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受難二代대한민국의 전후 소설가 하근찬(1931~2007)의 소설. 1957년 한국일보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작가의 등단작이자 대표작.
1950년대 한국의 작은 마을[1]을 배경으로 아버지와 아들 2대에 걸쳐 가족이 겪은 수난을 소재로 하여 근대 한국사의 질곡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을 쓰게 된 계기가 두 가지 있는데, 한 가지는 작가가 기차에서 물건을 강매하는 팔이 없거나 다리가 하나 없는 상이 군인을 자주 본 경험과 제 3자에게서 들은 유럽 여행담에서 다리가 잘린 남자가 자기 아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죽고 자신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다리를 다쳐서 이렇게 됐다는 이야기를 합쳐 쓰게 되었다고 한다.[2]
2. 등장인물
2.1. 박만도
주인공 일제 시절 남양 군도로 징용에 끌려나가 비행장에서 일어난 폭격으로 왼팔을 잃고 외팔이 된 인물로, 전후 시점인 작중 시간대에서는 3대 독자 진수를 마중 나가지만 아들이 외다리가 된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하지만 아들이 자신감을 잃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자 아들을 다독여 주며 격려하고 외나무다리에서 아들을 업고 집으로 간다.
2.2. 박진수
주인공 박만도의 외아들인 3대 독자로, 전쟁에서 수류탄 조각에 왼쪽 다리를 잃고 외다리가 되었다. 다리를 잃은 후유증과 슬픔으로 아버지에게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하냐며 하소연하지만 아버지의 격려로 용기를 찾고 외나무다리에서는 다리를 건널 수 없어서 아버지의 등에 업힌다.3. 줄거리
1953년, 과거 일제 징용에 끌려갔다가 팔을 잃고 귀향해서 살고 있는 박만도는 삼대 독자인 아들 진수가 6.25 전쟁에서 돌아온다는 통지를 받고 반가움에 들떠 정거장으로 마중을 나간다. 만도는 일제강점기 때 강제 징용을 나가 비행장 건설을 하다가 폭격에 휘말려 팔을 잃었다.[3] 역으로 나가면서 만도는 진수에게 구워줄 고등어 한 손을 산다. 그리고는 내심 아들이 자신과 같은 장애인이 되지 않기를 바라며 기다리지만 얼른 나타나지 않자 점점 걱정하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아부지!"하고 아들 진수가 자신을 부르는 목소리에 뒤를 돌아봤으나...진수가 수류탄에 한 쪽 다리를 잃고 목발을 짚은 것을 보고는 충격을 받는다. 만도는 분노 반 안타까움 반으로 "에라이, 이놈아!"라고 벌컥 소리치고는 쌩 가버리지만 그래도 외다리인 아들이 절뚝거리며 뒤처지니 걱정되고 처음 받은 충격도 가라앉자 중간에 들른 주막에서 기다리고는 국수를 같이 먹고 더 먹으라며 권하는 등 화해한다. 돌아오는 길에 아들 진수는 이런 꼴로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면 좋을지 아버지에게 하소연하고 만도는 팔 하나 없어도 나처럼 잘 살 수 있다며 격려한다.
그런데 집에 돌아오는 길에 외나무다리가 나타나자 한쪽 다리가 없는 진수는 도저히 다리를 건널 수 없었다. 이에 만도가 한 쪽밖에 없는 팔로 아들을 업고 입으로 고등어 묶음을 물려고 하자 도움만 받는 게 미안했는지 진수가 그 짐을 대신 들어주기로 한다. 만도는 술기운 때문에 비틀거리긴 했지만 외나무다리를 천천히 건너고 속으로 서로를 걱정하는 만도와 진수를 거대한 산이 내려다보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막을 내린다.
4. 해석 및 탐구
요약하자면 여기서 만도와 진수 부자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이라는 고통을 연속으로 겪은 한민족을 상징하며 이들이 건너는 외나무다리는 한민족들이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시련인 동시에 서로 도와서 나아가게 해줄 실낱같은 희망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5. 미디어
1989년 6월 24일 MBC를 통해 6.25 특집극으로 방영된 바 있다. 아버지 박만도 역은 김인문이, 아들 진수 역은 정성모가 연기했다. 태평양 전쟁과 6.25 전쟁 사이에 이들 부자가 겪은 생활고 부분은 작가의 다른 단편 '흰 종이 수염' 의 내용을 가져다가 추가했다. 당시 신문 기사6. 여담
- 골든벨 38번 문제로 등장했다. 아버지와 아들이 각각 겪은 전쟁을 서술하라는 문제로, 답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 하근찬의 다른 작품으로 흰종이 수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