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2:55:06

불가리아 레프

유로화 도입 이전 통화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원년 통화 프랑스 프랑 네덜란드 길더 벨기에 프랑 룩셈부르크 프랑
독일 마르크 오스트리아 실링 아일랜드 파운드 핀란드 마르카
이탈리아 리라 스페인 페세타 포르투갈 에스쿠도 그리스 드라크마
추가 통화 슬로베니아 톨라르 몰타 리라 키프로스 파운드 슬로바키아 코루나
에스토니아 크론 라트비아 라트 리투아니아 리타스 크로아티아 쿠나
불가리아 레프
}}}}}}}}} ||

남유럽의 통화
파일:유럽중앙은행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유로
(이탈리아 리라)(이탈리아, 바티칸, 산마리노)
(스페인 페세타, 포르투갈 에스쿠도, 그리스 드라크마, 슬로베니아 톨라르, 몰타 리라, 키프로스 파운드, 크로아티아 쿠나)
(안도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유로(비협약)
(몬테네그로, 코소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불가리아 레프 세르비아 디나르 태환 마르카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루마니아 레우 알바니아 레크 튀르키예 리라 지브롤터 파운드파일:영국 원형 국기.svg

Български Лев (불가리아어)

파일:Bulgarian_national_bank_coa.png

1. 개요2. 1기3. 2기4. 3기 (BGL)
4.1. 1차 (1962 ~ 1990)4.2. 2차 (1991 ~ 1998)
5. 4기 (BGN, 최종)
5.1. 지폐5.2. 동전
6. 둘러보기

1. 개요

불가리아의 옛 통화. ISO 4217 코드는 BGN[1], 기호는 лв이며 단수형은 레프(лев), 복수형은 레바(лева) 이다. 간혹 레바 대신 킨트(Kint)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특별히 1,000레바는 본(Bon)이라고 별칭이 붙는다. 단수형의 영어 표기가 Lev라서 레라고 읽기도 하는데, f에 해당하는 레가 더 정확한 발음이다.[2] 주변국인 루마니아, 몰도바와 마찬가지로 레오(사자)계열 통화이다. 보조 단위는 스토틴카(복수형 스토틴키).

1997년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해결책으로 독일 마르크(이후 유로)에 고정환을 채택했으며 유로존에 매우 가입하고 싶어하는 나라 중 하나였으나 한때 ERM II 시스템에 진입조차 못하고 있었다. 그래도 EU 가입 축하 기념(?)인지 2013년 5월부터 발행하는 유로화 신 시리즈에는 불가리아를 위해 키릴 문자를 넣어주고 있는 걸 보니 아예 외면하지는 않고 있었다.

그러다가 2020년, 마침내 크로아티아와 함께 ERM II에 성공적으로 참가, 처음에 2024년을 목표로 유로 도입을 준비하다 높은 인플레이션 등을 이유로 1년 후로 연기, 이후 기준 미달로 재연기되다가 마침내 2025년 7월 유로존 가입이 승인, 이듬해 2026년 1월 1일 전환이 확정되었다.# 교환비는 고정환과 동일한 1유로=1.95583레프.

이후 기존의 레프 지폐와 주화는 1월 31일까지 병행 통용되다가 1개월 동안 시중은행, 6개월 동안 우체국에서 교환을 받으며 그 이후에는 중앙은행에서만 교환이 가능해지게 된다.

2. 1기

1876년 대봉기를 통해 독립을 추구하였던 불가리아는 1881년 프랑스 프랑을 대체하는 통화로 레프를 도입하였는데 그 비는 1:1이었다. 금태환 통화로서 정착을 몇 차례 시도했으나 어지러운 정세 때문인지 계속 연기되었고, 이후 1908년 완전한 독립을 이룬 이후에도 약 20년간의 진통이 지속되었기에 요원해질 법 하였다. 그런 중 라틴통화연맹령에 의하여 1928년에야 0.01086956g/лв으로 결정되어 정식 통화로서 발돋움을 하였다. 불가리아 자체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었으나, 통화 자체가 이전에 프랑스 프랑에 연계되어 있어서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다 세계 2차대전이 터지면서 불가리아가 나치 독일을 지원함에 따라, 1940년에 프랑 연계를 버리고 라이히스마르크 고정환으로 갈아탔다. (32.75레프/RM) 하지만 1944년 소련에게 점령되면서 15레프/소련 루블로 재차 변경, 1945년에는 연합국으로 입장 바뀐 소련에게 다시 점령(?)되면서 동년도 10월에 120레프/미국 달러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후 잠시 동안은 크게 휘청거리더니 (1945년 12월 286.5레프/USD, 1947년 3월 143.25레프) 정부가 이런 널뛰기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하여 1952년 통화개혁을 결정하게 된다.

3. 2기

1기 레프화의 정식 교환비는 1:100.

그러나 전후 상황인데다 당시 사회주의 시스템이었던 불가리아였는지 북쪽 나라식 통화개혁 마냥 경우 따라 제각각이었다. 은행에 저금하면 처음엔 3배로 불려주다가 양이 많아지면 반대로 절반으로 깎는 경우도 있었다. 상품 가격의 경우는 25:1로 4배가 상향 조정되었고, 환율(미국 달러 고정환)은 6.8레프(초창기)에서 9.52레프(1957년 7월 29일)로 몇 차례 하향 조정되었다.

최종 환율은 11.7레프(1961년).

4. 3기 (BGL)

4.1. 1차 (1962 ~ 1990)

토도르 지프코프가 1962년에 수상 자리에 오르면서 등장했고, 2기 레프화와의 교환비는 1:10 이다. 1964년에 환율이 다시 조정되어서 2레프/USD (구 20레프)로 하향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지프코프의 친소련 정책이 소련의 지원을 이끌어낸 결과.

