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01:53:57

수학자/목록/1921-1930년 출생

1. 개요

수학자중 1921년부터 1930년까지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이다.

2. 목록

이름 출생 년도 주요 업적 주요 수상 내역[1]
장루이 코쥘 1921 코쥘 접속, 코쥘 복합체, 코쥘 쌍대성
로트피 애스커 자데 1921 퍼지 이론, 퍼지 논리, 퍼지 집합론, Z 변환
마틴 휴고 뢰프[2] 1921 뢰프의 정리
레온 알버트 헨킨 1921 헨킨 의미론, 1차 논리의 완전성 정리, 헨킨의 정리, 분기 양화사(Branching quantifier)
이아코프 바르소티 1921 바르소티-테이트(Barsotti–Tate) 군
루딘 1921 해석학에 대한 세 저서 [3]로 알려진 수학자
왕하오[4] 1921 왕(wang) 타일[5]
루스 바컨 마커스 1921 바컨 공식(Barcan formula), Necessity of identity[6], tag theory of names
에드윈 헨리 스파니에 1921 스파니에-화이트헤드 쌍대성, 알렉산더-스파니에 코호몰로지, 더빈스-스파니에 정리
케네스 애로우 1921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드브뢰 모형, 후생 경제학의 기본정리 1972년 노벨 경제학상
로제 고드망 1921 고드망 분해(resolution), 고드망 콤팩트성 판정, 보흐너-고드망 정리
데이비드 게일 1921 게일-섀플리 알고리즘, 게일 다이어그램, 게일 균일성 조건, 섀넌 스위칭 게임의 변형(Gale 또는 Bridg-It)
제임스 톰슨[7] 1921 톰슨 램프, 슈퍼태스크(Supertask)[8]
에르빈 오토 크라이슈치히 1922 유명 공업수학 책의 저자[9]
가에타노 피체라[10] 1922 피체라 존재 원리, 시뇨리니 문제(Signorini problem)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라디젠스카야[11] 1922 2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전역적인 매끄러운 강해의 존재를 증명
양전닝 1922 양-밀스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리-양 정리, 양-백스터 방정식, 바이어스-양 정리, 홀짝성 비보존 1957년 노벨 물리학상
앙드레 네롱 1922 네롱-세베리 군, 네롱 미분, 네롱 모형, 네롱-오그-샤파레비치 판정법, 네롱-테이트 높이
림학 리(이임학) 1922 유한단순군, 리(Ree) 군 이론
다니엘 고렌슈타인 1923 고렌슈타인 환, 고렌스타인 프로그램, 고렌슈타인-하라다 정리, 고렌슈타인-월터 정리,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signalizer functor
막스 에이지코비치 아키비스[12] 1923 아키비스 대수
월터 콘 1923 코링가-콘-로스토커 방법, 호헨버그-콘 정리, 콘 이상(anomaly) 1998년 노벨상
에우제니오 칼라비 1923 칼라비-야우 다양체, 초켈러 다양체
아르망 보렐 1923 보렐 고정점 정리, 보렐 부분군, 보렐 정리
버나드 모리스 드워크 1923 베유 추측 중에서 유리성 부분을 P-진수 해석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증명 196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로이드 스토어 섀플리 1923 확률적 게임(stochastic game) 도입, 반다레바-섀플리 정리, 게일-섀플리 알고리즘, 안정적인 결혼 문제, 잠재력 게임(Potential game) 도입, 섀플리 값, 섀플리-슈빅 투표력 지수, 섀플리-아우만 값, 권력 분포 2012년 노벨 경제학상
이고리 로스티슬라프 샤파레비치 1923 샤파레비치-베유 정리,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가해 갈루아 군에 관한 샤파레비치 정리, 번사이드 문제,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조지 대니얼 모스토 1923 모스토 강성 정리, 모스토-팔레 정리, 호흐실트-모스토 군 2013년 울프상 수학 부문
조지프 비숍 켈러[13] 1923 기하학적 회절 이론(geometrical theory of diffraction) 창시, 아인슈타인-브릴루앙-켈러 방법, 켈러-루비노프 공식, 켈러-마슬로프 지표 1996년~1997년 울프상 수학 부문
존 마이힐 1923 라이스-마이힐-샤피로 정리, 마이힐 속성, 마이힐-네로드 정리, 선형 경계 오토마타, 에덴 동산의 정리
야마베 히데히코 1923 야마베 문제, 힐베르트의 다섯번째 문제 해결
