||
20.4km(주 구간 3.026m) | 33m 【왕복 4차선】 | ||
제한 속도 | |||
80km/h(터널), 100km/h(교량) | |||
착공일 | |||
2010년 12월 31일 (미준공) |
[clearfix]
1. 개요
북한 신의주시와 중국 단둥 시를 잇는 다리로 압록강철교를 대체하기 위해 건설한 교량이다. 압록강을 경계로 양국의 국경이 갈린다.2. 역사
기존 압록강철교의 도로 기능을 대체하며, 중국과 북한 간 물류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사장교 형식의 교량이다. 원자바오 총리 때 중국과 북한이 경제적으로 협의하여 2014년 10월에 완공하였다. 그러나 북한측의 사정으로 남신의주역까지의 연결 도로와 세관 등의 건설이 안 되어 개통이 무기한 연기된 상태였다.그러나 2020년 4월 27일 KBS 보도에 따르면 북한 측 세관과 연결도로 공사가 재개되었고, 이르면 2020년 7월에 개통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러다가 2021년 1월 4일, 신압록강대교에서 중국 측 차량이 북한에서 중국으로 건너는 장면이 포착됐다. 북한측 연결 도로와 세관 등의 건설이 끝났는지는 미지수.
3월 15일에 도쿄신문은 신압록강대교가 북한과 중국 양측서 모두 개통 준비가 진행중이고 2021년내에 개통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2024년 현재도 감감무소식이다. 오히려 '중조압록강대교'라고 쓴 현판마저 철거한 상태다. #
3. 특징
- 2014년 10월에 완공되었고 2020년 4월 북한 측 연결도로와 세관 공사를 마쳤고 2022년 2월 기준 북한 측 연결도로 포장도 완료된 상황이다.
- 구글맵스에서 기본값으로는 나오지 않지만 위성 지도로는 나타난다.
- 북측에서는 '조중압록강다리'로 지칭한다.
- 만약 개통된다면 압록강철교의 단선도로는 폐지되고 도로가 AH1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압록강철교는 다시 복선철로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이 도로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된다면 우회도로를 만들기 위해 남겨둘지도 모르겠지만, 현 시점에서는 이 다리를 일반도로로 둬도 큰 문제가 없다. 또 북한 철도 특유의 선로용량 부족 문제가 심각하기에 복선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전시상황도 아닌데 멀쩡한 4차선 다리를 놔두고 단선도로를 유지할 이유가 없다.
4. 대한민국 국민 유의 사항
대한민국 국민의 경우 여기를 구경왔을 때 각별히 주의해야 된다. 북한 공작원에 의한 납북 위험도 있으며 월북 문제도 있어서 절대로 북한 쪽으로 넘어가서는 안된다.애초에 이 다리는 건설중인 다리라서 관계자가 아니면 출입이 어렵고 인도가 깔려 있지 않아 도보 통행도 어렵다. 그리고 중국의 국경검문소를 거치지 않으면 접근조차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