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20:10:54

시한부 천재가 살아남는 법/등장인물/구파일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시한부 천재가 살아남는 법/등장인물

파일:시천살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600><table bgcolor=#fff,#fff><colbgcolor=#f0f0f0><table color=#000,#fff> 등장인물 || 입황성 · 구파일방 · 무림세가 · 십삼천 ||
설정 입황성 · 구파일방 · 십삼천 · 무공 · 공월무
정연신/무공 · 웹툰


1. 개요2. 소림사3. 종남파4. 화산파5. 점창파6. 무당파7. 청성파8. 아미파9. 형산파10. 공동파11. 개방

1. 개요

청시소의 무협 웹소설 시한부 천재가 살아남는 법의 등장인물 중 구파일방 소속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

2. 소림사

3. 종남파

파일:시천살 종남.png
여일신
파일:여일신.jpg
<colcolor=#FFF> 웹툰 작화
<colbgcolor=#330000> 이름 <colbgcolor=#FFF>여일신
별호 상검(橡劍)
씨족 명족
소속 종남파
직책 대장로
종남파의 대장로. 별호는 상검(橡劍). 현 종남파 장문인의 모친이자 검종의 아내로 명족이다. 연신이 처음으로 본 명족이자 초고수로, 상단전을 통해 예지와도 같은 공능을 가지게 된 극강의 내가고수이다. 촌구석인 신야현에서 삼류무가인 정가장의 무공만 보느라 견식이 없었던 연신에게 정가동공 이후의 세계를 보여준다.

작중 초반, 종남에 기명제자로 입문하기로 한 정가장의 차남, 정중산을 인도하기 위해 정가장을 방문하며 첫등장. 종남파에 입문하기로 한 정중산보다 정연신에게서 더한 자질을 엿보지만, 연신이 정가장의 숨겨놓은 후계자일거라 착각하여 그를 포기하고 정중산만을 종남으로 데려가기로 결정한다. 패검종주에게 패배하고 정가장은 멸문 당한다. 그로 인해 연신에게는 미안함을 가지고 있다.
정중산
파일:정가둘째.jpg
<colcolor=#FFF> 웹툰 작화
<colbgcolor=#330000> 이름 <colbgcolor=#FFF>정중산
씨족 한족
소속 정가장 → 종남파
정가장 둘째. 종남의 기명제자로 입문했다. 동생과 달리 무공이 그리 특출나지 않은지라 종남파에 입문하고서도 잡일만 맡는다. 멸문 전엔 여타 정가장 인물과 다름없이 정연신을 따돌리는 데 일조하였지만 정연신의 무공수위를 알고나서부턴 형으로서 여러모로 죄책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여령에게 정혜가 납치당했을때 정혜를 구하기 위해 이리저리 구르다가 백서군에게 두들겨맞고 연신의 과거를 털어놓는다.
정혜
파일:정혜.jpg
<colcolor=#FFF> 웹툰 작화
<colbgcolor=#330000> 이름 <colbgcolor=#FFF>정혜
별호 종천동(終天童)
씨족 한족
소속 정가장 → 종남파
정가장 첫째 정남산의 딸. 정연신과 10살 차이로, 멸문 후 정중산에게 맡겨져 종남에서 살고 있다. 백회혈이 몹시 작게나마 타통된 채로 태어났다. 종남검선의 직전제자로, 장문인과 같은 배분이며 검룡 위지묘화를 이을 기재로 여겨진다. 종남파가 여령과 패검종에게 공격당할때 위지묘화와 대피하나 결국 여령에게 납치당한다. 정혜의 무재를 기껍게 본 위극상이 자신의 제자로 들이려하나 연신에게 구해진다. 납치된 동안 여령의 마공을 받아들였는데, 아직 몸이 어려 법력으로 마기를 몰아내면 어떤 증세가 도질지 몰라 정연신이 태을신공의 운기 경로를 다시 짰다. 덕분에 마성이 뇌리를 범하지 못하면서 도가 내공을 쌓는 만큼 마기도 강해지는 체질이 되었다.