르네 프레데리크 톰 1923 보충 경계, 톰 횡단 정리, 톰 공간, 톰 특성류, 톰 동형, 톰 추측, 톰 스펙트럼, 돌트-톰 정리, 파국 이론(Catastrophe theory) 1958년 필즈상
라울 보트 1923 보트 주기성 정리, 아티야-보트 고정점 정리, 모스-보트 함수,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트-사멜슨 특이점 해소, 보트-천 클래스, Bott cannibalistic class, 보트 유수 공식 1964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0년 울프상 수학 부문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14] 1923 하리시찬드라 c 함수, 하리시찬드라 규칙성 정리, 하리시찬드라 변환, 하리시찬드라 가군, 하리시찬드라-슈바르츠 공간, 하리시찬드라 동형사상, 하리시찬드라 준동형사상 1954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막스 코쉐[15] 1924 칸토르-코쉐-티츠 구성, 코쉐-마스 급수, 코쉐-빈베르크 정리, 코쉐 원리
도미타 미노루 1924 도미타-타케사키 이론, 도미타 정리
아코스 차사르[16] 1924 차사르 다면체, Syntopogeneous space 도입
데이비드 세이어 1924 세이어 방정식(Sayre equation)
맥스웰 알렉산더 로젠릭트 1924 일반화된 야코비안 196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이자도어 마누엘 싱어 1924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캐디슨-싱어 문제 1969년 보셰 기념상, 2004년 아벨상
예브기니 딘킨 1924 딘킨 다이어그램, 도브-딘킨 정리, 딘킨 계
델버트 레이 폴커슨[17] 1924 포드-폴커슨 알고리즘, 최대 흐름 최소 절단(Max-flow min-cut) 정리
피에르 돌보 1924 돌보 정리, 돌보 코호몰로지
먼로 데이비드 돈스커 1924 돈스커 정리, 위너 소시지
브누아 망델브로 1924 프랙탈 이론, 망델브로 집합, 지프-망델브로 법칙, 프랙탈 차원 1993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줄리어스 리차드 부치 1924 부치 산술, 부치 문제
자크 디미에 1924 디미에 사상, 디미에 대각합
데이비드 콕스 1924 로지스틱 회귀, 콕스 프로세스, 비례위험모형, 박스-콕스 변환 2017년 국제 통계학상
하인즈 바흐만 1924 바흐만-하워드 서수, 서수 붕괴 함수[18]
후지타 후미아키 1924 후지타-하토리 공리
에릭 크리스토퍼 지먼[19] 1925 스톨링스-지먼 정리, 지먼 비교 정리, 헤플리거-지먼 매듭풀기(Haefliger-Zeeman unknotting) 정리
루이스 니런버그 1925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바일 문제와 민코프스키 문제 해결, 뉴랜더-니런버그 정리, 갈리아르도-니런버그 보간 부등식, Bounded mean oscillation, 갈리아르도-니런버그-소볼레프 부등식, 유사 미분 연산자, 카파렐리-콘-니런버그 부등식 1959년 보셰 기념상, 2010년 천 메달, 2015년 아벨상
나가타 준이치 1925 나가타-스미르노프 거리화 정리
존 테이트 1925 강체 해석 기하학, 테이트 곡선, 호지-테이트 가군, 테이트 가군,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바르소띠-테이트 군, 테이트 코호몰로지 군, 테이트 추측, 세르-테이트 정리, 사토-테이트 추측 1956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02년 울프상 수학부문, 2010년 아벨상
앨런 로스 앤더슨 1925 모순허용 논리의 일종인 '연관논리' 구축
마이클 앤토니 어들리 더밋 1925 Quota Borda system, 괴델-더밋 논리, 논리적 조화(Logical harmony)[20]
리처드 캐디슨[21] 1925 캐디슨-케스틀레 계량, 캐디슨-슈바르츠 부등식, 캐디슨 추이성 정리, 캐디슨-싱어 문제
해럴드 윌리엄 쿤 1925 카뤼시-쿤-터커 조건, 쿤 포커, 쿤의 정리
프레데릭 윌리엄 게링[22] 1925 게링 보조정리, 2차원 이상에서 준등각사상(quasiconformal mapping) 이론 개발
폴 말리아빈 1925 말리아빈 미적분, 말리아빈 절대 연속성 보조정리, 회르만데르 정리를 확률론적 방법으로 증명
마틴 데이비드 크러스컬[23] 1925 크러스컬-제커스 좌표, 크러스컬-샤프라노프 불안정, 역산란 변환
클라우스 프리더릭 로스 1925 투에-지겔-로스 정리, 등차 수열에 대한 에르되시-투란 추측 증명 1958년 필즈상