하지만 1980년대부터는 다시 가치가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외채문제 때문에 수출을 필사적으로 늘리려고 했고 덕택에 레프의 가치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거기서 끝난게 아니다라는 거지만.
도안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6.jpg лв.10, 20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1.jpg лв.1, 2, 5, 50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국장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2.jpg лв.1 쉬프카 기념비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3.jpg лв.2 아줌마의 포도 수확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4.jpg лв.5 즐라트니 퍄사치 리조트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5.jpg лв.10 데브냐 화학제품 공장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7.jpg лв.20 마리차 이즈토크 화력발전소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309.jpg лв.50 얀트라 강 위의 차레베츠 요새

4.2. 2차 (1991 ~ 1998)

1990년에 소련 붕괴와 더불어 불가리아는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버렸고, 경제체제 변화의 진통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했다. 1990년대 초반 인플레이션은 이미 100%대를 넘어버렸고, 성장률은 1%대를 겨우 기어다녔다. 하지만 나름 듬뿍 지원받아 만든 기반이 탄탄했던 덕분에 5년만에 역전시키는데 성공, 유고슬라비아 등 주변국과는 다르게 하이퍼인플레이션만은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7년 4월에는 다시 300%를 넘어버리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계속 보여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하였다. 시기를 봐도 알겠지만, 한국의 외환위기와는 별개의 사건이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1.jpg лв.20 데시슬라바 보야나 교회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2.jpg лв.50 흐리스토 그루에프 다노프, 당시 인쇄소 기계식 인쇄기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3.jpg лв.100 자하리 조그라프 그의 작 "삶의 굴레"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4.jpg лв.200 이반 바조프, 소포트 마을[3] 월계수로 둘러싸인 리라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5.jpg лв.500 도브리 흐리스토프 바르나 오페라하우스, 유럽재갈매기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6.jpg лв.1,000 바실 레프스키 그의 기념비와 저작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7.jpg лв.2,000 콜류 피체토, 삼위일체 교회 평면도 삼위일체 교회, 브알라의 다리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8.jpg лв.5,000 자하리 스토야노프, 그의 저서 동 루멜리아 통합 기념 조각, "불가리아 국민에게 고함"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09.jpg лв.10,000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 예술아카데미 그의 작 "불가리아의 마리아"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410.jpg лв.50,000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옛 수도 중 하나인 필스카와 프레슬라프에 있는 옛 건축물의 유적들

5. 4기 (BGN, 최종)

5.1. 지폐

1999년 등장했으며 3기 레프화와의 교환비는 1:1,000.

2000년대부터는 물가도 안정세를 보이고, 2003년부터는 통화도 안정되어 2009년까지는 GDP 5 ~ 6%대의 고성장률을 기록하였다. 다만 2008년 위기의 여파로 2009년에는 최대 9%까지도 퇴보한 전적이 있고, 회복세를 보인 후에도 1 ~ 2%를 겨우 넘을까 말까한 과거의 조용한 상태로 되돌아왔다.

()는 유로화 환산가격.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1.jpg лв.1 이반 릴스키 릴리 수도원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2.jpg лв.2 파이시 힐렌다르스키, 조그라프 수도원 슬라브 불가리아 역사서[4]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3.jpg лв.5
(€2.56)
이반 밀레브, 그의 작품 그의 작품들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4.jpg лв.10
(€5.11)
페터르 베론, 저서 '다양한 강의를 위한 입문서' 그의 천문학 저서에서 발췌한 스케치와 망원경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5.jpg лв.20
(€10.23)
스테판 스탐볼로프, 그의 시집과 시 의회, 독수리 다리, 사자 다리 조각상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6.jpg лв.50
(€25.56)
펜초 슬라베이코프, 국립 극장과 도서관 그의 서사시와 시집
파일:attachment/불가리아 레프/bullev507.jpg лв.100
(€51.13)
알레코 콘스탄티노프, 저서 '시카고로의 여행' 알레코와 저서, '아저씨 간뇨'[5]

5.2. 동전

1, 2, 5, 10, 20, 50스토틴카와 1, 2레프의 8종.

파일:Coins Bulgaria.jpg

2023년 7월 불가리아는 위의 동전 도안 구성을 그대로 불가리아 유로 동전 도안에 계승하기로 결정했는데, 사실상 스토틴카에서 센트, 레프에서 유로로 단위만 변경하는 것과 같으며 그밖에 스토틴카 역시 그리스의 렙타처럼 불가리아의 센트단위 명칭으로 계승되므로 일부 재질 차이만 빼면 나머지는 거의 유로 주화와 흡사해지는 셈이다.

이후 2023년 11월 공식적인 디자인을 공개했고 2024년 2월 EU 이사회의 승인도 완료한 상태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01C1F> 상징 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불가리아 제국(불가리아 제1제국 · 불가리아 제2제국) · 불가리아 공국 · 불가리아 왕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문화 불가리아 요리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키릴 문자 · 불가리아 정교회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부통령 · 총리 · 국민의회(선거) · 내각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불가리아 레프 · 유로(예정)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군사 모병제 · 불가리아군 · 불가리아 육군 · 불가리아 해군 · 불가리아 공군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회 불가리아 마피아
민족 슬라브 · 불가리아인(불가리아계 우크라이나인 ·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 불가리아계 미국인)
}}}}}}}}} ||


[1] 이전에는 BGL[2] 러시아어처럼 불가리아어에서도 어말의 유성음은 무성음으로 변이되기 때문.[3] 바조프의 고향이다.[4] История славяноболгарская[5] Бай Ганьо, 바이 간뇨. 소설의 제목인 동시에 소설 속 안티히어로급 주인공의 이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