이후 위지묘화가 종남파를 재건한 뒤에는 종천동(終天童)이라는 별호를 얻는다. 성질머리가 정연신과 비슷해졌는지, 먼 과거 정연신을 박대했던 글선생이 만든 글공부 방을 무너뜨려버렸다.[9]

4. 화산파

5. 점창파

6. 무당파

7. 청성파

8. 아미파

9. 형산파

10. 공동파

11. 개방



[1] 지옥미제(地獄未濟) 아신적멸(我身寂滅). 문자 그대로 불교의 경지인 적멸을 무공으로 구현해낸 것. 공간을 통째로 구부려 적과 동귀어진하는 수법이다.[2] 끈 떨어진 무가의 진기를 탐하고 벌어진 일이라고 한다.[3] 이는 결국 살생을 위한 무공이기 때문에 소림 내에서도 이에 대한 찬반이 나뉜다고 한다.[4] 관음청강수같은 법력무공은 혈염교도에게 극상성의 힘을 발휘하기 때문.[5] 이 때 정연신의 기운을 느끼고는 캣닢을 본 고양이마냥(...) 헤롱헤롱한다.[6] 이외에도 장삼봉, 초대 천마가 같이 언급된다.[7] 종남파의 인물 중에서 유일하게 연신의 체질을 알아 봤다는 언급을 보면 장문인보다 강할 수도 있다.[8] 일종의 몬스터 게이트 같은 것. 인면지주 같은 영물이나 요괴가 넘어오며, 구파 고수나 입황성 자색의 역할 중 하나가 문에서 나오는 요괴를 퇴치하는 것이다.[9] 여담으로 한창 평범한 재능의 사람들을 원숭이(...)취급하던 정연신을 나쁜 말한다고 까서 그의 마음을 고쳐먹게 했다.[10] 당시 천주진인의 몸 상태는 정상이 아니었다.[11] 입황성의 신진고수로 이미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런 것까지 저술했다는 것을 알면 굉장히 위험해지기 때문.[12] 대리국 멸망이 15년~16년 전이고 그때 패검종주와의 친분을 쌓았다고 나왔으며 그때가 어렸을때라 했으니 어릴때 율하의 나이를 10~20살이라 하면 대충 25~35살 정도의 나이가 나온다.[13] 약관(20살)의 나이에 자하신공을 대성해 20살의 외모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14] 북방에서 측정한 강호서열록에서 11위다. 율하낭랑의 위에는 천극문주, 패검종주, 무룡회주, 검성, 무당 장문인 등 연배가 높은 자들이고 이는 영락전 소림방장, 패협이 들어가도 마찬가지. 율하 위에 연배가 비슷하거나 낮은 인물은 신검단주 용희명과 정연신, 야율진 등 비상한 자질과 체질을 가졌다고 작 중 공인된 인물들 뿐이니 율하의 재능이 드러난다.[15] 환명오절, 태염룡, 헌원창, 남궁화신, 백미려, 천극문 소문주, 태모산성 소성주, 언가권룡.[16] 청명은 명족이라 후기지수가 아니다.[17] 달마 대사, 초대 천마와 함께 언급되곤 한다.[18] 함께 고금제일을 논하는 달마대사와 초대 천마는 검이 주무기가 아니었던 것으로 묘사된다.[19] 강호에서는 도호보다 이 별호가 더 유명한 듯 처음 언급되었을 때부터 고검으로 불렸다. 고검이 죽은 이후에도 오랫동안 도호가 밝혀지지 않다가 남존 에피소드에서 밝혀졌다.[20] 나이 차이는 좀 난다. 마연적이 청년일 때 고검은 소년이었다.[21] 평소의 개방주. 햇살이 퍼지는 속도에 비견되는 보신경을 지녔다고 하여 주광이다.[22] 술을 마신 상태의 개방주. 한 번 취하면 눈에 뵈는 게 없어서 하늘을 이불로, 땅을 침상으로 삼는 개망나니라 하여 대야신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