존 포플 1925 파리저-파-포플 방법, 포플 다이어그램, 포플 표기법, STO-nG 기저 함수 집합, 포플-네스벳-베르티에 방정식, NDDO(neglect of diatomic differential overlap) 1992년 울프상 화학 부문, 1998년 노벨 화학상
에드워드 포레스트 무어 1925 유한 상태 기계, 무어 그래프, 에덴 동산의 정리
다케우치 가이시 1926 다케우치 추측[24], 서수 도표(ordinal diagram), 다케우치-페퍼만-부흐홀츠(Takeuti-Feferman-Buchholz) 서수
로버트 랄프 펠프스 1926 비숍-펠프스 정리
이보 바부슈카[25] 1926 바부슈카-럭스-밀그램(Babuška–Lax–Milgram) 정리, Ladyzhenskaya-Babuška-Brezzi (LBB) 조건
로버트 로슨 보트 1926 보트 정리, 페퍼먼-보트 정리, 워시-보트 테스트, 타르스키-보트 테스트, 기본 부분 모형, 보트 추측 1978년 카프상
럭스 페테르 1926 럭스 쌍, 럭스-밀그램 정리, 럭스 등가 정리, 럭스-웬드로프 방법, 럭스-프리드리히 방법 198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5년 아벨상
하틀리 로저스 주니어 1926 로저스 동등성 정리[26]
프랭크 루드빅 스피처[27] 1926 ASEP(Asymmetric simple exclusion process)[28]
힐러리 퍼트넘 1926 힐베르트의 열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데이비스-퍼트남 알고리즘, 통 속의 뇌
모리스 오슬랜더 1926 오슬랜더 대수, 오슬랜더-북스바움 공식, 오슬랜더-북스바움 정리, 오슬랜더-라이텐 이론
장피에르 세르[29] 1926 세르 쌍대성, 가가(GAGA) 정리, 세르 스펙트럼 열, 세르-스완 정리, 세르 소멸 정리, 세르 군, 세르-테이트 정리, 세르 올뭉치, 배스-세르 이론, 세르 높이 부등식, 세르 뒤틀림 층, l-진 표현 1954년 필즈상, 2000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3년 아벨상
스즈키 미치오 1926 스즈키 군, 스즈키 산재군, 베어-스즈키 정리, 벤더-스즈키 정리, 브라우어-스즈키 정리 브라우어-스즈키-월 정리
윌리엄 앨빈 하워드 1926 커리-하워드 대응, 바흐만-하워드 서수
앤드루 휴 월리스 1926 리코리쉬-월리스 정리
나가타 마사요시 1927 나가타 환, 나가타 추측, 힐베르트 14번 문제의 부정적 해결
앨런 뉴웰 1927 인공지능, 정보 처리 언어(Information Processing Language), 일반 문제 해결기 (General Problem Solver) 1975년 튜링상
스탠리 테넨바움 1927 반복 강제법, 수슬린 가설의 독립성, 테네바움 정리
마르셀 베르제르 1927 수축량, 베르제르-카즈단 비교 정리
로버트 로렌스 밀스 1927 양-밀스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미셸 앙드레 케르베르 1927 매끄러움 구조가 없는 위상다양체 존재 증명, 케르베르 다양체, 케르베르 불변량, 이국적 초구
발터 티링 1927 리브-티링 부등식, 티링 모형, 티링-베스 모형
조지프 로버트 숀필즈 1927 숀필드 절대성 정리
서지 랭 1927 슈나이더-랭 정리, 모델-랭 추측, 랭-스타인버그, 카츠-랭 유한성 정리 196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머레이 거스텐하버 1927 거스텐하버 대수
헨리 피터 프란시스 스위너턴다이어 1927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타원 K3 곡면과 유한체 위의 타원 곡선 다발(pencil)에서 테이트-샤파레비치 추측 해결
마빈 리 민스키 1927 인공지능,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프레임(인공지능) 1969년 튜링상
존 매카시 1927 비단조 논리(Non-monotonic logic), 상황 계산(Situation calculus)[30], 제한화(Circumscription)[31], 리스프 1971년 튜링상
레스터 랜돌프 포드 주니어 1927 포드-폴커슨 알고리즘, 포드-존슨 알고리즘, 최대 흐름 최소 절단(Max-flow min-cut) 정리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페터 히르체부르흐 1927 위상 K 이론, 히르체부르흐-리만-로흐 정리, 아티야-히르체부르흐 스펙트럼 열, 히르체부르흐 곡면 1988년 울프상 수학 부문
타니야마 유타카 1927 모듈러성 정리
헨리 오토 폴락 1927 그레이엄-폴락 정리
제럴드 베레스포드 휘트햄[32] 1927 휘트햄 방정식, 평균 라그랑지안 방법(averaged Lagrangian method)
