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19:42:13

사회복지직 공무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공무원 직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일반직
(행정)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행정 (일반행정 · 교육행정 · 선거행정(선거관리위)) · 감사 · 세무 · 관세 · 통계 · 사회복지 · 직업상담 · 사서 · 방호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검찰 · 마약수사 · 교정 · 보호 · 출입국관리 · 철도경찰 · 경위(국회, 법원, 헌재)
일반직
(과학기술)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공업 (일반기계 · 전기 · 화공) · 시설 (토목 · 건축 · 지적) · 항공 · 방재안전 · 전산 · 방송통신 · 방송무대 · 운전 · 위생 · 조리 · 기상 · 농업 · 해양수산 · 환경 · 식품위생 · 임업/녹지(지방) · 시설관리(지방)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보건 · 약무 · 의무 · 의료기술 · 간호조무 · 수의 · 간호 · 보건진료(지방)
특정직 법관 · 헌법연구관 · 검사 · 군인 · 군무원 · 경찰공무원/자치경찰공무원(지방) · 소방공무원 · 외무공무원 · 교육공무원 · 경호공무원 · 국가정보원 직원
[[공무원/직렬#s-5|{{{#!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우정직공무원|{{{#!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연구직공무원|{{{#!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지도직공무원|{{{#!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법원공무원|{{{#!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 항목은 행정직군과 과학기술직군, 특정직공무원에 한정하여 직렬(직종) 단위까지만 표기함. (단, 독립 문서로 분리된 직류는 병기함.)
-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선거관리위원회 소속 공무원과 일부 특정직공무원은 별개의 직렬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직렬이 유사하므로 타 기관과 차이가 있는 일부 직렬만 표기되어 있음. (단, 법원의 경우 행정직렬에 차이가 많아 법원직 문서에 그 항목을 표기함.)
}}}}}}}}} ||


1. 개요2. 업무3. 장단점
3.1. 장점3.2. 단점
4. 관련 문서

1. 개요

사회복지 업무를 맡는 행정직군 공무원들을 말한다. 자세한 분류는 공무원/직렬 문서로.

5급 신입은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중앙행정기관의 기획자로 가기에 자격증이 필요없는 반면, 9급 신입은 매우 높은 확률로 클라이언트를 상대하는 일선 행정복지센터의 실무자로 가기에 최소 사회복지사 2급 이상 자격증이 반드시 필요하며, 합격선이나 경쟁률은 일반행정직에 비해서 조금 낮은 편이다. 때문에 아예 관련 전공과 무관하더라도 공무원 채용시장에 뛰어들 때 인터넷을 통한 학점은행제 등으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여 1년 6개월 동안 속성으로 자격증을 따서 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도 있다. 실무적 성격이 강한 직렬 특성상 7급은 형식상으로는 존재하나 채용하지 않는다.

행정복지센터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대한민국의 행정은 크게 일반행정과 복지행정으로 나눌 수 있고 그중 사회복지직은 복지행정을 담당한다.

2. 업무

사회복지직렬은 국가직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대다수가 지방직에 존재한다. 국가직에서는 사회복지직을 5급 공채로 극소수로 채용하긴 한다.

지방의 주요 행정업무들은 경제, 교통, 복지, 환경, 주거, 안전, 개발 등이 있는데 그중 복지와 관련된 모든 업무를 맡는다.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및 관리 업무를 주로 하는 편이고, 그 외에도 장애인, 노인, 여성, 아동, 바우처 등 자잘한 복지 관련 업무도 맡는다. 즉, 사회복지직은 일반행정직과는 달리 복지 업무를 전적으로 맡고 있으며 부서마다 상이하겠지만 일단 복지라는 큰 틀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그나마 높일 수 있다.

사회복지 업무 특성상 기본적으로 민원인들을 직접 상대하는 업무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민원 응대에 거부감을 느낀다면 힘들어질 수 있다.

3. 장단점

사회복지직만의 장단점을 서술한다. 조직문화, 급여, 복지혜택 등 공무원에 대한 공통의 장단점은 공무원 문서를 참조.

3.1. 장점

3.2. 단점

특히 이쪽은 관리인원 부족으로 혼자서 남성 복지 대상자를 맞이하는 경우가 더러 있으며, 실제로도 성범죄/폭력범죄 등이 일어나는 경우도 더러 있다. 그래서 일부 지자체는 복지 대상자를 방문하러 갈 때, 다른 직원이나 사회복무요원을 대동해서 최소 2인 1조로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5]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직은 자체적인 업무 난이도가 높을뿐더러 진상민원으로 악명이 높고 비위생적인 환경을 접할 일이 많아서 근무환경은 3D에 준할 정도로 열악하지만 관리직(6급 이상) TO가 적고 이마저도 일반행정직이 기획, 예산 관리를 명분으로 채가는 경우가 많아 기피 직렬로 손꼽힌다. 근무 여건이 워낙 빡센지라 중간에 그만두는 경우도 간혹 있으며[6], 심지어, 신규연수 중에도 사회복지직을 중도에 접었던 사람이 나왔을 정도이다.

4. 관련 문서



[1] 사회복지학과 졸업, 학점은행제 등으로 사회복지사2급 취득[2] 2022년 이전에는 광역 자치단체에서도 합격선이 70점을 근처를 오가거나 그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지만 현재는 정부에서 지방직의 전반적인 채용 인원수를 낮추고 있다보니 현재는 합격 난이도가 조금 올랐다. 2024년기준 티오가 줄어들면서 일반행정직보다 합격선이 높은곳도 적지않아졌다.[3] 다만 보호직이 사회복지개론을 공유하므로 행정법대신 형사정책개론을 준비하여 두 번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6과목이나 공부해야 하고, 시간이 모자라서 문제다. 무엇보다 보호직이 비선호 공무원이기도 하기에, 진심으로 본다기보단 4과목을 시험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을 수밖에 없다. 어차피 형사정책개론이라고 쉬운 것도 아니고.[4] 하지만 같은업무를 반복적으로 숙달하므로 행정복지센터를 순환근무하다보면 일자체는 익숙해진다.[5] 특히 여직원이 방문해야 한다면 반드시 남직원이랑 같이 가게 하는 경우도 있다.[6] 직렬을 바꾸기 위해 다시 시험을 보는 경우가 적지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