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0:11:56

블라디미르 세미차스트니

파일:KGB 로고.svg
국가보안위원회 의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반 세로프 알렉산드르 셸레핀 블라디미르 세미차스트니 유리 안드로포프
<rowcolor=#ffd7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비탈리 페도르추크 빅토르 체브리코프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 바딤 바카틴 }}}}}}}}}
<colbgcolor=#cd0000><colcolor=#ffd700>
소비에트 연방 제3대 국가보안위원회 의장
블라디미르 세미차스트니
Влади́мир Семича́стный | Vladimir Semichastny
파일:Vladimir_Semichastny.jpg
본명 블라디미르 예피모비치 세미차스트니
Влади́мир Ефи́мович Семича́стный
Vladimir Yefimovich Semichastny
출생 1924년 1월 15일
소련 우크라이나 SSR 예카테리노슬라프현 메제바야
(現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메지우스키군 메조바)
사망 2001년 1월 12일 (향년 76세)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
묘소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
재임기간 콤소몰 중앙위원회 제1서기
1958년 3월 28일 ~ 1959년 3월 25일
제3대 국가보안위원회 의장
1961년 11월 13일 ~ 1967년 5월 18일
서명 파일:블라디미르 세미차스트니 서명.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부모 아버지 예핌 키릴로비치 세미차스트니
어머니 돔나 이바노브나 세미차스트니
복무 국가보안위원회
1961년 ~ 1967년
최종 계급 상장 (국가보안위원회)
주요 서훈 노력적기훈장 (3회)
레닌훈장
}}}}}}}}}

1. 개요2. 생애
2.1. 흐루쇼프 시대2.2. 브레즈네프 시대2.3. 말년
3. 참고문헌

[clearfix]

1. 개요

소련의 정치인이자 콤소몰 제1서기, KGB 의장.

2. 생애

1924년 1월 15일, 현재의 우크라이나에 속해있는 예카테리노슬라프 지역의(오늘날의 도네츠크) 그리고리예프카 마을의 러시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941년 케메로보 화학학교에 입학했으나 학업을 끝내지 못하고 1942년에 중퇴했다.

1940년대 초에 콤소몰 서기로 노보시비르스크에서 근무했으며 1943년 10월, 우크라이나로 조동되어 크라스노아르메이스키 지역의 콤소몰 서기가 되었다. 1944년 전연방공산당에 입당, 우크라이나 스탈린 지역 콤소몰의 제2서기를 거쳐 제1서기로 승진하였다.

1946년 12월, 우크라이나 콤소몰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으며, 1947년 10월, 우크라이나 콤소몰 중앙위원회 제1서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에 인근 몰도바에서 근무하던 브레즈네프와 친분을 맺었으며 1948년 레닌훈장을 받았다. 1949년 1월, 우크라이나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으며, 1949년 1월, 우크라이나 공산당 중앙위원회 조직국 후보위원이 되었다.

1950년 1월, 콤소몰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 당시 콤소몰 제1서기였던 알렉산드르 셸레핀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1954년 3월, 카자흐스탄의 콤소몰 단원들을 소집하여 카자흐스탄 지역의 콜호즈 상황을 조사함으로, 카자흐스탄를 책임지고 있던 브레즈네프를 조력하였다.

2.1. 흐루쇼프 시대

1956년 2월, 20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 1958년 4월, 콤소몰 제1서기에 이르러 1959년 3월까지 재임했다. 1958년 10월, 보리스 파르테르나크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자 흐루쇼프의 지시에 따라서 그를 가롯 유다, 반동 문학가로 폄하하는 캠페인을 전개하였으며 1만 4천명의 군중들 앞에서 파스테르나크는 돼지조차도 자신의 우리를 더럽히지 않는데 파스테르나크놈은 소련에 살 자격도 없고 그가 선망하는 자본주의 락원으로 꺼져버려야 한다고 저주하는 연설을 하였다.

1959년 3월, 당중앙위원회 연방공화국 담당 당조직부 부장에 임명되었으나 5개월 만에 아제르바이잔 제2서기로 이동하여 1961년 12월까지 재임했다. 1961년 10월, 22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재선되었다.

1961년 11월, 당통제위원장으로 조동된 셸레핀의 후임으로 KGB 의장으로 전격 발탁되어 상장 계급을 부여받았다.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직후 리 하비 오스왈드에 대한 특별 조사 임무를 맡았으며 KGB와 전혀 무관한 인물이라는 보고를 올렸다.

한편 흐루쇼프의 충동적인 대외, 국내 정책과 막말과 모욕을 서슴지 않는 그의 리더십, 그리고 1964년 11월 전원회의에서 당 지도부를 교체해버리겠다는 협박에 지쳐버린 공산당 지도부는 흐루쇼프를 제거하기로 결심했으며 세미차스트니도 동참하였다.

흐루쇼프는 대대적인 군축과 더불어서 보로실로프와 주코프를 매우 불명예스럽게 당 지도부에서 축출함으로 군부를 도발하였고, KGB를 상대로도 KGB 성원들의 진급을 거부하는 한편, 세미차스트니를 상대로도 그가 장군 군복을 갈망한다고 조롱하였다. 나중에 세미차스트니는 회고록에서 브레즈네프는 흐루쇼프를 대면에서 마주하고 비판하기보다는 그가 스웨덴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체포해서 '물리적으로 제거'하자고 제안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세미차스트니는 그러한 불법적 살인 행위는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킬 것이므로 불가능하다고 반대했다고 한다.

어쨌거나 1964년 10월 정치국 회의에서 브레즈네프, 코시긴, 포드고로니 등과 함께 흐루쇼프 축출에 가담하여 성공하였으며 1964년 11월, 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승진하였다.

2.2. 브레즈네프 시대

1966년 3월, 23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에 재선되었다. 하지만 1967년 5월, 그의 후원자인 셸레핀이 와병한 틈을 타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기습 공격으로 숙청되어 유리 안드로포프에게 자리를 내주고 KGB 의장에서 해임되었다. 브레즈네프는 1967년,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가 인도의 미국 대사관으로 망명한 것을 구실로 KGB가 당중앙위원회가 더 밀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당 서기인 안드로포프를 새로운 의장으로 임명했다. 세미차스트니는 정치국 회의에서 브레즈네프에게 제발 이러지 말라고 애원했지만 브레즈네프는 토론도 기각하고 바로 그의 해임을 가결시켜버렸다.

하지만 스탈린 시기와 달리 일가족이 몰살당하는 운명은 맞이하지 않고 우크라이나 각료회의 제1부의장으로 조동되는 등 관대한 처분을 받았다. 1971년 3월, 24차 당대회에서 당연히 당중앙위원회 위원에서 탈락하였으며 제1부의장에서 부의장으로 강등되었다.

2.3. 말년

이후 1981년까지 우크라이나 각료회의 부의장으로 재직하였으며 이후 전연방지식협회(Znanie) 이사장으로 조동되어 1988년까지 재직하다가 은퇴했다. 소련 말기와 붕괴 이후에 브레즈네프에 대한 불만과 자신의 리즈시절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서 소련사에 대한 많은 구술자료를 제공하였다. 2001년 1월 12일, 모스크바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사후 그의 회고록인 "Беспокойное сердце(쉬지 않는 심장)"이 출판되었다.

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