존 해리스 월터 1927 월터의 정리, 고렌스타인-월터 정리
첸청창[33] 1927 창의 추측, MV-대수, 창의 모형
마르틴 크네저 1928 크네저 그레프, 크네저 정리, 크네저-티츠 추측
조셉 크러스컬 1928 크러스컬 알고리즘, 크러스컬 나무 정리, 크러스컬-카토나 정리
엔니오 데 조르지 1928 힐베르트의 19번째 문제 해결, 번스타인 문제가 8차원 까지만 참이 됨을 증명, 데 조르지 정리, 카치오폴리 집합 1990년 울프상 수학 부문
웬델 헬름스 프레밍 1928 기하 측도론, integral currents
마틴 데이비스 1928 힐베르트의 열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데이비스-퍼트넘 알고리즘, DPLL 알고리즘
렌나르트 악셀 에드바르드 칼레손 1928 루진 추측 해결(칼레손의 정리), 코로나 문제 해결(코로나 정리)[34], 칼레손 측도, 칼레손-제이콥스 정리, 에농 사상(Hénon map)에 이상한 끌개가 존재함을 증명 1992년 울프상 수학 부문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1928 안아벨(Anabelian) 기하학, 스킴 이론, TG 집합론, 유도 함자, 모티브, 에탈 코호몰로지, 데생당팡,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 토포스, 결정 코호몰로지, 그로텐디크 군, 그로텐디크 위상, 그로텐디크 전체, 베유 추측의 부분적 해결[35], 그로텐디크 스펙트럼 열, nuclear space 1966년 필즈상
사토 미키오 1928 대수적 해석학 창시, 초함수, 번스타인-사토 다항식, Prehomogeneous vector space 2002년 울프상 수학 부문
자크루이 리옹[36] 1928 리옹-럭스-밀그램 정리
존 내시[37] 1928 힐베르트의 19번째 문제 해결, 내시 매장 정리, 내시-모저 정리, 내시 함수, 내시 다양체,내시균형 1994년 노벨 경제학상, 2015년 아벨상
볼프강 하켄 1928 4색정리[38], 하켄 다양체, 크네저-하켄 유한성, 하켄 추측 197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프랭크 로젠블랫 1928 퍼셉트론
위르겐 쿠르트 모저 1928 KAM 정리, 내시-모저 정리, 칼로제모-모저 계(Calogero–Moser system), 하르낙 부등식을 타원 또는 포물선 편미분방정식의 해로 일반화함, 트루딩거-모저 부등식, 모저-노이만의 질문, 볼테라 격자 1994~1995년 울프상 수학 부문
유리스 하르트마니스 1928 계산 복잡도 이론,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정의, 시간 계층 정리, 버만-하르마니스 추측 1993년 튜링상
베르나르 말그랑주 1928 에렌프라이스-말그랑주 정리, Malgrange preparation theorem
에렛 앨버트 비숍 1928 비숍-펠프스 정리, 비숍 조건, 구성주의 측도론
알브레히트 돌트 1928 돌트-톰 정리, 돌트 다양체, 돌트-칸 대응
만프레도 페르디강 두 카르무[39] 1928 미분 기하학에 대한 여러 연구[40]
도널드 히그먼 1928 히그먼-심스 군, 히그먼-심스 그래프
이안 그랜트 맥도날드 1928 맥도날드 항등식, 맥도날드 다항식
솔로몬 페퍼만 1928 페퍼먼 세타 함수, 솔로몬-슈테(Feferman–Schütte) 서수, 명시적 수학[41], 다케우치-페퍼만-부흐홀츠(Takeuti–Feferman–Buchholz ordinal) 서수
카렐 램버트 1928 자유 논리[42], 램버트 법칙
장 서프 1928 서프(Cerf)의 정리, 유사 아이소토피(Pseudoisotopy) 정리
자코 카를로 주하니 힌티카 1929 힌티카 집합, 게임 의미론, 인식 논리(epistemic logic), 독립-친화적 논리(Independence-friendly logic)
일리야 이오시포비치 퍄테츠키샤피로 1929 Converse theorem을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 함수를 삼각 급수로 확장하는 유일성에 대한 살렘의 문제 해결, 4차원에서 비대칭 동차 정의역(homogeneous domain) 예를 통해 엘리 카르탕의 질문에 답하고 모든 유계 동차 정의역(bounded homogeneous domains)의 완전한 분류, K3 곡면에 대한 토렐리 문제 해결 1990년 울프상 수학 부문
마이클 아티야 1929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ADHM 작도, 위상 K 이론, 아티야-히르체부르흐 스펙트럼 열, 아티야-시걸 공리, 아티야-시걸 완비성 정리 1966년 필즈상, 2004년 아벨상
한스 이바르 리젤 1929 리젤 수, 뤼카-레머-리젤 소수판별법
