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20:23:50

서구(대구광역시)/행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버전
, 10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버전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구(대구광역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bgcolor=#008837><tablewidth=25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구(대구광역시)/행정|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동인청사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북구(대구광역시)/행정|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산격청사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
||<-6><width=5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6><width=50%>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ac707>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e41b2f><colcolor=#fff>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내당동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비산동
상중이동 상리동 | 중리동 | 이현동
원대동 원대동1가 | 원대동2가 | 원대동3가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서구청(대구)|
구청
]] 평리동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ogu-daegu.png

1.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관할 법정동은 내당동이다.

2.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관할 법정동은 비산동이다. 5동과 7동은 경부선 이북에 있어 생활권이 다소 다르다.

3.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관할 법정동은 평리동이다. 평리6동 일부는 경부선 북쪽에 있다.

4. 상중이동

관할 법정동은 상리동(上里)·중리동(中里)·이현동(梨峴)이다.[23] 원래는 상중이동을 상리동과 이현동을 포함한 상이동과 중리동으로 분동 후 따로 관할하고 있었으나, 인구 감소로 상이동과 중리동을 다시 통합했다. 인구는 17,991명[A]으로 서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이현동은 현재 서대구산업단지인 공단 지대이면서 대구차량등록사업소 북부분소, 서구문화회관, 이현체육공원이 있고 서대구IC 진입로가 있다. 구 이현삼거리는 서대구역 신설과 함께 진입 도로가 건설되어 현재의 서대구역네거리로 바뀌었다. 학교는 대구중리초가 있다.

중리동은 반은 서대구산업단지(서편), 반은 주택단지(동편/서구청 방향)와 퀸스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중리 롯데캐슬(1,968세대)[25] 등 주거지 재개발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상중이동 인구 대부분이 중리동에 밀집해 있다. 시립병원인 대구의료원이 중리동 와룡네거리 근처에 있으며, 상수도사업본부 서부사업소와 대구광역시 선거관리위원회 및 서구 선거관리위원회도 재개발한 중리롯데캐슬 근처 옆으로 이전해 왔다. 2019년에 청소년 문화의 집이 선거관리위원회 근처에 세워졌다. 학교는 대구달서초, 서남중[26], 중리중, 경덕여고[27]가 있다.

상리동은 와룡산 기슭에 자리잡은 대구광역시 서구에서 유일하게 산지로 이루어진 마을로, 자연마을로는 새방골(상리1동),[28] 가르뱅이(상리2동)가 있다. 그리고 말이 상리동이지 새방골과 가르뱅이는 서로 월경지로, 새방지하도에서 가르뱅이로 직통할 수 없고, 중간에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신천대로가 놓여 있어서 두 동네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가르뱅이 뒷쪽의 상리지하차도를 통해 비산염색공단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비산염색공단(달서천로)으로 이어지는 서재로를 통해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로 가는 서재로 중간에 있는 와룡대교를 통해 북구 사수동 및 금호동과 경계를 마주보는 곳이다.[29] 가르뱅이 일대는 혐오시설들이 많아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30]

상리동에는 상리동CNG충전소, 음식폐기물처리장(옛 달서천위생처리장), 경부선 선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교각(가르뱅이 시내버스 종점 바로 상단이 서대구TG) 등이 있는데, 특히 음식폐기물처리장 설치 때 반발이 강했다. 음식폐기물처리장을 만들면서 시내버스들의 편의를 위해 방천리로 나가는 서재로에 상리동CNG충전소를 설치했다. 상리동CNG충전소가 없으면 가르뱅이로 들어오는 노선들은 가스를 충전하러 성서산단이나 서재로에서 와룡대교 혹은 매천대교를 타고 관음동공영차고지까지 가야 한다. 그럼에도 202(-1)번이 들어오기 전까지 가르뱅이 일대는 서구 관내에서 오지 아닌 오지였다.[31] 학교는 중구 대신동 서문시장 옆에 있던 계성고가 2016년 3월에 세방골의 세방지하차도 북쪽으로 이전했다. 그런데 서대구공단으로 들어가는 입구 방향이라 환경 문제가 걸릴 듯하고, 세방골로 다니는 시내버스는 524번밖에 없어서 교통은 상대적으로 불편하다. 상리동 소재는 아니지만 경원고등학교[32]가 2000년 용산2동과 상리동 경계 근처로 이전하면서 이 동네가 알려졌을 정도다.

