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비트겟 토큰 Bitget Token (BGB) | |
<colbgcolor=#3399ff><colcolor=#ffffff> 기호 | BGB |
출시일 | 2021년 7월 |
분류 | 암호화폐 / 거래소 토큰 |
총 공급량 | 2,000,000,000 BGB |
유통량 | 약 1,400,000,000 BGB (2025년 기준) |
소속 거래소 | Bitget |
관련 링크 | Bitget 공식 웹사이트 코인게코 BGB 정보 |
1. 개요
비트겟 토큰(BGB, Bitget Token)은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Bitget에서 발행한 유틸리티 토큰이다. 2021년 7월에 런칭되었으며, 거래소 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거나 수수료 할인, 런치패드 참여 등에 사용된다. 초기에는 BFT(Bitget Defi Token)라는 명칭으로 시작했으나, 리브랜딩을 거쳐 현재의 BGB로 통합되었다.2024년 기준 시가총액 기준으로 상위 25위권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래소 토큰 중에서도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2. 특징
- **수수료 할인**: 현물 및 선물 거래 시 BGB로 수수료를 지불하면 최대 2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 **런치패드/런치풀 참여**: Bitget 거래소의 신규 토큰 판매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사용된다.
- **거버넌스 기능**: 일부 커뮤니티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며, 향후 BGB 생태계 확장을 위한 기능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 **소각 메커니즘**: 일정 비율의 수익을 바탕으로 분기마다 토큰을 소각하여 공급량을 줄이고 토큰 가치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려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3. 사용처
- Bitget 거래소 내 수수료 지불
- 신규 프로젝트 참여 (IEO/IFO 등)
- NFT, 게임, Web3 관련 제휴 서비스 결제
3.1. 응용 및 비교 사례
BGB는 거래소 토큰이라는 성격상 바이낸스 코인(BNB), 쿠코인 토큰(KCS) 등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다만, 자체 체인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며, 주요 기능은 거래소 내 유틸리티에 집중되어 있다.한편, 최근 사용자 참여형 보상 플랫폼들이 증가하면서 거래소 토큰을 커뮤니티 연계로 활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예를 들어,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활동(댓글, 설문, 콘텐츠 소비 등)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자체 토큰(RWD)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는 거래소 중심의 BGB와는 상이하지만, Web3에서 유저 참여를 중심으로 한 보상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