니우통 카르네이루 아폰수 다 코스타 1929 모순허용논리의 형식체계 구축, 슈뢰딩거 논리[43]
아스콜트 이바노비치 비노그라도프[44] 1929 봄비에리-비노그라도프 정리
데이비드 앨빈 북스바움 1929 아벨 범주, 북스바움 환, 오슬랜더-북스바움 공식, 오슬랜더-북스바움 정리, 북스바움-아이젠버드 판정법
아서 펜틀런드 뎀스터 1929 뎀스터-쉐퍼(Dempster–Shafer) 이론,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한스 그라우어트 1930 그라우어트-리멘슈나이더(Grauert–Riemenschneider) 소멸 정리, 안드레오티-그라우어트(Andreotti–Grauert) 정리, 그라우어트 정리
잭 로런스 트레이너 1930 트레이너-블랙 모형
시무라 고로 1930 모듈러성 정리, 시무라 대수 다양체 197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미우라 코료 1930 미우라 접기[45]
빅토르 안드레비치 토포노고프 1930 토포노고프 정리
글렌 얼 백스터 1930 로타-백스터 대수, 백스터 순열
요네다 노부오 1930 요네다 보조정리, 퀼런 완전 범주, 요네다 합성
누엘 벨납 1930 모순허용 논리의 일종인 '연관논리' 구축, 4치 논리 개발
조엘 루이스 레보비츠[46] 1930 레보비츠 부등식, 쿨롱 법칙이 열역학적 극한(Thermodynamic limit)을 따른다는 것을 증명
에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 1930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 식사하는 철학자들 문제, 차량기지 알고리즘, 세마포어 외 다수 1972년 튜링상
루돌프 칼만 1930 칼만 필터, 관측 가능성(observability), 제어 가능성(controllability), 칼만 분해(Kalman decomposition)
엘리저 레온 에렌프라이스 1930 에렌프라이스-말그랑주 정리
루슬란 레온티예비치 스트라토노비치 1930 스트라토노비치 적분, 허바드-스트라토노비치 변환
로버트 존 아우만 1930 상관균형을 정의, 아우만-섀플리 값, 최초로 공통지식이론에 공통지식(Common knowledge ) 사용, 아우만의 합의(agreement) 정리 2005년 노벨 경제학상
빅토르 파블로비치 마슬로프 1930 라그랑지안 부분 다양체, 마슬로프 지표
스티븐 스메일 1930 5차원 이상의 모든 차원에 대해서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 h-보충 경계 정리, 스메일의 문제, 말굽 사상(Horseshoe map), 구(도형)의 안팎을 자르지 않고 뒤집을 수 있음을 증명 1966년 필즈상,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7년 울프상 수학 부문
슈리람 샹카르 아비안카 1930 아비안카 추측, 아비안카-모 정리, 아비안카 부등식, 아비안카 보조정리,3차원에서 표수가 최소7인 경우와 모든 표수의 곡면에서 특이점 해소
도널드 뉴먼 1930 미르스키-뉴먼 정리
알렉산더 그로스만 1930 웨이블릿
자크 티츠 1930 티츠 군, 티츠 빌딩, 티츠 대안, 크네저-티츠 추측, 칸토르-코이쳐-티츠 구성 2008년 아벨상
아나톨리 볼로디미로비치 스코로호드 1930 스코로호드 적분, 스코로호드 매장 정리, 스코로호드 표현 정리, 스코로호드 공간, 스코로호드 위상, 스코로호드 문제
리처드 몬터규 1930 스콧-몬터규 의미론, 몬터규 문법 ,ZFC 집합론이 유한한 공리화가 불가능함을 증명
마이클 다윈 몰리 1930 몰리 범주성 정리, Morley rank, 몰리의 문제, Stability theory[47]
월터 파이트 1930 파이트-톰프슨 정리 196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존 프랭크 애덤스 1930 애덤스 스펙트럼 열, 애덤스 연산, 호프 불변량이 1인 경우의 목록
노먼 우드슨 존슨 1930 존슨 다면체[48]
티모시 스마일리 1930 다중 결론 논리(multiple-conclusion logic)
헨리 프랫 맥킨 주니어[49] 1930 맥킨-블라소프 과정(McKean–Vlasov proces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1
