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염고래 鬚鯨 | Baleen whale | |
| | |
| 학명 | Mysticeti (Cope, 1891) |
| <colbgcolor=#fc6> 분류 | |
|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 강 | 포유류 Mammalia |
| 목 | 우제목 Artiodactyla |
| 아목 | 경하마형아목 Whippomorpha |
| 계통군 | 고래형류 Cetaceamorpha |
| 하목 | 고래하목 Cetacea |
| 계통군 | 신고래류 Neoceti |
| 소목 | 수염고래소목 Mysticeti |
| 하위 분류 | |
| |
1. 개요
수염고래는 로라시아상목 우제목 경하마형아목 고래하목에 속하는 종들 중 수염고래소목(Mysticeti)에 속하는 포유류들을 가리킨다.2. 특징
이빨고래와 더불어 현존하는 두 가지 유형의 고래 중 하나로 가장 큰 특징은 이빨이 완전히 퇴화하고[1] 수염이 발달한 것이다. 입을 크게 벌리고 대량의 먹이를 물과 함께 빨아들인 후 잇몸이 변화된 수염(baleen)으로 먹이를 걸러서 먹는다. 이 수염은 손톱의 주 성분인 케라틴과 인간 치아 법랑질의 주 성분인 수산화인회석으로 되어 있어 매우 단단하고 굵으며, 찔리면 매우 아프다.거대한 크기 때문에 모든 종이 바다에서만 서식하며 민물에서는 수염고래의 왕래가 거의 없다. 이빨고래 중 강돌고래 같은 민물고래가 있다는 것과 차별화된다.
모든 종이 여과섭식자로서 작은 물고기나 플랑크톤만을 먹고 살아간다. 입을 매우 크게 벌릴 수 있도록 턱이 상당히 얇고 주름져 있는 데다 평균 덩치도 훨씬 커서 육지로 올라오면 이빨고래에 비해 오래 버티지 못한다.
콧구멍 즉 분기공이 1쌍을 유지하고 있어서 콧구멍 하나가 비대해진 이빨고래와 차별되는 또 다른 특징이다.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동물들이 모여있는 분류군으로 평균적으로 이빨고래보다 덩치가 훨씬 거대하다.[2] 대왕고래는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동물이며 어지간한 다른 수염고래도 평균 10m는 넘어간다. 또한 성격이 매우 온순하여 직접 사람을 공격한 사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몸이 굉장히 크고 무거운만큼 힘도 매우 세기 때문에 수염고래가 지느러미나 꼬리를 한번 휘저어도 사람이 맞으면 치명상을 입으며 브리칭을 하는 수염고래에게 깔리면 즉사한다.
모든 종들이 대대적으로 고래잡이의 위협을 받고 있어서 현재는 국제법상으로 거의 모든 종들이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어있어 밍크고래 등의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포획&판매가 전부 불법이라 혼획되어서 죽었거나 죽어서 해안가로 떠밀려온 수염고래의 사체가 발견되면 정부에서 수거하여 다른 곳에서 매립하거나 골격만 채취해 연구소로 기증하는 절차를 밟는다.
수염고래는 현재 어떠한 수족관에서도 키우지 않는다. 수염고래류 전체가 보호종인 것은 물론이고 압도적으로 거대한 크기와 높은 지능, 그에 맞는 넓은 활동 영역[3]을 가진 생물이기 때문에 인간의 기술로는 수염고래류에게 걸맞는 사육환경을 구축하는 게 불가능에 가깝다. 설령 구축한다고 해도 먹이값이 어마어마할 것이고 드넓은 바다에서 저주파를 이용해 서로 의사소통을 하고 노래를 부르며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는 게 일상일 정도로 높은 지능을 가진 생물인 만큼 정형행동의 문제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3. 생물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래하목 생물 목록#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래하목 생물 목록#수염고래소목(Mysticeti)|수염고래소목(Mysticet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이빨과 수염 둘다 피부 유래 기관이지만 이빨이 진화해서 수염으로 변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초창기 수염고래 화석은 이빨과 수염 둘 다 있다.[2] 소형 수염고래인 밍크고래조차 몸길이가 7m를 넘어간다.[3] 지구의 대양 전체에 걸쳐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