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맵 관련 문서 | |||||
스타크래프트(유즈맵 · 트리거 · 타일셋) | 스타크래프트 2(아케이드 · 팀플 · 지형) | ||||
> 테란맵 | > 저그맵 | > 토스맵 | |||
> > > 상성맵 | > > > 역상성맵 | ≈ ≈ 개념맵 | |||
2인용 · 3인용 · 4인용 · 섬맵 · 반섬맵 · 무한맵(빠른 무한) | |||||
에디터 | Scmdraft 2 · TrigEditPlus · 세디터 · 스타포지 · 엑스트라 에디터 / 갤럭시 맵 에디터 | ||||
커뮤니티 | 스타 에디터 아카데미 · |
1. 소개
RTS 게임에서 각 종족 및 진영 밸런스가 기본적 종족 상성 그대로 가는 맵. 스타크래프트에서는 기본적 상성인 테란 > 저그 > 프로토스 > 테란의 승률이 각각 ±10% 이상인 맵.일반적으로 3종족 각각의 승률이 한쪽 종족의 밸런스가 6:4 이상이면 상성맵이라고 판단하고 7:3 이상이면 밸런스가 매우 나쁘다고 평가한다. 반대로 승률이 5:5에 가깝게 나오거나 6:4 이내라면 개념맵으로 취급한다. 개념맵이 되려면 상성맵도 역상성맵도 아니어야한다.
2. 대표 맵
대표적인 상성맵으로는 알케미스트, 개척시대가 있었지만 지금은 마땅히 상성맵이라고 할 만한 분류가 없다. 대부분의 맵은 오래 쓰이면 대부분 이렇게 흘러가는 추세. 대표적으로 로스트 템플에 이은 국민맵이라고 볼 수 있는 루나가 대표적이다. 루나는 원래 개념맵축에 속했으나 각종 리그에서 오랫동안 쓰이면서 점차 상성맵화 되어갔다.[1]본진입구가 역언덕형인 맵도 상성맵화되기 쉽다. 상성상 우위를 점하는 종족이 열세인 종족을 초반부터 거세게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스타크래프트 1의 황혼기를 같이 한 글래디에이터와 제이드가 역언덕 상성맵이다.[2]
티아매트도 의외로 상성맵이다. 데스티네이션[3]과 비잔티움 3도 이에 해당된다. 테저전이 많았던 시기라 테란맵으로 보였던 리버스 템플과 태풍의 눈도 대표적인 상성맵.(태풍의 눈은 미네랄이 본진+앞마당 17덩이씩으로 많고, 가스가 맵 전체에 (스타팅+앞마당)×4 + 3시, 9시 10개라 보통 일반적인 12개보다 적다.) 라만차 또한 대표적인 상성맵이다.[4]
가장 무난한 상성맵은 4인용맵이다. 4개 스타팅 위치 중 서로 가까운 자리에서 시작할 확률이 2/3이고, 먼 위치에 스폰해도 초반에 강한 상성종족이 상대를 압박하면서 비교적 수월하게 멀티를 가져갈 수 있기 때문.
반댓말은 역상성맵이다.
[1] 다만 루나는 최근에 다시 쓰이면 테란이나 프로토스가 저그 상대로 초반 압박을 주기 어려운데다 추가 가스 멀티를 확보하기 난감해 저그 상대로 불리하며, 테프전도 테란이 타이밍을 노리기 어렵고, 중후반 운영을 도모하기도 쉽지않아 테란 압살맵이자 저그맵이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2] 제이드는 리마스터 발매 이후엔 러시 거리가 워낙 길어 저그에게 크게 웃어주고, 프로토스는 저그 상대론 힘든 대신 테란 상대론 초반부터 드라군으로 압박하기 좋은 반면, 테란은 저그와 프로토스 모두에게 불리한 저그맵이자 테란 압살맵이 되었다.[3] 약간 괴이한 것이, 공식전만 놓고 보면 저프전은 34:34로 딱 호각, 테저전은 36:25로 테란 유리, 프테전은 48:40으로 토스 약간 유리 수준인데, 비공식 전적까지 다 따지면 가장 크게 벌어지는 건 저프전이기 때문이다(170:128, 테저전 150:137, 프테전 181:151). 아무튼 어느 전적으로 봐도 상성맵의 특성에 충실한 전적이긴 하다.[4] 다만 라만차는 시간이 흐른 현재는 저그가 좋다고 평가받으며, 태풍의 눈도 결국에는 테란맵으로 귀결되는 분위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