, 6.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카프(Karp)상[2] Martin Hugo Löb[3]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Real and Complex Analysis》, 《Functional Analysis》[4] Wáng Hào[5] https://en.wikipedia.org/wiki/Wang_tile[6] https://en.wikipedia.org/wiki/Necessity_of_identity[7] James F. Thomson[8] https://en.wikipedia.org/wiki/Supertask[9] 공업수학 항목에 언급되는 바이블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10] Gaetano Fichera[11] Olga Aleksandrovna Ladyzhenskaya[12] Maks Aizikovich Akivis[13] 그는 1999년, 2012년 이그 노벨상을 받음으로써 현재까지 유일하게 두 번 이그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되었다.[14] 로버트 랭글랜즈가 하리시찬드라의 전기에 쓴 글에서 하리시찬드라는 1958년 필즈상 수상자로 고려 되었으나 위원회는 르네 톰을 부르바키의 일원으로 여겼고 부르바키였던 하리시찬드라까지 부르바키만 필즈상을 주는건 적절하지 못하다 판단하여 받지 못했다 당시에는 필즈상을 2명까지만 받을 수 있었고 1966년에 4명으로 늘리자는 안건이 채택되어 현재는 최대 4명까지 받을 수 있다.[15] Max Koecher[16] Ákos Császár[17] 그의 이름을 딴 3년 마다 이산수학 분야의 뛰어난 논문에 주는 상이 있다.[50][18] https://en.wikipedia.org/wiki/Ordinal_collapsing_function[19] Erik Christopher Zeeman[20] https://en.wikipedia.org/wiki/Logical_harmony[21] Richard Kadison[22] Frederick William Gehring[23] 조셉 크러스컬의 형이다.[24] https://en.wikipedia.org/wiki/Takeuti%27s_conjecture[25] Ivo M. Babuška[26] https://en.wikipedia.org/wiki/Admissible_numbering[27] Frank Ludvig Spitzer[28] https://en.wikipedia.org/wiki/Asymmetric_simple_exclusion_process[29] 27세에 역대 최연소로 필즈상을 받았고 초대 아벨상의 수상자이다.[30] https://en.wikipedia.org/wiki/Situation_calculus[31] https://en.wikipedia.org/wiki/Circumscription_(logic)[32] Gerald Beresford Whitham[33] 张 晨钟, Chen Chung Chang[34]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 없음[35] 베유 추측에서 유리성, 함수 방정식, 베티 수 부분 증명[36] 1994년 필즈상 수상자 피에르루이 리옹의 아버지이다[37] 필즈상 수상도 유력했으나 조현병 치료 때문에 학계를 떠나있는 동안 40세를 넘겨서 필즈상이 무산되었다. 그래도, 업적을 인정받아 아벨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수상하고 집으로 돌아오던 중에 교통사고로 부인과 함께 사망하였다.[38] 케네스 아펠과 함께 컴퓨터를 사용하여 증명[39] Do Carmo - Differential Geometry of Curves and Surfaces라는 미분 기하학 전공서가 유명하다.[40] Riemannian manifolds, topology of manifolds, rigidity and convexity of isometric immersions, minimal surfaces, stability of hypersurfaces, isoperimetric problems, minimal submanifolds of a sphere, and manifolds of constant mean curvature and vanishing scalar curvature[41] https://en.wikipedia.org/wiki/Explicit_mathematics[42] https://en.wikipedia.org/wiki/Free_logic[43] https://en.wikipedia.org/wiki/Schr%C3%B6dinger_logic[44] 비교적 더 유명한 동명의 수학자 이반 마트베예비치 비노그라도프와 착각하기 쉬우니 주의[45] https://en.wikipedia.org/wiki/Miura_fold[46] Joel Louis Lebowitz[47] https://en.wikipedia.org/wiki/Stable_theory[48] https://en.wikipedia.org/wiki/Johnson_solid[49] Henry Pratt McKean junior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