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Austronesian Languages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만 제어 | ||||
동부대만어파 | 바사이어† · 케타갈란어† · 사키자야어 · 시라야어† · 카발란어 · 아미어 · 나타오란어 · 마카타오어† | ||||
북서대만어파 | 사이시얏어 · 파제흐어† | ||||
서부평원어파 | 파포라어† · 타오카스어 · 호아냐어 · 바부자어† · 타오어 | ||||
아타얄어파 | 아타얄어 · 시디크어 · 트루쿠어 | ||||
초우어파 | 초우어 · 카나카나부어 · 사로아어 | ||||
부눈어 · 르카이어 · 푸유마어 · 파이완어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
세부어군 (세부아노어) · 중부비사야어군 \[와라이어군 (와라이어)] · 주변부중부비사야어군 (힐리가이논어) | |||||
만다야어군 (만다야어 · 만사카어) · 칼라간어 | |||||
필리핀어 | |||||
일로카노어 | |||||
마긴다나오어 | |||||
이바탄어 · 야미어 | |||||
북동미나하사어군 (톰불루어 · 톤다노어 · 톤세아어) · 톤템보안어 | |||||
톤사왕어 | |||||
이반어군 (이반어 · 스브루앙어 · 무알랑어) ·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브루나이 말레이어 · 빠따니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자카르타 구어체 인도네시아어 · 조호르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미낭카바우어 · 반자르어 · 무시어 · 븡쿨루어 · 쿠타이어 · 큰다얀어 | |||||
참어 · 아체어 | |||||
사삭숨바와어군 (사삭어 · 숨바와어) · 발리어 | |||||
순다어 · 마두라어 | |||||
자바어 · 팔라우어 · 차모로어 | |||||
테툼어 · 우압메토어 | |||||
마카사르어 | |||||
부기스어 | |||||
토바바탁어 · 카로바탁어 · 만다일링어 | |||||
가요어 | |||||
두순어군 (카다잔두순어) | |||||
찌아찌아어 | |||||
말라가시어 · 라왕안어 | |||||
나우루어 · 키리바시어 · 마셜어 | |||||
폴리네시아어군 \[통가어군 (통가어) · 동부폴리네시아어군 (중동폴리네시아어군 \[타히티어군 (타히티어 · 마오리어) · 하와이어] · 라파누이어) · 렌넬어] · 피지어 | |||||
바누아투어군 (시에어) · 사모아토켈라우어군 (사모아어) | |||||
아로시어 | |||||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1. 개요
시에어(Sie)는 바누아투의 에로망가섬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다. 에로망가어라고도 한다.2. 분포
섬 인구의 99%가량이 사용한다. 나머지 1%인 우타하어는 거의 사멸한 상태이다.원래 에로망가섬의 인구는 6,000명 정도이나 영국과 프랑스의 침략 이후 섬 인구의 90% 이상이 죽어 15분의 1로 줄어버린 비극의 역사를 갖고 있다. 따라서 방언은 소실된 듯하다. 물론 에로망가인들은 마을 간 방언 차를 느끼지만 그 차이가 거의 없다.
시에어의 어순은 SVO를 띠고 있으며 시에어에서 potvon(짧은)-potvonpotvon(아주 짧은)처럼 형용사의 반복은 강조에 쓰인다. 마치 한국어의 "많고많은" 따위의 문법을 연상시킨다. 또한 수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처럼 수많은 접사가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