자가용 이용 시 한정이지만, 달성군 하빈면으로 갈 때 달구벌대로를 타는 것보다 비산염색공단(달서천로)으로 진입하여 가르뱅이 북쪽의 서재로를 통해 달천리로 접근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33]

여러 시내버스 회사들의 차고지[34]가 있었으나, 모두 외곽지로 이전하여 현재 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는 없다.[35]

중리동에 있는 상리공원은 서구 관할이지만 정작 이용하는 사람의 90% 이상은 옆 동네인 달서구 용산동 주민이라는 아이러니함이 존재한다. 나머지는 서대구산단에 근무하는 근로자들 정도. 다만 이러한 이유는 어차피 현재의 용산동과 죽전동이 과거에는 서구였던 터라 관할 구만 달라졌을 뿐, 인접한 생활권역이라는 이야기이다.

5. 원대동

관할 법정동은 원대동1~3가이다. 후술하지만 북구와 인접한 동네고 전화 국번도 원대동 전역이 북구와 공용하고 있으며, 북구청 본청, 북구청 노원별관, 북부경찰서, 북부도서관이 길 하나 건너면 있을정도로 지리적으로 가까워 북구 관할인 줄로 은근히 헷갈려 하지만, 서구 관할이다. 인구는 10,235명.[A]

신라시대 화랑도의 수련원이 있었던 자리라고 하여 원터, 노원이라 불리던 곳이다.[37] 팔달로를 사이로 북구 노원동과 접해 있으며, 이 동네에서 제법 큰 팔달시장과도 접해 있는 곳이라 북구 노원동과 함께 팔달시장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다. 원대동에 있는 팔달로 위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공사가 활발할 때는 덕분에 예전부터 상습정체 구간이었던 이 곳이 더욱 정체가 심해져 출퇴근 길에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따로 없었다.[38]

서구의 다른 지역들과 달리 북구 생활권[39]에 가까운 관계로, 서구 관내에서는 평리6동(북편)[40], 비산5, 7동과 함께 북구의 350번대 국번을 공용한다. 원대오거리 앞 재개발을 통해 서대구센트럴자이(1,526세대)가 건설되었다. 동아리공원 자리에는 원래 북부정류장이 있었다. 학교는 대구달성초, 경일중이 있다.

참고로 이 동네에 북구청역이 있다. (서구 원대로 71) 정확히는 서구 원대동2가와 북구 고성동3가의 경계에 있으나, 일단 주소는 서구 소재로 되어 있다. 어차피 북구랑 양다리 걸쳐 있는 곳이다.

6.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행정동 설치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성당동 성당동 행정동제 실시
내당동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동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비산4동
평리동 평리동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상중이동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1·2가동
원대동3가 원대3가1동, 원대3가2동
노곡동 노곡동
조야동 조야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원대동1가 원대동1가 [행정동1]
원대동2가 원대동2가 [행정동1]
원대동3가 원대동3가, 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 [행정동2]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내당3동 내당3동, 내당5동
비산1동 비산1동, 비산5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원대1·2·4가동, 원대3가동, 원대5·6가동 원대1·2·3가동 [44]
서구 노곡동 북구 노곡동
서구 조야동 북구 조야동
비산1동, 비산3동 비산1동, 비산3동, 비산6동 [45]
평리동 평리1동, 평리2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비산5동 비산5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1동, 평리3동
평리2동 평리2동, 평리4동
원대1·2·3가동 원대1·2가동, 원대3가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성서출장소 장동, 장기동, 용산동 성서1동
성서출장소 죽전동, 감삼동 성서2동
성서출장소 본리동 본리동
내당1동 내당1동, 내당6동
평리3동 평리3동, 평리5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성당동 성당1동, 성당2동
내당6동 내당6동, 내당7동
상중이동 상이동, 중리동
달서구 설치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남구 월배1동 달서구 월배1동 관할 구 변경
남구 월배2동 달서구 월배2동
남구 월배3동 달서구 월배3동
남구 송현1동 달서구 송현1동
남구 송현2동 달서구 송현2동
서구 성서1동 달서구 성서1동
서구 성서2동 달서구 성서2동
서구 성서3동 달서구 성서3동
서구 성당1동 달서구 성당1동
서구 성당2동 달서구 성당2동
서구 본리동 달서구 본리동
서구 내당4동 달서구 두류1동 명칭변경 및 관할 구 변경
서구 내당5동 달서구 두류2동
서구 내당6동 달서구 두류3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비고
내당2동, 내당3동 내당2·3동
비산2동, 비산3동 비산2·3동
원대1·2가동, 원대3가동 원대동

