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불가능(不可能)은 '가능하지 않음'을 뜻하는 단어다.2. 설명
인생을 살아가며 사람들은 무수한 도전과 성공을 통해 결실과 보상들을 얻어나가지만, 그 모든 도전이 언제나 쉽기만 한것은 아니다. 우리는 쉽지 않아 보이는 도전에 자신들의 능력에 대해 한계를 그어버리고는 불가능이라 일축하여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 도전이 불가능이라 증명되지 않은 이상, 누군가 언젠가는 그 도전을 성공해낼 것이다. 과연 나라고 해서, 그 도전을 성공시키는 사람이 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인가. '불가능은 없다' 라는 믿음을 가지고 노력한다면, 나 자신이야말로 불가능을 실현하는 자가 되는 것이다. |
보통 위와 같은 불가능과 관련된 명언이 많다.
아무튼 좋은 말이 많기는 하지만 영구기관 같이 정말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것도 있으니 그런건 도전하지 말자. 사실 상대적인 불가능만 해도 당신이 정말로 인간의 과학 기술을 초월한 존재가 아닌 이상 쉽지는 않을 것이다. 안되는 걸 선임이 밤송이를 X으로 까라면 까는거야라고 시키지 말자. 부작용만 생긴다.
일본계 미국인 물리학자인 미치오 카쿠는 저서 <불가능은 없다>에서, 과학적인 측면에서의 불가능들을 불가능한 정도에 따라 분류하기도 했다. 참고로 이 책에 따르면 순간이동이 영구기관보다는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고.
불가능에도 종류가 있는데, 법칙적 불가능(현실적으로 절대적 불가능)과 논리적 불가능(또는 개념적 불가능, 절대적 불가능)이 그것이다. 전자는 그러한 일이 벌어지는 것을 상상할 수는 있지만 자연 법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일어날 수 없는 일을 가리키고, 후자는 말의 앞뒤가 안 맞아서 이렇게 일어난다는 것을 아예 상상할 수조차 없어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일을 가리킨다. 즉 법칙적으로 불가능한 일도 논리적으로는 가능한 경우가 많다.
관용적으로 쓰이는 말로 이론적으로 불가능(상대적 불가능)과 물리적으로 불가능(현실적으로 절대적 불가능)이라는 말이 있다.
- 이론적으로 불가능(상대적 불가능): 이론에 따르면 불가능 하다는 말인데 왠지 이런 표현이 붙는 것은 현실에서는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1] 대표적인 예가 게이뤼삭이라든가 미국 최고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인 뉴컴 교수 등이 참여한 인간은 결코 하늘을 날 수 없다는 걸 과학적으로 증명한 논문들. 물론 라이트 형제가 하늘을 날자 이들은 전부 얼간이가 되었다. 사실 다르게 보면 사람을 태운 기계가 나는 거지, 사람이 직접 나는 것은 아니지만.
- 물리적으로 불가능(현실적으로 절대적 불가능): 위의 것보다 좀 더 진짜 불가능에 가까운 의미로, 물리적인 법칙 상 불가능하다는 뉘앙스를 가진다. 가령, 어느 날 에펠탑 앞에서 목격된 사람이 5분 후에 서울역 앞에서 목격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표현을 사용하게 된다.[2]
'가능성', '필연성' 같은 개념들의 논리를 따지는 양상논리의 가능세계 의미론에서는 "명제 p가 불가능하다"가 "명제 p는 모든 가능세계에서 거짓이다"로 분석된다.
참고로 중국어 회화에서 不可能이라고 하면 말하는 이의 신념이 담긴 '그럴 리 없다' '그렇지 않을 것이다'라는 뜻이 된다. 중국 드라마나 영화의 멘붕 장면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
불가능은 크게 상대적 불가능, 현실적으로 절대적 불가능, 절대적 불가능으로 나뉜다. 상대적 불가능은 당시로서는 불가능하고 가능하게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과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충분히 가능한 것이고, 현실적으로 절대적 불가능은 초광속이나 영구기관, 무한처럼 충분히 상상할 수는 있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절대로 일어날 리 없는 것이고(신의 경지), 절대적 불가능은 논리 자체가 이미 불가능이라서 현실에서든 상상에서든 절대로 일어날 리 없는 불변의 영역이다.
