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05:08:20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

전례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4536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사 ▼ 미사의 구조
시작 예식 · 말씀 전례 · 성찬 전례 · 마침 예식
미사곡
자비송(Kýrie) · 대영광송(Glória)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Benedíctus) ·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 미사 관련 정보
영성체 · 전례서 · 미사의 종류
미사 전례에 임하는 합당한 자세 · 죽은 이를 위한 미사
기도문 주님의 기도 · 성모송
마리아의 노래
성 토마스의 성체 찬미가 ·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
부속가 · 찬미가
전례력 대림 시기 · 성탄 시기
사순 시기 (주님 수난 성지 주일 · 성유 축성 미사)
파스카 성삼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성토요일 · 주님 부활 대축일)
부활 시기 · 연중 시기
}}}}}}}}}}}} ||


1. 개요2. 기도문3. 전례 때의 사용4. 성음악에서의 사용
4.1. 그레고리오 성가4.2. 그레고리오 성가로부터 모티브를 얻은 성음악4.3. 여러 노래

1. 개요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Te Deum)는 삼위일체 하느님에게 감사와 찬미를 드리며 청원하는 기도이다.

2. 기도문

라틴 말 한국어[1]
Te Deum laudámus:
te Dóminum confitémur.
찬미하나이다, 주 하느님.
주님이신 하느님을 찬양하나이다.
Te ætérnum Patrem
omnis terra venerátur.
영원하신 아버지를
온 세상이 받들어 모시나이다.
Tibi omnes Angeli;
tibi cæli et univérsae potestátes.
모든 천사들이
하늘과 세상의 권능 천사들이
Tibi Chérubim et Séraphim
incessábili voce proclámant:
케루빔과 세라핌이
끊임없이 목소리를 높여 노래하나이다.
Sanctus, Sanctus, Sanctus,
Dóminus Deus Sábaoth.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Pleni sunt cæli et terra majestátis glóriæ tuæ.하늘과 땅에 가득 찬 엄위로우신 그 영광.
Te gloriósus Apostolórum chorus;영광에 빛나는 사도들의 모임
Te Prophetárum laudábilis númerus;그 보람 드러나는 예언자들의 대열
Te Mártyrum candidátus
laudat exércitus.
눈부신 순교자들의 무리가
아버지를 드높이 기리나이다.
Te per orbem terrárum sancta confitétur Ecclésia:땅에서는 어디서나 거룩한 교회가
Patrem imménsæ majestátis;그지없이 엄위하신 아버지를
Venerándum tuum verum et únicum Fílium;받들어야 할 아드님, 외아드님을
Sanctum quoque Paráclitum Spíritum.아울러 보호자 성령님을 찬양하나이다.
Tu Rex glóriæ, Christe.영광의 임금님이신 그리스도
Tu Patris sempitérnus es Fílius.하느님 아버지의 영원하신 아드님
Tu ad liberándum susceptúrus hóminem,
non horruísti Vírginis úterum.
인간을 구하시려 동정녀의 태중을 꺼리지 않으시고
몸소 인간이 되셨나이다.
Tu, devícto mortis acúleo,
aperuísti credéntibus regna cælórum.
죽음의 독침을 물리치시고
믿는 이들에게 천국을 열어 주셨나이다.
Tu ad déxteram Dei sedes, in glória Patris.하느님의 오른편, 아버지의 영광 안에 계시며
Judex créderis esse ventúrus.세상을 심판하러 오시리라 믿나이다.
Te ergo quǽsumus, tuis fámulis súbveni,
quos pretióso sánguine redemísti.
보배로운 피로 구원받은 종들인 저희를
보호하시기를 비오니
Ætérna fac cum sanctis tuis in glória numerári.저희도 성인들과 한 무리에 들어
영원토록 영광을 누리게 하소서.
Salvum fac pópulum tuum, Dómine,
et bénedic hæreditáti tuæ.
주님, 주님의 백성을 구원하시고
주님의 상속자들에게 강복하소서.
Et rege eos,
et extólle illos usque in ætérnum.
그 백성 주님께서 다스리시고
영원토록 이끌어 주소서.
Per síngulos dies benedícimus te.나날이 주님을 찬양하는 저희
Et laudámus nomen tuum in sǽculum,
et in sǽculum sǽculi.
세세 대대 주님 이름 찬미하리이다.
Dignáre, Dómine, die isto
sine peccáto nos custodíre.
주님, 비오니
오늘 저희를 죄짓지 않도록 지켜 주소서.
Miserére nostri, Dómine,
miserére nostri.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Fiat misericórdia tua, Dómine, super nos,
quemádmodum sperávimus in te.
주님, 저희가 주님께 바란 대로
저희에게 자비를 내리소서.
In te, Dómine, sperávi:
non confúndar in ætérnum.
주님, 저희가 주님께 바랐사오니
영원토록 부끄러움 없으리이다.

3. 전례 때의 사용

3.1. 시간 전례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를 바치는 대표적인 때는 바로 시간 전례의 독서 기도이다. 시간 전례 총지침이 규정하는 때에는 독서 기도 후반의 응송과 마침 기도 사이에 이 기도를 바친다. 시간 전례 총지침이 규정하는 때란 다음과 같다.
자세히 보면 기도를 바치는 때가 대영광송과 일부 비슷하다. 전례서에서 찬미가로 지칭하는 점도 비슷하다.

3.2. 미사


4. 성음악에서의 사용

4.1. 그레고리오 성가

단순 곡조

악보 있는 동영상: #1, #2

장엄 곡조

4.2. 그레고리오 성가로부터 모티브를 얻은 성음악


4.3. 여러 노래




[1] 『가톨릭 기도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