[P]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3] 2000년 개점했다가 2005년 1월 폐점[P] [5] 현재는 웨딩리젠시가 건물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대구 시민들 사이에선 관습적으로 광장코아 혹은 약자인 '광코'로 불리운다. 곧 광장코아&이란 이름으로 재건축될 예정이다.[6] 구 서부공업고등학교[P] [8] 비봉초등학교가 비산의 봉우리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는데 바로 이 곳이 비산의 봉우리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향인지 경부선이 비산이 있던 비산1동 지역에서 약간의 곡선 드래프트가 있다.[P] [P] [11] 대구청라중과 대구제일고는 협성교육재단 산하에 있다. 대구제일고는 본래 경상여자상업고등학교였다가 2000년 3월 인문계 남녀공학으로 전환과 동시에 교명을 변경하였고, 대구청라중은 원래 경상여자중학교였으나 2024년 3월 남녀공학으로 전환과 동시에 교명을 변경하였다.[P] [P] [P] [15] 본래 칠곡 방향 한정으로 일방통행이었는데, 3호선 공사를 하면서 양방통행으로 전환됐다. 대구 차적의 버스는 이 도로로 안 다니고, 왜관/성주 250번같은 노선만 이 도로를 통해 다닌다.[P] [P] [P] [P] [P] [P] [22] 구 서부여자중학교로 걸스데이 멤버인 소진(박소진)의 모교였던 서진중학교도 이 곳에 있었지만 학생 수 감소로 인근 평리3동의 서부중학교와 통합, 서대구중학교로 변경되었다.[23] 상중이동(上中梨洞)이라는 이름 자체가 저 법정동 3개의 앞 글자를 이어붙인 이름이다.[A] [25] 옛 중리주공아파트. 줄여서 중리아파트로 불렀다.[26] 달서구 감삼동과 마주 보는 서남시장 근처에 있다. 원래 교명은 중리여자중학교였으나, 2003년 남녀공학으로 바꾸면서 서남중학교로 교명을 바꿨다.[27] 걸스데이의 멤버인 박소진의 모교다.[28] 세방골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사실 지금도 새방골 주민들이 둘을 많이 혼동해 한다. 사실상 새방골과 세방골 둘 다 관습적으로 혼용하고 있다고 봐야 할 듯.[29] 거기에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를 통해 중간에 북구 금호동이 끼여 있는 구조다. 즉, 여기도 북구월경지다.[30] 쓰레기처리장이나 철도 차량기지, 각종 장묘시설이 대표적인 혐오시설이다.[31] 242번이 1일 10회 다녔다가 204번에게 넘겼고, 204번은 40분에 1대 다녔다. 2006년부터 202(-1)번이 풀 타임으로 운행하여 그나마 교통이 나아졌다.[32] 원래 달서구 송현동 청구제네스 아파트 자리에 있었다.[33] 시내버스로는 좋지 못한 게, 염색공단 안쪽으로는 성서3번이 1일 5회밖에 안 들어오기 때문이다. 성서3번 놓치면 상리지하차도(위생처리장 쪽)까지 걸어가서 204번, 234번, 240번, 서구1(-1)번을 타야 한다.[34] 세한여객, 경신교통, 달구벌버스(구.국일여객), 경상버스, 우진교통 등 무려 5개 업체. 옛날엔 서구였던 용산1동의 남도버스가 지금의 대곡지구가 아닌 제 자리에 있었고 분구되지 않았다면 서구 구내에서만 해도 6개의 버스 회사가 있을 수 있었다.[35] 다만 우진교통경상버스는 면허 주소지만큼은 서구 이현동으로 유지하고 있다.[A] [37] 현재 원대동 길 건너편에 있는 북구 노원동도 동명 유래가 같다.[38] 북구 칠곡지구를 연결하는 관문인 팔달교에서 만평역을 거쳐 원대오거리까지 이르는 팔달로 구간은 복현오거리 일대와 함께 대구 시내에서 상습적인 교통체증 구간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게다가 만평역에서 대구북부정류장을 거쳐 평리네거리까지 헬게이트가 이어지기 때문에 대구 3호선 공사를 하면서 상신삼거리(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 - 북부정류장 일방통행 도로를 양방통행으로 바꿨을 정도였다.[39] 정확하게는 팔달시장과 팔달신시장, 만평네거리 생활권[40] 비산염색공단의 달서천 이남 지역도 북구 국번을 쓴다.[행정동1] 원대1·2·4가동[행정동1] [행정동2] 원대3가동, 원대5·6가동[44] 원대동2가 일부, 원대동4~6가 전체가 북구로 이관[45] 비산1동과 비산3동의 일부지역을 관할로 비산6동 설치[법정동] 이곡동, 갈산동, 신당동, 호림동, 호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