일상적인 의미에서의 불가능은 대개 이러한 뉘앙스로 쓰인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의 '불가능한 상황'은 '상식적인 선에서 예측 가능한 범위를 크게 벗어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약속 시간에 항상 늦기만 하던 민수가 약속 장소에 제일 먼저 도착해서 기다리는 상황) 철수: 그거 알아? 민수가 우리랑 잡은 약속 장소에 30분이나 일찍 도착해서 기다리고 있다고! 영희: 뭐? 불가능해. 걔는 매번 약속 때마다 늦기만 했단 말이야. |
3. 용례
3.1. 법칙적 불가능(현실에서는 절대적 불가능)[3]
- 윈도우엑스피가 나에게 다가와서 말 거는 것 등
3.2. 논리적 불가능(절대적 불가능)
- [math(\sqrt{3})]월 [math(\sqrt{7})]일 등
3.3. 민사법에서
민법이나 법조실무에서는 '불가능'을 '불능'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행불능 항목으로.3.4. 불가능과 관련된 속담 및 숙어
3.4.1. 한국어
- 개 풀 뜯어 먹는 소리[4]
- 거북의 털
- 곤 달걀 꼬끼요 울거든
- 군 밤에서 싹 나거든
-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금강산 상상봉에 물 밀어 배 띄워 평지 되거든
- 기암절벽 천층석이 눈비 맞아 썩어지거든
- 길쌈 잘 하는 첩
- 계란으로 바위치기
- 까마귀 대가리 희거든
- 배꼽에 노송나무 나거든[5]
- 병풍에 그린 닭이 홰를 치거든
- 불 아니 때도 절로 익는 솥
- 수탉은 알을 못 낳는다
- 술 샘 나는 주전자
- 십리 사장 세모래가 정 맞거든
- 양을 보째로 낳는 소
- 여물 안먹고 잘 걷는 말
- 용마 갈기 사이에 뿔 나거든
- 인경[6] 꼭지가 말랑말랑하거든[7]
- 중의 상투
- 처녀 불알
- 층암상에 묵은 팥 심어 싹 나거든
- 태산 중악 만장봉이 모진 광풍에 쓰러지거든
- 토끼 뿔
- 투기 없는 아내
3.4.2. 영어
- Before the cat can lick her ear(고양이가 자기 귀 핥기 전까지)[8]
- Cold hell(차가운 지옥),. 혹은 지옥의 불이 다 꺼지거든
- greek calends(그리스 초하루)[9]
- when pigs fly(돼지가 날면)[10]
3.4.3. 그 외
- 독일어 - Wenn Schweine fliegen können(돼지가 날거든)
- 러시아어 - когда рак на горе свистнет(가재가 산 위에서 휘파람을 불거든)
- 알바니아어 - ne 36 gusht(8월 36일)
- 핀란드어 - sitten kun lehmät lentävät(소가 날거든)
- 히브리어 - כשיצמחו שיערות על כף ידי(내 손에 머리가 나거든)
일본어 - 青いバラ(푸른 장미)2004년에 일본과 프랑스의 공동 연구로 푸른 장미인 '산토리 플라워즈'를 개발해냈다.
4. 관련작품
- 글레이프니르의 재료
항목 참조. 모두 존재하지도 않고, 존재할 수도 없는 것들이다. - 월야환담 시리즈에서 아담 카드몬의 마지막 재료, 흡혈귀의 눈물
- 정석가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 총 6연으로 되어 있는데 2연부터 5연까지 어떤 조건을 만족하면 '유덕하신 임'을 이별하고 싶다고 했다. 그러나 그 조건이란 게 모두 불가능한 조건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유덕하신 임을 향한 사랑을 영원히 이어가고자 한다는 뜻이다.
2연: 사각사각 잔모래 벼랑에 심은 구운 밤 다섯 되가 모두 싹이 나거든
3연: 옥으로 새겨서 바위에 접붙인 연꽃이 세 묶음 피거든
4연: 무쇠로 마름질해 철사로 주름 박은 철릭이 다 헐거든
5연: 무쇠로 만든 황소가 쇠나무 산의 쇠풀을 다 먹거든
보다시피 딱 봐도 죄다 불가능한 조건들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설령 이 4개 조건이 AND가 아닌 OR여도 '유덕하신 임'과의 사랑이 영원불멸할 듯 하다.근데 쇠 철릭은 녹슬어 헌다 - 카구야 공주의 5가지 난제
'글레이프니르'의 재료와 마찬가지. - Scarborough Fair
영국의 민요로 사이먼 앤 가펑클에 의해 불려진 것이 유명하지만 최초로 편곡한 가수는 마틴 카시(Martin Carthy)이다. 사랑하는 여인을 두고 죽음을 앞둔 남자가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며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절망을 표현하는 노래라 한다.
첫번째는 바느질자국과 이음새가 없는 삼베옷, 두번째는 바닷물과 바닷가 사이에 있는 한 에이커의 땅, 마지막으로 가죽 낫으로 무언가를 거두어(가사의 순서에 따라 파슬리, 샐비어, 로즈마리, 백리향이라고 볼 수도 있다) 꽃다발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한다.
[1] 물론 현실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그 이론이 잘못된 것이기 때문에 이론을 수정해야한다. 다만 과학 이론이라는 것은 대단히 치밀하고 엄밀하게 정립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간단히 잘못되지 않는다. "저명한 노과학자가 무언가가 가능하다고 하면 그 대부분은 옳다. 무언가가 불가능하다고 하면 그 대부분은 그르다"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2] 이런 식으로 그 시간에 해당 지점에서 너무 멀리 있었다는 것이 증명되는 것은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특정 인물에 대한 알리바이가 성립되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사실 빛의 속도의 50%만큼이라도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면 태양 근처에서 목격된 사람이 30분 후에 미국 워싱턴에 목격된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진짜로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게 뭐냐고? 바로 단순히 속도만 올려서 광속 혹은 그 이상의 초광속에 도달하는 것이다.[3] 또는 이론적 불가능(상대적 불가능)[4] 다만 일부 개들은 진짜 풀을 뜯어먹는다. 사실 개의 조상은 육식동물이었지만,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농경 사회에 적응해 인간의 음식을 함께 먹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잡식동물로 진화했다. 게다가 대다수의 육식동물들도 고기만 먹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풀을 뜯어 먹기도 한다.[5] 죽어서 땅에 묻혀 자기 배꼽 있는 자리에 노송나무가 날 때라는 뜻이니 기약할 수 없는 일을 말한다.[6] 조선 시대에, 통행금지를 알리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치던 종.[7] 또는 인경 꼭지나 만져 보아라. 인경 꼭지가 말랑말랑해지는지 만져 보라는 뜻으로, 영영 될 수 없거나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8] 자기 귀를 핥을 수 있는 고양이는 없다는 데서[9] 고대 그리스 달력에는 calends(초하루)가 없으므로[10] 돼지는 날개 구조가 없어서 날 수 없다. 매체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는 마인크래프트/도전 과제에서의 '돼지, 날다' 업적으로, 달성 조건은 안장을 채운 돼지를 타고 당근 낚싯대 등으로 절벽으로 유도해서 떨어지면(블록 높이 5칸 이상) 업적이 달성된다.